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폴리이미드

Search Result 47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RF 스퍼터 처리된 폴리이미드와 Cr 박막간 계면 접착력과 계면 반응성

  • 김동구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1 no.1
    • /
    • pp.33-40
    • /
    • 1994
  • 금속박막 증착 전 Ar 이온을 이용한 폴리이미드 표면의 RF 스퍼터링 처리가 Cr/폴 리이미드 계면의 접착력과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90。 peel test, TEM, FTIR 및 XPS를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Cr/폴리이미드 계면의 접착력은 촐리이미드 표면은 RF 스퍼 터링 처리에 의해 1g/mm에서 100g/mm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표면 비저항 측정과 FTIR 및 XPS 분석결과 RF 스퍼터링 처리에 의한 Cr/폴리이미드 계면의 접착력 증가는 RF 스퍼 터링에 의한 폴리이미드 표면의 chemical modification 에 의해 증착되는 Cr과 계면 반응성 이 향상되는데 기인하는 것임을 밝혔다.

Effectss of Zeolite contained in Polyimide Membrane for Gas Permeation Properties (폴리이미드/NaX막의 기체투과 특성에 미치는 NaX의 영향)

  • 최익창;김건중;남세종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7.10a
    • /
    • pp.51-52
    • /
    • 1997
  • 1. 서론 : 폴리이미드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열적, 화학적 안정성으로 인해 최근 막분리 재료로 많이 연구 검토되고 있다. 대부분의 폴리이미드는 비교적 높은 선택도를 가지고 있으나 투과계수가 떨어지는 단점을 지니고 있어소 이를 극복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 결과 투과계수를 크게 증가시킨 폴리이미드를 함성하였으나 선택도는 감소하여 투과특성의 상위한계를 넘지는 못하였다. 이 한계를 극복하기 의해서 복합잴를 이용하거나 UV,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고분자막의 수식 등 많은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NaX형 제올라이트를 폴리이미드에 혼화시킨 막으로 산소/질소의 분리투과특성의 개선을 시도하였으며, NaX형 제올라이트와 폴리이미드 혼화방법, 혼화비율 등이 기체투과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NaX형 제올라이트는 직접 합성하여 사용하였다. 폴리이미드는 2,3,5,6-Tetramethyl-1,4-phenylenediamine(p-TeMPD)과 (3,3,4,4'-dicarboxyphenyl)-hexafluoropropene-dianhydride(6FDA)로 합성한 6FDA-p-TeMPD 폴리이미드를 사용하였고, 그 투과계수는 122Barrer, 선택도$\alpha$$_{N_2/O_2}$ = 3.4이다.

  • PDF

Thermal Stability of Polarized UV Exposed Polyimide Films for Liquid Crystal Display (편광 자외선이 조사된 액정 디스플레이용 폴리이미드 필름의 열 안정성)

  • 김일형;김욱수;하기룡
    • Polymer(Korea)
    • /
    • v.26 no.4
    • /
    • pp.431-438
    • /
    • 2002
  • We studied the orientation behavior and thermal stability of polyimide (PI) molecules under irradiation of polarized UV (PUV) using polarized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scopy. In the case of PUV-exposed PI films, the remaining PI molecules after photo-degradation showed molecular orientation perpendicular to the irradiated PUV polarization direction predominantly, due to the preferential degradation of PI molecules parallel to the irradiated PUV Polarization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rubbing of PI films induced reorientation of the PI molecules parallel to the rubbing direction. We also investigated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alignment layers furled by rubbing and PUV irradiation on the PI films using Polarized FTIR.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PUV irradiated PI alignment layer is lower than that of the rubbed PI layer due to the fragmentation reaction of the PI by PUV.

The Gas Permeation Properties of Polyimide/Zeolite Membrane (폴리이미드/제올라이트 막의 기체투과 특성)

  • 최익창;김건중;남세종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4a
    • /
    • pp.46-48
    • /
    • 1998
  • 1. 서론 : 최근에 기체분리막의 재료로 많이 연구가 되고 있는 폴리이미드는 열,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고분자재료이다. 그동안 본 연구실에서는 폴리이미드를 직접 합성하여 플라즈마처리, UV 처리등과 같은 고분자막수식에 의한 방법과, 무기재료와 폴리이미드를 이용하는 복합막 제조 등으로 폴리이미드의 투과특성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진행해 왔다. 본 실험에서는 고분자재료로 폴리이미드 계열 중 가장 산소투과계수가 높은 6FDA-p-TeMPD 폴리이미드와 산소투과계수는 작고 선택도가 높은 6FDA-m-TeMPD 폴리이미드를 사용하였고, 무기재료는 surface pore size가 7.3${\AA}$, super cage가 13${\AA}$인 다공성 물질로 흡착력이 뛰어난 NaX형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였다. (생략)

