• 제목/요약/키워드: 폴리 프로필렌

검색결과 697건 처리시간 0.029초

기능성 변성PP 제조 및 자동차부품용 복합수지 제조 기술 개발 (Study on the Preparation of the Modified PP composite resin for Automobile parts Materials)

  • 안태광;황용현;전용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12-215
    • /
    • 2009
  • 요구되는 접착력과 그라프트율을 만족시킬 수 있는 변성폴리프로필렌의 제조 기술 확립을 목표로 변성폴리프로필렌의 최적 합성을 위한 과산화물, 변성폴리프로필렌의 최적 합성을 위한 촉매 및 반응몰비, 변성폴리프로필렌의 최적 합성을 위한 반응온도, 반응시간 확립을 통한 변성 PP 제조기술을 개발하였으며, $90{\Phi}$ extruder에서 상업 생산을 위한 공정 제어 기술 확립과 접착력과 그라프트율 등을 나타내는 변성폴리프로필렌의 최적 합성 조건 확립을 통한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복합수지용은 물론 강관 코팅용, 시트 및 필름용 등의 변성 폴리프로필렌 제조기술을 개발하였다. 이들 변성 PP를 활용하여 매트릭스 및 필러, 분산 조건 변경 시험, 엘라스토머 폴리프로필렌 컴파운드 최적 분산 조건 확립, 엘라스토머 폴리프로필렌 컴파운드 pilot 생산 및 제품 분석을 통하여 초고강성 범퍼, 룸미러 케이스 소재, 인패널, 도어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자동차 부품용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개발을 완료하였다.

  • PDF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단량체/폴리프로필렌/클레이 나노복합체의 연소성 (Combustive Properties of Ethylene-Propylene Die Monomer/Polypropylene/Clay Nanocomposites)

  • 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90-195
    • /
    • 2011
  •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단량체/폴리프로필렌에 바탕을 둔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단량체, 폴리프로필렌, 산화아연, 스테아르산, 그리고 클레이의 효과에 대하여 연소성을 조사하였다.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단량체/폴리프로필렌/클레이 나노복합체는 성형 후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이용하여 연소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 나노복합체는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단량체/폴리프로필렌 단독 조성에 비하여 최대열방출률을 감소시켰다. 이에 반하여 고무 연화제로 사용된 스테아르산은 자체의 연소성에 의하여 평균열방출률을 증가시켰다.

숏크리트용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개발 (Development of Polypropylene Fiber for Shotcrete)

  • 하태욱;양형식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4권4호
    • /
    • pp.241-24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숏크리트 보강용으로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표면을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mPP)으로 표면 개질 처리한 새로운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개발하고, 개발된 섬유의 분산성을 조사하였다. 이 보강섬유가 혼입된 숏크리트의 강도 특성을 조사하였다.

폴리프로필렌 합성섬유보강 콘크리트의 강도, 인성 및 균열제어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trength, Toughness and Crack Control Characteristics of Polypropylene Fiber Reinforced Concrete)

  • 오병환;한승환;차수원;백상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5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05-310
    • /
    • 1995
  • 토목 및 건축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 섬유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사용은 미국, 영 국 등지에서 개발되기 시작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데, 가격이 저렴하고, 화학적인 안정성과 내구성이 우수하여 그 사용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사용은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가 건조나 냉각에 의해 수축될 때 구속에 의해 발생하 는 인장응력 및 균연을 제어하고, 인성의 증가와 충격, 마모, 피로에 대한 저항성,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등의 장점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섬유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역학적 거동특성인 압축강도, 인장강도, 인성, 유동성과 균열 특성을 실험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폴리프로필렌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압축 강도, 인장강도, 인성의 증가를 보였으나, 혼입향 0.2%를 초과할 경우 유동성, 강도 모두 감 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단섬유형 보다는 메쉬 형태의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역학 적 특성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Kraai 방법에 의한 소성수축균열제어 특성 실 험에서 약 45% 이상으 균열감소 (0.1%혼입) 효과를 볼 수 있었다.

  • PDF

발포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제조방법 (Production method for porous polypropylene sheet)

  • 유호탁;이기선;김기선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677-679
    • /
    • 2012
  • 다공질 폴리프로필렌 시트는 압전센서 및 VOC 발생이 적은 자동차 내장소재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특히 경량화를 위한 다공질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가공기술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가교형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활용하여 압출과 사출이 아닌 압연공정과 열처리 발포공정을 접목하였다. 발포를 위한 마스터배치와 폴리프로필렌의 혼합으로 제조된 두께 1mm의 폴리프로필렌시트를 $200^{\circ}C$온도에서 온간압연공정에 의해 0.1-0.2mm 두께로 제조하고, 이를 $200^{\circ}C$에서 5분동안 발포함으로써 기공률 65%의 시트를 제조함으로써 저가의 압전센서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재활용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이 목분/폴리프로필렌 복합체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cycled PP Content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Wood/PP Composites)

