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포식자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7초

황토와 화학물질 살포에 의한 적조생물Cochlodinium polykrikoides 제어에 따른 미소생물그룹의 단주기변화 (Short -term changes of microbial communities after control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y yellow clay and chemical compound dosing in microcosm experiments)

  • 백승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971-2977
    • /
    • 2015
  • 본 연구는 마이크로코즘에서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을 살조하기 위해 사용된 화학물질과 황토의 처리 후 미소생물그룹의 단주기 변화를 파악하였다. 황토 4g 과 10g에서 적조생물의 살조효과는 20%이하로 낮게 관찰된 반면, 화학물질(TD49)의 $0.8{\mu}M$ 에서는 대상생물이 85%이상 제어되었다. 미소생물그룹에서 박테리아는 모든 실험군에서 조사 1일 후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2일 후 가장 높게 관찰된 후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대조적으로 종속영양편모충은 조사 3-5일 경과 후 현저하게 높게 증가하였다. TD49처리군에서 박테리아가 2일후 점차적으로 감소한 것은 포식자인 HNF의 증가로 기인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피각을 형성하지 않는 섬모충 Uronema sp.,의 증가는 박테리아의 증가 후 2-3일의 시간차를 두고 반응하는 특색을 관찰하였다. 즉 이는 적조생물이 살조된 후 분해되는 과정에서 박테리아의 현저한 증식을 일으켰고, 이와 함께 포식자 HNF와 Uronema sp.는 일정의 시간차를 두고 높은 개체수를 유지 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은 경향은 살조물질 TD49처리군에서 두드려졌다. 특히. 사이즈가 큰 무각섬모충 Euplotes sp. 개체수는 HNF와 Uronema sp.의 현저한 증가 후 높게 관찰되는 특성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살조제 TD49물질은 미소생물그룹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고, 이는 박테리아, HNFs 섬모충으로 이어지는 먹이망의 에너지 흐름이 효율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할 수 있었다.

제주도 궁대오름 일대 교란정도가 다른 연못의 수서곤충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quatic Insect Fauna in Differently Disrupted Ponds Located in Gungdaeoreum, Jeju)

  • 고경훈;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33-441
    • /
    • 2020
  • 본 연구는 교란 정도가 다른 정수역 연못에서 수서곤충 분포 특성을 이해하고자, 2018년 3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제주도 궁대오름 일대 3곳의 인공연못(연못 1, 2, 3)과 2곳의 자연연못(연못 4, 5)에서 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3목 15과 50종의 곤충이 확인되었으며, 잠자리목 4과 14종, 850 개체, 노린재목 6과 14종, 4,391 개체, 딱정벌레목 4과 22종, 2,014 개체가 확인되었다. 수서곤충의 개체수와 종의 수는 상대적으로 기존 동식물 생태계가 안정적으로 잘 조성된 자연연못에서 인공연못보다 높게 나타났다. 인공연못의 경우도 수초 등을 도입하여 재조성한 경우 개체 수와 종수가 회복되는 현상을 보였다(연못 1). 잠자리목 유충은 포식자인 대형 어류가 존재하지 않고 성충의 진입이 차단되지 않는 연못에서는 다수 발견되었다. 노린재목의 경우 식식성인 물벌레과의 곤충들이 전체적으로 많이 발견되었으며, 딱정벌레목은 식물생태계 분포에 따라 물진드기과의 개체수에 영향을 받았다. 이렇게 수서곤충상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형과 수생식물을 통한 은신처와 포식자의 존재가 가장 큰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잠자리목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결과는 향후 습지를 복원 및 인공 습지를 조성하거나 종 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산불지 복원방법과 산불강도가 딱정벌레군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Recovery Method and Fire Intensity on Coleopteran Communities in Burned Forests)

  • 권태성;박영규;이철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67-278
    • /
    • 2011
  • 본 연구는 강원도 고성, 강릉, 삼척의 3개의 산불지에서 딱정벌레군집에 대한 산불강도와 복원방법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4개의 조사지는 산불강도와 복원방법에 의해서 야기된 교란강도(Disturbance Degree, DD)에 따라 각 조사지역에서 선정되었다. 조사지의 교란강도는 미피해지 (DD = 0), 지표화피해지 (DD = 1), 수관화피해지 (DD = 2), 수관화피해 후 인공복원 (DD = 3)로 구분하였다. 함정트랩법으로 채집된 딱정벌레류는 부식자, 식식자와 포식자의 3개 기능군으로 분류되었다. 딱정벌레류의 종수와 풍부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비산불지(DD = 0)보다 산불지(DD = 1-3)에서 다소 높았다. 딱정벌레군집은 산불의 강도나 복원방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인공복원과 자연복원 두 방법을 사용한 산불지의 복원은 산불지역에서 딱정벌레군집의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확률적 방법에 기반한 화학 반응 모형의 모수 추정 방법 (An estimation method for stochastic reaction model)