  • PDF

Asher 처리를 통한 Polyimide 표면 최적화

  • Kim, Sang-Seop;Choe, Pyeong-Ho;Choe, Byeong-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278-278
    • /
    • 2012
  • 최근 폴리이미드(Polyimide) 고분자 물질을 기판으로 하는 플렉시블 전자소자 구현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폴리이미드는 수분 흡수율이 1% 이하인 소수성 물질로서 폴리이미드 기판 위 전극 형성에 있어 전극 물질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수성의 표면 성질을 갖는 폴리이미드 기판의 Asher 처리를 통한 표면 최적화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유리기판 위에 액상 폴리이미드를 ${\sim}10{\mu}m$ 두께로 Spin coating 한 후 $120^{\circ}C$ hot plate에서의 soft bake와 $200^{\circ}C$, $320^{\circ}C$의 furnace에서의 단계적 cure 과정을 통해 표면의 defect을 최소화하였다. Microwave Asher 장비를 이용하여 폴리이미드 막에 10초, 15초, 20초 동안 asher 처리를 한 후 Atomic Force Microscopy (AFM) 장비로 시간에 따른 폴리이미드 기판 표면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AFM 확인 결과 10 초의 공정 조건에서 가장 우수한 표면 morphology를 보였으며, 이는 표면의 탄소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asher 처리 시간이 상대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폴리이미드 막의 탄소 성분이 제거 되면서 표면의 형상이 최적화 이상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본 실험은 폴리이미드를 기반으로 하는 플렉시블 전자소자 구현에 있어 전극 및 소자 제작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dhesion Properties between Polyimide Film and Copper by Ion Beam Treatment and Imidazole-Silane Compound (이온빔 및 이미다졸-실란 화합물에 의한 폴리이미드 필름과 구리의 접착 특성)

  • Kang, Hyung Dae;Kim, Hwa Jin;Lee, Jae Heung;Suh, Dong Hack;Hong, Young Taik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 /
    • v.8 no.1
    • /
    • pp.15-27
    • /
    • 2007
  • Polyimide (PI) surface modification was carried out by ion-beam treatment and silane-imidazole coupling agent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polyimide film and copper. Silane-imidazole coupling agent contains imidazole functional groups for the formation of a complex with copper metal through a coordination bonding and methoxy silane groups for the formation of siloxane polymers. The PI film surface was first treated by argon (Ar)/oxygen ($O_2$) ion-beam, followed by dipping it into a modified silane-imidazole coupling agent solution. The results of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spectra revealed that the $Ar/O_2$ plasma treatment formed oxygen functional groups such as hydroxyl and carbonyl groups on the polyimide film surface and confirmed that the PI surface was modified by a coupling reaction with imidazole-silane coupling agent. Adhesion between copper and the treated PI film by ion-beam and coupling agent was superior to that with untreated PI film. In addition, adhesion of PI film treated by an $Ar/O_2$ plasma to copper was better than that of PI film treated by a coupling agent. The peeled-off layers from the copper-PI film joint were completely different in chemical composition each other. The layer of PI film side showed similar C1s, N1s, O1s spectra to the original Upilex-S and no Si and Cu atoms appeared. On the other hand the layer of copper side showed different C1s and N1s spectra from the original PI film and many Si and Cu atoms appeared. This indicates that the failure occurs at an interface between the imidazole-silane and PI film layers rather than within the PI layers.

  • PDF

Photosensitive Polyimides Having Aromatic Sulfonyloxyimide Groups in the Main Chain (주쇄에 광분해성 방향족 술포닐옥시이미드기를 함유한 감광성 폴리이미드)

  • 오세용;이지영;조성열;정찬문
    • Polymer(Korea)
    • /
    • v.24 no.3
    • /
    • pp.407-417
    • /
    • 2000
  • Photosensitive polyimides having cyclobutane or phenyl and aromatic sulfonyloxyimide units in the main chain have been synthesized and the photodegradation behavior was investigated in relation with the polymer structure. The polyimides were prepared by condensation polymerization of N-hydroxyl and sulfonyl chloride. The prepared polyimides were stable up to 25$0^{\circ}C$ without thermal degrada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 photodegradation of polyimides upon irradiation of 254 nm UV light results from scission of N-O bonds or ring opening of imides moiety by spectroscopic measurements. The polyimides were useful as positive working photodegradable polymers. Especially, the positive tone image of polyimide containing a pyromellitic diimide moiety exhibited high sensitivity and resolution.

