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포집기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25초

활성탄관을 사용하여 포집한 작업환경 공기중 아크릴아마이드의 분석법 (Simple Analytical Method for Acrylamide in the Workplace Air Adsorbed by Charcoal Tube)

  • 양정선;이미영;박인정;강성규
    • 분석과학
    • /
    • 제11권2호
    • /
    • pp.139-144
    • /
    • 1998
  • 아크릴아마이드를 생산하는 공장에서, 근로자가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아크릴아마이드의 양을 평가하기 위하여, 작업환경 시료의 포집과 이에 대한 탈착, 분석조건을 검토하였다. 작업 환경 중 시료 채취를 위한 흡착제로서 활성탄관을 사용하고, 이를 아세톤으로 추출하였을 때 87%의 탈착효율을 나타내었다. 불꽃이온화 검출기가 부착된 가스크로마토그라피로 분석한 경우 검출한계는 0.814 mg/L였고, 이를 40L의 작업환경 공기중 농도로 환산하면 $0.0203mg/m^3$이다. 따라서 산업보건 관련 실험실에 일반화 되어있는 불꽃이온화 검출기(Flame Ionization Detector, FID)를 사용하여도, 아크릴아마이드 허용농도 $0.3mg/m^3$(OSHA, PEL) 내외의 시료를 적절한 감도로 분석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기존의 분석방법으로 알려진 질소, 인 검출기(Nitrogen Phosphorous Detector, NPD)를 사용하지 않아도 아크릴아마이드를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소곡주 공장의 공기로부터 곰팡이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ilamentous Fungi from Indoor Air of a Sogokju Traditional Rice Wine Factory)

  • 박지은;전영재;김지혜;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8
    • /
    • 2008
  • 전통주인 소곡주 공장의 실내공기에 존재하는 균류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앤더슨 공기 포집기를 이용하여 소곡주 공장의 여러 방으로부터 포집된 공기와 이곳에서 주정제조를 위해 사용해온 누룩으로부터 균류를 분리하고 분석하였다. Aspergillus, Penicillium, Gibberella, Cladosporium, Talaromyces 속에 속하는 12가지 균류종이 분리되었다. 이들 중 주요 균류는 Aspergillus와 Penicillium에 속하는 균종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특히 Penicillium 속에 속하는 종으로는 7개의 종이 분리 되었으며 조사된 방마다 각각 서로 다른 종이 분리되었다. 누룩으로부터는 공기 중에서 검출된 Aspergillus 그룹과 동일한 그룹이 검출되었고 동시에 공기중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Rhizopus sp.가 분리되어졌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전통주 제조 공장의 실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균류상에 대한 보고이다.

고온 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한 기능성 활성탄의 흡착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ized Activated Carbon for High Temperature CO2 Capture)

  • 최성우;이철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75-181
    • /
    • 2015
  • 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한 기능성 흡착제인 폴리에틸렌이민(PEI)을 함침한 활성탄을 평가하였다. 이산화탄소 흡착제의 흡착 특성은 GC/TCD, BET 표면적 및 FT-IR을 사용하였다. 활성탄에 PEI를 10, 30, 50 wt%를 함침하여 흡착제를 합성하고, 온도변화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흡착능을 조사하였다. $20^{\circ}C$$100^{\circ}C$에서의 이산화탄소 흡착능은 다음과 같다: $20^{\circ}C$에서는 AC > PEI(10)-AC > PEI(30)-AC > PEI(50)-AC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100^{\circ}C$에서는 PEI(10)-AC > PEI(30)-AC > PEI(50)-AC > AC 순으로 나타났다. 아민 기능기의 활성탄의 흡착능이 순수 활성탄보다 아미노기에 의하여 화학 흡착 때문에 높은 온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PEI(10) 활성탄은 고온의 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 포집에 가장 유능한 흡착제 중 하나로 보여진다.

방사성제논 탐지를 위한 베타-감마 동시 계측시스템의 측정시간 최적화 (Optimization of Acquisition Time of Beta-Gamma Coincidence Counting System for Radioxenon Measurement)

  • 변종인;박홍모;최희열;송명한;윤주용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0권3호
    • /
    • pp.181-186
    • /
    • 2015
  • 방사성 제논 탐지는 공기 중 $^{131m}Xe$, $^{133}Xe$, $^{133m}Xe$$^{135}Xe$를 저준위 백그라운드 계측 시스템으로 검출하여 지하 핵실험 여부를 규명하는 핵심기술 중 하나이다. 방사성 제논 감시는 공기 포집, 제논 추출, 측정 및 분석을 통해 수행되며, $^{135}Xe$의 최소검출가능농도는 비교적 짧은 반감기로 인해 포집, 추출 및 측정시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성 제논 계측 시스템의 정해진 시료 포집 및 전처리 조건에서 최적의 방사성 제논 측정시간을 도출하기 위해 이론적 접근 및 SAUNA 시스템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최소의 MDC를 보이는 측정시간을 결정하고 이론적 계산과 실험결과에 대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공기중 유기용제 측정을 위한 활성탄섬유 확산포집기와 3M 확산포집기의 시료포집효율에 대한 연구 (Sampling efficiencies of the activated carbon fiber and 3M diffusive samplers for organic vapors)