  • 안성호;김대수
    • 폴리머
    • /
    • 제38권2호
    • /
    • pp.129-13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재활용 폴리프로필렌을 첨가한 wood plastic composite(WPC)의 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먼저 용융혼합 조건을 최적화하였으며 재활용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이 WPC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WPC의 기계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만능재료시험기와 충격시험기를 사용하였고 열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DSC, TGA, DMA를 사용하였다. SEM을 이용하여 WPC의 파단면을 관찰하였다. 전체 폴리프로필렌 함량의 50 wt%를 재활용 폴리프로필렌으로 함유한 WPC의 최적가공 조건은 $170^{\circ}C$, 15분, 60 rpm이었다. 재활용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증가는 WPC의 수분흡수성을 증가시켰고 열적, 기계적 특성을 저하시켰다. 그러나 모든 물성을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WPC의 두드러진 물성 감소 없이 전체 폴리프로필렌 함량의 50 wt%까지 재활용 폴리프로필렌을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용융방사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블렌드 섬유의 물리적 성질 (Physical Properties of the Melt Spun Fibers of the High Density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 Blends)

  • 조준한;최경식;김상용
    • 유변학
    • /
    • 제1권1호
    • /
    • pp.63-70
    • /
    • 1989
  •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용융혼합하여 블렌드를 만들었다. 압출물의 morphology 와 유변학적 성질을 측정하고 그 용융하고 섬유의 X-선 회절, 인장 성질, 복굴 절률등과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파단면의 SEM 사진으로부터 폴리에티렌 성분비가 25%, 50% 에서는 폴리프로필렌이, 75%에서는 폴리에틸렌이 연속상을 이루며 분산상은 고르게 분포함을 알았다 점도와 용융탄성은 모두 폴리에틸렌이 폴리프로필렌보다 크며 블렌드에서 는 그중간에 위치 하였다. 폴리에틸렌의 함량의 증가에 따라 압풀물의 제 1법선 응력차는 증가하였고따라서 방사 섬유의 복굴절률도 증가하였으며 초기 탄성률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 였으나 결정 배향도는 조성 의존성을 갖지 않는다. 두 고분자의 비상용성으로 인해 강도는 짓선성에서 벗어나는 거동을 나타내었다.

  • PDF

폴리프로필렌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에 정착된 구조용 합성섬유의 부착거동에 미치는 섬유 혼입률의 효과 (Effect of Fiber Volume Fraction on Bond Properties of Structural Synthetic Fiber in Polypropylene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s)

  • 이진형;박찬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125-135
    • /
    • 2011
  • 폴리프로필렌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와 구조용 합성섬유의 부착특성을 평가하였다. 폴리프로필렌섬유는 0.10%, 0.15% 및 0.20%의 체적비로 적용하여 dog-bone 시험을 실시하였다. 구조용 합성섬유와 폴리프로필렌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 사이의 부착강도는 폴리프로필렌섬유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0.20% 이상이 되면 감소하였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섬유의 첨가는 계면인성과 마찰저항을 증가시킨다. 인발시험 후 구조용 합성섬유 표면의 미소구조 분석은 폴리프로필렌섬유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긁힘 현상이 증가하였다.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친환경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 : EPDM과 PP의 기능화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Materials Using EPDM Scrap : Functionalization of EPDM and PP)

  • 김섭;정경호
    • 청정기술
    • /
    • 제15권3호
    • /
    • pp.180-185
    • /
    • 2009
  •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크랩을 고온전단분쇄기를 이용하여 표면활성화 된 분말을 얻은 후 이를 폴리프로필렌과 블렌드하여 열가소성탄성체를 제조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크랩 분쇄 시 표면활성제를 1.5 phr 첨가하면 최적의 표면활성화 된 분말을 얻을 수 있었다. 폴리프로필렌의 경우는 maleic anhydride를 반응블렌드에 의해 그라프트시켜 기능화 하였다. 기능화된 에틸렌-프로펄렌 분말과 폴리프로필렌을 블렌드하여 열가소성탄성체를 제조할 때 계면젖음 특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계면젖음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용화제로 poly(ethylene-co-acrylic arid)를 폴리프로필렌에 첨가하였다. Poly(ethylene-co-acrylic acid)는 폴리프로필렌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켰으며 이로 인해 에틸렌-프로필렌 분말과의 계면젖음성이 크게 증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폴리프로필렌/에틸렌옥텐 공중합체 블렌드의 상분리 구조 및 발포 특성 (Phase Morphology and Foaming of Polypropylene/Ethylene-octene Copolymer Blends)

  • 서관호;임정철
    • 폴리머
    • /
    • 제25권5호
    • /
    • pp.707-718
    • /
    • 2001
  • 폴리프로필렌 (PP)은 낮은 밀도, 우수한 내열성, 내화학성, 가공성과 더불어 재활용이 용이한 플라스틱이다. 하지만 폴리프로필렌의 발포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 발포제를 사용하여 발포 폴리프로필렌을 만들고자 하였다. 폴리프로필렌의 가공온도에서 유동성과 발포체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mPE)를 폴리프로필렌에 용융 블렌드하였다. 발포에 앞서 발포체의 발포배율과 셀구조에 미치는 상분리 거동의 영향을 알기 위해 PP/mPE 블렌드 상분리 거동을 조사하였다. PP/mPE 블렌드의 강 거동은 블렌드 조성과 mixing torque ratio, 그리고 mixing rpm에 영향을 받았다. PP 기질에 mPE가 분산상으로 존재하는 블렌드를 발포시켰을 때 높은 배율과 안정한 셀 구조를 가지는 발포체를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