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포만트 합성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Study on the Korean Text-to-Speech Conversion Using the Formant Synthesizer(I) (포만트 합성방식에 의한 한국어 문자/음성 변환에 관한 연구 (I))

  • 김민년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5.06a
    • /
    • pp.119-122
    • /
    • 1995
  • 음소단위의 포만트 합성방식을 이용하여 한국어의 규칙합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포만트 합성방식으로는 Klatt가 제안한 직/병렬 합성기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운율 정보를 나타내는 피치값의 제어는 Fujisaki 모델을 이용하였다. 합성에 사용되는 각 파라미터들이 합성음의 음질 및 파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합성 파라미터와 음성파형 및 스펙트로그램을 화면에 나타내고 마우스를 이용하여 파라미터 값을 사용자가 적절히 변경한 후 합성할 수 있는 포만트 방식의 합성 Tool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한국어 문자/음성변환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Demisyllable database for formant synthesizer (포만트 합성기용 반음절 세트의 구축에 관한 연구)

  • 이정석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2.06a
    • /
    • pp.81-84
    • /
    • 1992
  • 포만트형 합성기에 사용될 반음절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과 필요한 파라미터의 추출 과정에 대하여 논한다. 포만트 합성기는 많은 구동 파라미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저장 장소를 절약하기 위해서 적절한 합성단위의 선택과 합성단위의 효율적인 표현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포만트 합성기에 있어서 합성음의 음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포만트궤적의 추출과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Korean Synthesis-By-Rule System Using Formant Synthesis Method (포만트합성법을 이용한 한국어 규칙합성시스템의 구현에 관한 연구)

  • 조철우;이태원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9 no.6
    • /
    • pp.38-44
    • /
    • 1990
  • 포만트 합성법을 이용하여 규칙합성시스템을 구현한 일례를 제시한다. 먼저 음소의 입력을 위한 영문 알파벳과 음소의 대응관계를 설정한 뒤 수집된 자연음성으로부터 포만트 합성을 위한 특징 파라미 터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하다. 그 다음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제시된 음소간을 연 결하는 규칙을 제안하고 음소단위의 합성을 행한다. 합성에는 신호처리 프로세서를 사용한 실시간 포만 트 음성합성기를 구현하여 사용하였다. 합성결과 단독음소와 연결음소에 대하여 합성음성을 얻고 이를 평가하였다.

  • PDF

Study on formant transition for improvement of speech synthesis (음성 합성의 개선을 위한 포만트 변경에 관한 연구)

  • Lee Sang-hyun;Yang Sung-il;Kwon Y.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41-4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음성합성 과정에서 음성유닛을 연결할 때 모음의 결합부분에서 포만트의 불일치로 일어나는 부자연스러운 합성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앞에 오는 음성 유닛과 뒤에 오는 합성 유닛의 포만트 변경에 관한 방법을 제안한다. 요즘에 연구되는 코퍼스 방식에선 에너지와 피치와 음순지속시간 등을 기준으로 유닛을 선택한 후 연결하지만, 스펙트럼의 불일치가 이루어진다. 이런 스펙트럼의 불일치는 음질의 저하를 유도한다. 그래서 앞 음성유닛의 연결부분의 일정부분과 뒤 음성 유닛의 연결부분의 일정부분의 포만트를 천이시켜 일치시켜줌으로써 음질을 향상시켰다. 음성신호를 FFT한 후 magnitude와 phase를 분리한 후 앞 음성의 연결부분의 magnitude와 뒷 음성의 연결부분의 magnitude를 기준으로 linear interpolation한 값을 목표치로 이동하고 다시 합하여 원 신호를 복원하는 방식으로 포만트를 변경시켰다.

  • PDF

A Study on Improvements of Speech Analysis Methods for Speech Synthesis (음성 합성을 위한 음성 파라미터 분석법의 개선에 관한 연구)

  • 방호균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5.06a
    • /
    • pp.111-114
    • /
    • 1995
  • 포만트 합성에 필요한 음성 파라미터를 분석하는 방법의 개선에 관하여 논한다. 내용은 주로 피치 동기 분석을 위한 피치 위치 추정법의 개선과 포만트 분석시 발생하는 스펙트럼의 왜곡 현상을 기존이 포만트 분석법 및 선형예측분방법과 비교한다.

