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폴리아미드 섬유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3초

지방산 폴리아미드 및 알킬이미다졸린을 이용한 나일론 섬유용 내구성 유연제의 제조 (Preparation of Durable Softeners for Nylon Fiber Using Fatty Polyamide and Alkyl Imidazoline)

  • 정충호;김성래;박형진;함현식;김태옥;박홍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1-296
    • /
    • 2002
  • Fatty polyamide that gives softness, lubrication and bulky property and alkyl imidazoline that gives durable softness and antistatic property were synthesized. then, an O/W-type durable softener (DSN) was prepared by the emulsion of the synthesized fatty polyamide and alkyl imidazoline. Emulsion stability of the DSN was good, and the mixed HLB value was 11.2. From the measurement of softness, lubrication, antistatic property, bending resistance, and color fastness, it was proved that the prepared DSN was a good durable softener for nylon.

아세토페논 팽윤제를 이용한 폴리아미드-이미드 섬유의 캐치온 염색특성 연구 (Study on the Cationic Dyeing Properties of Polyamide-imide Fiber using 2-Hydroxyacetophenone as a Swelling Agent)

  • 손현식;김경민;김지혜;심지현;박성민;오상엽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01-308
    • /
    • 2015
  • This study optimizes dyeing conditions for polyamide-imide fabric using cationic dyes. Dyeing and fastness characteristics of polyamide-imide fabric were investigated with three cationic dyes and 2-hydroxyacetophenone as a swelling agent under various dyeing conditions such as dye and swelling agent concentrations, dyeing temperature and time, pH of dye bath. The dyeing properties were evaluated in terms of dye exhaustion, K/S value and color fastness. The optimized dyeing temperature and time were $130^{\circ}C$ for 90 min for the dyes. Under weak acidic conditions in the range pH 5 to 7, the exhaustion of cationic dyes could be enhanced leading to higher adsorption. Wash and rubbing fastness properties were generally good, while light fastness was slightly low,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poor photo-stability of the cationic dyes.

에폭시를 반응성 상용화제로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아미드-6 알로이 섬유의 구조와 성질: 1. 알로이의 상분리에 미치는 에폭시의 효과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Polyamide-6(PA6) Alloy Fibers using Epoxy as a Reactive Compatibilizer: I. Effect of Epoxy on the Phase Separation of PET/PA6 Alloys)

  • 조징;민병길;임목근;이광상;유영출;한재성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5-151
    • /
    • 2012
  • Polymer alloys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and nylon6(PA6) which were not miscible each other by themselves were successfully prepared through melt compounding using a twin-screw extruder by utilizing epoxy as reactive compatibilizer. At the epoxy(DGEBA) amount of 0.5~2wt%, the domain size(average diameter) of the discontinuous phase could be reduced up to 0.2${\mu}m$ from 1-5${\mu}m$ that of the simple blend without epoxy. The reaction was presumed to happen mostly at interphase from the result of maximum increase of melt viscosity at the middle range of PET/PA6 blend ratio. It is expected that alloy fibers of PET/epoxy/PA6 with enough mechanical strength for use can be prepared.

엔진마운트 브라켓용 PA66/GF 복합재료의 특성 평가 및 진동감쇠 성능 시뮬레이션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Evaluation of Properties of PA6/PA66/GF Composite according to Injection Pressure and Simulation of Damping Performance)

  • 유성훈;윤현성;여동현;이준희;박종수;심지현
    • Composites Research
    • /
    • 제37권2호
    • /
    • pp.59-67
    • /
    • 2024
  • 내열성 및 내충격성, 진동 감쇠 성능이 필수인 엔진마운트 브라켓(engine mount braket)에 적용하기 위한 PA소재 기반 복합재료 제조 방법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복합재료의 기지재로 PA66 수지를 활용하였고, 강화재로 유리섬유를 활용하였다. 복합재료는 injection molding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보강재인 유리섬유 함량에 따라 열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 형태학적 특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때, 복합재료의 특성 평가 데이터베이스를 in-put 데이터로 활용하여 3D 모델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3D모델의 진동 감쇠 성능(vibration damping)을 out-put 데이터로 추출하였다. PA기반 복합재료의 특성평가 및 엔진브라켓 형태 3D모델의 진동 감쇠 성능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이유는 실제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여 진동 감쇠 성능 시험을 진행하지 않아도 제품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개발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실제로 시험을 진행하지 않고도 제품 성능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개발에 필요한 시간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진동 감쇠 성능 시뮬레이션 결과, 강화재의 질량분율이 높아질수록 진동감쇠 성능이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지만, 어느 수준 이상에서는 더 이상 증가하지않고, 소폭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제 실험값과 시뮬레이션 값과의 비교 결과, ±5% 이내의 근사치를 나타내었으며, 강화재의 질량분율이 60 wt.%일 때 결과값의 차이가 가장 크게 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