  • 변상훈;오세민;이창하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1-31
    • /
    • 1997
  • Toluene, n-hexane, and methyl ethyl ketone(MEK) were exposed to the activated carbon fiber(ACF) and 3M(Model 3500) diffusive samplers under low and high humidity levels. In order to evaluate these two samplers, the sampling capacity, sampling rate, reverse diffusion, and storage stability were obtained. At low humidity level($8{\pm}3%RH$), the adsorption amount of all three organic vapors to the ACF diffusive sampler showed a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up to 8 hours. However, at high humidity level($90{\pm}5%RH$), n-hexane and MEK maintained a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up to 1.5 hrs, but decreased in their adsorption amounts afterwards. On the other hand, the adsorption amount of n-hexane, MEK, and toluene to 3M diffusive sampler showed almost a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up to 8 hours at both humidity levels. At low humidity level, there was almost no reverse diffusion for both 3M and ACF diffusive samplers. However, when the ACF diffusive sampler was used at high humidity level, there was about 52.63% of MEK sample loss and about 92.59% of n-hexane sample loss. The storage stabilities of the ACF and 3M diffusive samplers were both relative stable except for MEK. In the case of MEK, the difference between the analysis of the organic vapor right after the sampling and that of 3 weeks later at room temperature was 45% for the ACF diffusive sampler and 18% for the 3M diffusive sampler. Since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samples stored in a refrigerator was relatively stable, they need to be refrigerated until the analysis is done.

  • PDF

공기 중 니코틴 포집에 있어 국산 확산포집기와 능동포집기의 비교 평가 (A Comparison of Nicotine Diffusive Sampler and XAD-4 Tube for Determination of Nicotine in ETS)

  • 김효철;백남원;이경숙;김경란;김원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85-491
    • /
    • 2006
  • It is widely known that Environmental Tobacco Smoke(ETS) is not good for health. ETS is composed of a lot of chemicals. So indicators are needed to evaluate the risk of ETS in air. One of the indicators is Nicotine. Active sampler has been used to measure nicotine concentration in air.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active sampler method with diffusive sampler in exposure chamber and smoking areas, respectively. Sampling rate was 40.5 ml/min in exposure chamber. Experimental sampling rate (40.5 ml/min) was more than theoretical sampling rate (33.52 ml/min). And the higher was the concentration in air, the higher was experimental sampling rate. The average desorption, rate was 113.6%. The overall precision was 7.31 %. The overall accuracy was 18.96%, which were under NIOSH criteria. The average(GM) concentrations of nicotine by two sampling methods were $8.29{\mu}g/m^{3}$ (active sampler), $7.54{\mu}/m^{3}$ (diffusive sampler) in smoking area and smoking room. There was no regression between active sampler and diffusive sampler ($R^{2}=0.2397$). But slop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1.017, 0.9292, respectively after removing outliers. And the slope (1.017) was close to the theoretical slope (1).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diffusive sampler can be used to evaluate concentration of nicotine in air instead of active sampler.

하이드로퀴논 크러스레이트를 이용한 배가스 분리 특성 연구 (Study on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Flue Gas Using Hydroquinone Clathrate Compounds)

  • 이종원;최기종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6호
    • /
    • pp.865-868
    • /
    • 2011
  • 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의 분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유기 화합물인 하이드로퀴논을 이용하여 크러스레이트 화합물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크러스레이트 화합물은 고체 NMR 및 라만 분광법을 이용하여 기체의 포집 거동을 확인하였으며, 기체 분리 효율을 계산하기 위하여 원소 분석기를 통한 정량분석도 함께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는 질소에 비해 동일한 조건에서 크러스레이트 화합물 내로 더 잘 포집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다양한 압력에서 형성된 시료들을 분석한 결과, 이러한 이산화탄소의 선택적 포집 특성이 매우 낮은 압력에서도 뚜렷한 것으로 확인되어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를 적게 하면서도 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대규모로 분리/회수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향후 배가스에 대한 분리 응용 기술이나 혼합 가스의 선택적 분리와 같은 분야에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확산형 시료 채취기와 직독식 기기에 의한 이산화질소와 포름알데히드 농도의 비교 (The Comparison Study on the Concentration of $NO_{2}$, HCHO by Passive Sampler and Direct Reading Instrument)