  • PDF

Langmuir-Blodgett Filias and Future Electronic Device (Langmuir-Blodgett막과 미래의 Electronics 소자)

  • 권영수;강도열;일야태랑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2 no.1
    • /
    • pp.1-13
    • /
    • 1989
  • Langmuir-Boldgett(LB)법에 의해서 두께 1층당 약 4.angs.의 폴리이미드 LB막을 제작된 폴리이미드 LB막을 양전극사이에 sandwich시킨 Al/Al$_{2}$ $O_{3}$ /폴리이미드 LB막/Al(Au)구조의 소자를 이용하여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기저항이 대단히 큰 폴리이미드 LB막과 전기저항이 작은 $Al_{2}$ $O_{3}$막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폴리이미드 LB막의 파괴전계는 약 1*$10^{8}$V/cm이었으며 터널전류는 이론값에 비하여 매우 작은 전류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와같은 현상은 전압의 대부분이 폴리이미드 LB막에 만이 인가되며 터널전류는 $Al_{2}$ $O_{3}$막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이다.

  • PDF

Characteristics and Stability of Liquid Crystal Alignment for Interfacial Properties of Polyimide-Liquid Crystal (폴리이미드-액정 계면의 특성에 따른 액정 배향의 특성 및 안정성)

  • 동원석;이미혜;백상현
    • Polymer(Korea)
    • /
    • v.27 no.5
    • /
    • pp.484-492
    • /
    • 2003
  • How the characteristics and stability of the rubbing-induced alignment of nematic liquid crystals (LCs) relate to the interfacial characteristics of LC-polyimide has been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C alignment (such as the LC texture, the pretilt angle, and the anchoring energy) and their thermal stability have been investigated for 5 polyimides synthesized for this work. The work showed that the rubbed polyimide alignment layer induces the strong LC anchoring and that the characteristics and stability of LC alignment are determined by the short-ranged interactions between LC and polyimide molecules at the alignment layer surface. The increased flexibility of the polyimide accelerates thermal imidization, increases the pretilt angle, and improves the alignment stability. It also turned out that fluorination of the polyimide tends to deteriorate the alignment uniformity and stability. No distinct differences in the alignment characteristics were shown for the aromatic- and alicyclic-dianhydride polyimides.

$Cu(In,Ga)Se_2$ 박막 태양전지 제작을 위한 폴리이미드 기판의 열분석 및 후면전극 특성 분석

  • Park, Su-Jeong;Jo, Dae-Hyeong;Jeong, Yong-Deok;Kim, Je-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593-593
    • /
    • 2012
  • CIGS 박막 태양전지는 일반적으로 soda-lime glass(SLG)를 기판으로 사용하여 SLG/Mo/CIGS/CdS/ZnO/ITO/Grid의 구조로 제작된다. 하지만 SLG를 기판으로 사용할 경우, 유리의 특성상 무게가 무겁고, 유연성이 없기 때문에 건축물 적용에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가볍고 유연한 금속 및 폴리이미드 기판을 이용한 CIGS 태양전지가 널리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이미드 기판의 경우, 특성이 우수한 CIGS 박막을 얻기 위한 고온 공정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CIGS 박막 태양전지 제작을 위한 폴리이미드 기판의 특성과 그 위에 형성한 후면 전극의 특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4종류의 폴리이미드 기판에 대한 열 특성을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와 열중량분석기(thermogravimetric analysis), 열기계분석기(thermo mechanical anaylsis)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또한 Mo 후면 전극을 DC-sputter를 이용해 형성한 후, XRD와 AFM, 4-point probe를 이용하여 결정성 및 표면 거칠기, 면저항을 분석하였다. 결정성과 거칠기는 SLG에 증착했을 때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으며, 면저항은 폴리이미드 필름에 증착 할 경우 더 크게 측정되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청 산연기술개발사업(SL122689) 및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공동연구 지원사업"의 연구결과입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