  • 최보승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4호
    • /
    • pp.813-826
    • /
    • 2015
  • 본 연구는 화학 반응 모형의 추정 문제를 다루고 있다. 화학 반응 모형이란 생화학 분야에서 종(species) 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변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형으로 생화학 분야 뿐 만 아니라 질병의 확산과정을 설명하는데 적용하는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 반응 모형 안에서 종들의 움직임이 확률적이라는 가정하에 Gillespi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모형 추정을 위한 우도함수를 구축하였다. 제한적인 자료구조 하에서 베이지안 접근법에 기반하여 MCMC (Markov chain Monte Carlo)방법에 기반한 모수의 추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들은 생태계 포식자-피식자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Lotka-Volterra 모형과 유전자 전사 (gene transcription)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L1 retrotransposition 모형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우수한 추정 결과를 보였다.

XML 기반 강건 타입형 유전자 프로그램의 이식${\cdot}$독립적 표현 (XML-based Portable Self-containing Representation of Strongly-typed Genetic Program)

  • 이승익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4호
    • /
    • pp.277-289
    • /
    • 2005
  • 선택과 재생산을 특징으로 하는 계통적 학습에서 유전자 프로그램이 가지는 긴 설계시간/높은 계산노력/낮은 계산효율을 극복하고자, 이 논문은 XML에 기반을 둔 유전적 표현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에서 유전자 프로그램과 유전자 연산은 기성 DOM 파서의 API 호출에 의하여 관리되기 때문에, 유전자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소비되는 시간이 상당히 단축되는 특징이 있다. 또 표준 XML 스키마를 기반으로 의미적으로 올바른 유전자 프로그램만을 다루기 때문에 탐색공간과 계산노력이 감소된다. 그리고 이형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유전자 프로그램의 이주에 적합한 시스템 및 형식인 XML을 사용하기 때문에 유전자 프로그램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계산효율이 향상된다. 제안된 방법의 검증을 위하여 포식자-피식자 문제에서 다중 에이전트의 사회적 행동의 진화에 적용한 결과, 유전자 프로그램에 대한 계산시간이 단축됨을 .보인다

지리산 왕등재습지의 담수조류의 분포와 역할 (Role and Distribution of Freshwater Algae at the Wangdeungjae Wetland in Mt. Jiri)

  • 박정원;박재충;김진희;송재영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22
    • /
    • 2008
  • 고산습지인 지리산 왕등재습지에서 담수조류의 분포와 역할을 조사하였다. 환경요인(평균)은 수온 $17.6^{\circ}C$, pH 6.3, 전기전도도 $24.6{\mu}S/cm$, 총질소 0.6 mg/L, 총인 0.09 mg/L 그리고 Chl-a는 $11.9{\mu}g/L$였다. 담수조류는 총 159종이 출현하였으며 녹조강 87종, 규조강 56종, 유글레나강 11종 그리고 남조강이 5종이었다. 이 중에서 녹조강의 물먼지말(desmid)이 56종으로 가장 많았고, 우점종은 규조강의 Aulacoseira distans이었다. 왕등재습지의 먹이사슬 분석을 위해 올챙이의 채식물을 분석한 결과 주로 담수조류를 섭식하였으며, 수중 우점조류인Aulacoseira distans가 최대로 존재하였다. 왕등재습지의 수중생태계에서 담수조류는 1차 생산자이자 상위 포식자의 먹이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igripus japonicus의 세균 섭이 (Feeding of Bacteria by Copepod Tigriopus japonicus)

  • 정민민;노섬;김필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3-118
    • /
    • 1998
  • Tigriopus japonicus를 대량생산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얻기 위해 무균 배양을 통한 nauplius 유생 단계와 성체의 식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무균 상태의 성체는 먹이로 공급한 RT 박테리아주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순조로운 증식을 보였다. 먹이로 공급한 RT 균주의 증식은 포식자 T. japonicus의 섭식에 의해서 그 증식이 크게 억제되었다. RT 균주만을 먹이로 배양한 T. japonicus의 성체가 가지고 있는 난낭안에는 oil bead로 충만해 있었다. 그러나, 무균 상태의 N. oculata만을 먹이로 공급한 경우에는 oil bead를 전혀 관찰할 수 없었다. 무균 조건의 nauplius 유생의 경우에는 먹이로서 공급한 RT 박테리아주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RT 박테리아주의 증식을 크게 억제하였다. 이 결과는 지금까지 T. japonicus가 잡식성인 것만으로 알려진 것과는 달리, 최소한 섭식기구가 미발달된 nauplius의 초기 유생은 사육수중에 세균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발생이 불가능하였다. 즉, 부화 직후 또는 발생 초기의 T. japonicus의 nauplius 유생은 박테리아식성 (bacterivorous)이었다.