  • 김경진;박지연;김형아;안규동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5년도 가을학술대회
    • /
    • pp.106-109
    • /
    • 2005
  • 확산형 시료 채취기와 직독식 기기(공정시험법, Nitrogen Oxides Analyzer Model; EC 9841, Ecotech, Australia)에 의한 $NO_2$, 농도를 비교하고, 능동시료채취기(공정시험법)와 확산형포집기에 의한 HCHO(포름알데히드) 농도를 비교하기 위해 서울 ${\cdot}$ 경기 또는 대전, 충남 ${\cdot}$ 북지역에 소재한 11개 시설(종합병원 4곳, 노인 병원 1곳, 보건소 1곳, 복지관 3곳, 보육시설 2곳)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1. 포름알데히드의능동 포집법(공정시험법)에 의한 시료(n=87)의 평균농도는 $11.44{\pm}11.07ppb$이고, 확산형 시료 채취기 의한 시료(n=40)의 평균농도는 $11.91{\pm}7.37ppb$으로 비슷한 값이 나왔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806). 2. 포름알데히드 능동 포집법에 의한 농도와 확산형 시료 채취기에 의한 농도와의 상관계수 r=0.404(p=0.037)로 나타나 이 두 가지의 방법은 특정시간 포름알데히드 측정에 사용하여도 어느 정도 비교하기에는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3. 이산화질소의 노출정도는 직독식 기기(공정시험방법)와 확산형 시료 채취기로 각각 1시간 (오전, 오후 각각 2회), 8시간 측정하였다. 공정시험방법(n=61)에 의한 1시간-시료 평균농도는$44.48{\pm}37.96ppb$이고, 확산형 시료 채취기(n=61)에 의한 1시간-시료 평균농도는 $3.58{\pm}2.07ppb$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0). 직독식 기기(n=61)에 의한 8시간-시료 평균농도는 $34.85{\pm}22.83ppb$이고, 확산형 시료 채취기(n=61)에 의한 8시간-시료 평균농도 $8.32{\pm}4.44ppb$으로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p=0.000). 4. 이산화질소를 직독식 기기(공정시험방법)와 확산형 시료 채취기로 측정한 1시간-시료 농도의 상관계수 r=0.253(p=0.268)이고 8시간-시료 일 때 상관계수 r=0.367(p=0.102)로 나타나 확산형 시료 채취기를 직독식 기기(공정시험방법) 대체 사용방법으로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 PDF

농업용 난방기의 사용 연식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농도 비교 (Comparison of Carbon Dioxide Emission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Age of Agricultural Heating Machine)

  • 김나은;김대현;김연중;김현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90-196
    • /
    • 2023
  • 본 연구는 등유를 사용하는 농업용 난방기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포집하고, 농업용 난방기의 사용 연식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배출농도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선형 회귀분석의 결과로 농업용 난방기의 연식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은 R2 = 0.84로 y = 26.99x+721.98의 식을 따른다고 나타났다. 농업용 난방기의 사용 연식에 따라 세 그룹으로 분류하여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산분석을 수행한 결과, 분석을 위해 설정한 유의확률0.05보다 작은 2.1961×10-13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적어도 한 그룹에서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난방기의 기본적인 배출농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기기의 제작사와 상관없이 농업용 난방기의 기기 연식만을 고려하여 배출가스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기기의 연소 방식에는 제작사에 따라 연소 방식에 차이가 미미하게 있었을 것으로 판단되며 데이터 변수의 개수가 늘어난다면, SVR(support vector regression) 기반의 선형회귀 분석 등을 실시하여 농업용 난방기의 이산화탄소 데이터가 온실가스발생량 파악에 더욱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더욱 세분화된 데이터의 수집 방식을 따라 더욱 높은 정확도를 가진 결과값을 도출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농업 분야에서 용도별 온실가스 발생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고정형 농기계인 농업용 난방기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정확히 파악하여 온실가스 배출량 조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저 누드센 영역에서의 복합 유체구의 유동장 (Flow Field across Multiple Fluid Sphere in the Low Kundsen Number Regime)

  • 정창훈;이규원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7-398
    • /
    • 2003
  • 대기 중 분진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여과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경우는 섬유 여과기, 입자상 여과기, 액적에 의한 습식 세정기 그리고 기포를 이용한 분진 제거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여과 원리를 이용한 집진 설비를 설계하는데 있어, 액적 또는 기포 주위의 유동장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포집구의 크기가 작아지고 화학적으로 반응성을 갖는 고온의 함진가스가 유입되는 경우 및 저압에서 운영되는 경우에 누드센수(Knudsen number)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데 이러한 영역을 저 누드센 영역(low Kundsen number regime)이라고 한다(Lee et al., 1978).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