  • PDF

동물플랑크톤 Daphnia magna와 Moina macrocopa에서 유도된 분비물질에 의한 Scenedesmus dimorphus의 형태변화 (Growth and Morphological Changes in Scenedesmus dimorphus Induced by Substances Released from Grazers, Daphnia magna and Moina macrocopa)

  • 장민호;주기재;;하경
    • 생태와환경
    • /
    • 제34권4호통권96호
    • /
    • pp.285-291
    • /
    • 2001
  • 상위포식자에 의해 유도되는 Scenedesmus dimorphus (T$\ddot{u}$rpin) K$\ddot{u}$tzing의 군체형성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동물플랑크톤 Daphnia magna (300 ind./L)와 Moina macrocopa (500 ind./L) 배양한후, $0.1\;{\mu}m$ (millipore)로 여과하여 얻어낸 용액 (ZFW)을 S. dimorphus가 1.8 ($10^5\;cells/ml$까지 자란 처리군에 첨가하여, ZFW를 넣지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두 동물플랑크톤 처리군에서 S. dimorphus의 군체형성의 유도가 뚜렷이 관찰되었다. 이 현상은 M. macrocopa 보다는 D. magna처리군에서 뚜렷하게 관찰되었으며, 첨가해준 ZFW의 양이 증가할수록 particle당 세포수도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ZFW처리군에서 1군체당 세포수(cells/colony)와 평균체적 (mean particle biovolume)은 $24{\sim}72$시간 사이에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S. dimorphus의 군체형성현상은 동물플랑크톤 D. magna와 M. macrocopa의 분비물에서 유도되는 화학물질의 영향으로 보이며, 이와 같은 형태변화현상은 동물플랑크톤의 포식에 대한 방어기작으로 작용하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먹이 종 감각 정보 제공에 따른 긴호랑거미(Argiope bruennichi)의 웹 건축 전략 (Web-Building Strategy of a Wasp Spider, Argiope bruennichi, under Sensory Information Emitted by a Prey Species)

  • 진우영;신현철;김길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1009-1015
    • /
    • 2011
  • 거미의 건축물인 웹의 구조는 먹이 포획을 위한 자원의 투자이자 그 자체가 포식 전략이다. 잠재적인 먹이종으로부터 제공되는 감각정보를 바탕으로 포식 전략을 수정하는 개체는 그렇지 못한 개체에 비해 더 높은 적응도를 가질 것이다. 본 연구는 공중에 둥근 웹을 건축하는 긴호랑거미(Argiope bruennichi)를 대상으로 자외선을 인식하는 비행성 곤충인 서양뒤영벌(Bombus terrestris)의 정보를 경험한 개체가 자신의 건축 행동을 수정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양뒤영벌(B. terrestris)의 정보를 제공받은 실험군의 개체가 건축한 웹의 구조를 대조군(정보 없음)의 웹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실험군 개체들은 웹과 흰띠줄 건축에 더 많은 투자를 할 것이라는 것이다. 실험 결과는 당초의 가설을 기각했다. 웹과 흰띠줄 건축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개체는 꽃꿀채집자의 정보에도 불구하고 흰띠줄을 더 길게 만들지도 웹을 확장하지도 않았다.

해산어류 자어의 초기 먹이생물인 로티퍼의 최초 섭이 일령과 포식 수 분석을 위한 새로운 관찰 및 계수 방법 (Studies about New Observation and Counting Method for Analysis of First Feeding Day and Daily Feeding Numbers of Rotifer by Marine Fish Larvae)

  • 정민민;위종환;지영주;민광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8-182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해산어 초기 자어 사육 과정에서 자어가 섭이하는 로티퍼의 새로운 관찰 및 계수방법을 제시한다. 지금까지는 해산어 자어를 사육하면서 언제부터 로티퍼를 먹이로 이용 가능한지? 그리고 일령이 경과함에 따라 어느 정도 양의 로티퍼를 섭이하는지? 정확하게 분석할 수는 없었다. 왜냐하면 자어가 섭이한 로티퍼(몸통)는 소화기관내에서 소화되어 연구자가 관찰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관찰 방법으로서 로티퍼의 저작기(trophi)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로티퍼는 각 개체마다 한개의 저작기를 가지며 이 저작기는 해산어 자어의 소화기관내에서도 소화되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자어의 소화기관내의 저작기를 관찰하여 계수하는 방법(RTCM; Rotifer Trophi Counting Method)을 이용하여 로티퍼를 최초로 섭이하는 일령은 물론 자어의 일령이 경과함에 따른 포식 로티퍼 개체수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