  • PDF

An algorithm of the Non-uniform synthesis unit selection for concatenative speech synthesis system (연결형 합성시스템을 위한 문맥종속 단위 기반의 비정형 합성단위 추출 알고리즘)

  • 김영일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273.2-277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음소단위 비정형 연결합성 시, 접합점에서 포만트 불연속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이웃음소간 경계강도 예측모델과 합성단위 검색시 음소단위 최장일치 검색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합성단위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신호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_C_”환경에서 자음이 유성음화된 경우, “_V_”환경에서 모음이 무성음화된 경우, 그리고 유성음 사이의 포만트 주파수 차이에 대한 모델을 생성하여, 음소간의 조음강도가 약한 부분이 합성단위 경계로 설정되도록 하였다. 합성단위 경계가 결정되면 주어진 문장의 문맥정보만을 이용하여 코포스로부터 후보를 선택한다. 선택된 후보를 사이의 연결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합성 경계를 기준으로 전, 후 음소에 대한 음성적 특성과 포만트 천이 특성을 고려하였다. 실험은 K-ToBI 레이블링된 200문장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코퍼스로부터 한 문장을 선택하여 이를 목적치 패턴으로 선정 한 후, 목적치 패턴과 후보사이의 단위비용과 후보들 간의 연결비용을 계산하여 최적의 합성단위열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맥종속 단위 기반의 합성단위 추출 알고리즘과 실험 결과에 대해 보고한다.

  • PDF

An Alteration Rule of Formant Transition for Improvement of Korean Demisyllable Based Synthesis by Rule (한국어 반음절단위 규칙합성의 개선을 위한 포만트천이의 변경규칙)

  • Lee, Ki-Young;Choi, Chang-Seok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4
    • /
    • pp.98-104
    • /
    • 1996
  • This paper propose the alteraton rule to compensate a formant trasition of several connected vowels for improving an unnatural synthesized continuous speech which is concatenated by each demisyllable without coarticulated formant transition for use in dmisyllable based synthesis by rule. To fullfill each formant transition part, the database of 42 stationary vowels which are segmented from the stable part of each vowels is appended to the one of Korean demisyllables, and the resonance circuit used in formant synthesis is employed to change the formant frequency of speech signals. To evaluate the synthesied speech by this rule, we carried out the alteration rule for connected vowels of the synthesized speech based on demisyllable, and compare spectrogram and MOS tested scores with the original and the demisyllable based synthesized speech without this rule. The result shows that this proposed rule can synthesize the more natural speech.

  • PDF

Formant Synthesis of Haegeum Sounds Using Cepstral Envelope (캡스트럼 포락선을 이용한 해금 소리의 포만트 합성)

  • Hong, Yeon-Woo;Cho, Sang-Jin;Kim, Jong-Myon;Chong, Ui-Pil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8 no.6
    • /
    • pp.526-533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a formant synthesis method of Haegeum sounds using cepstral envelope for spectral modeling. Spectral modeling synthesis (SMS) is a technique that models time-varying spectra as a combination of sinusoids (the "deterministic" part), and a time-varying filtered noise component (the "stochastic" part). SMS is appropriate for synthesizing sounds of string and wind instruments whose harmonics are evenly distributed over whole frequency band. Formants extracted from cepstral envelope are parameterized for synthesis of sinusoids. A resonator by Impulse Invariant Transform (IIT) is applied to synthesize sinusoids and the results are bandpass filtered to adjust magnitude. The noise is calculated by first generating the sinusoids with formant synthesis, subtracting them from the original sound, and then removing some harmonics remained. Linear interpolation is used to model noise. The synthesized sounds are made by summing sinusoids, which are shown to be similar to the original Haegeum sounds.

A Study On the Pitch Extraction by the Spectrum Flattening in an Adaptive Sub-band using LSP (LSP를 이용한 적응 밴드 스펙트럼 평탄화에 의한 피치 검색 방법에 관한 연구)

  • Seo JiHo;Bae MyungJi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105-106
    • /
    • 2004
  • 음성인식, 합성 및 분석과 같은 음성신호처리 분야에 있어서 피치검출이나 포만트검출은 매우 중요하다. 주파수 영역의 스펙트럼 신호는 잡음이 부가되는 경우에도 고조파정보와 포만트 포락선 정보를 유지하기 때문에 음성신호처리분야에서 매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고조파 정보나 포만트 포락선 정보는 피치검출과 포만트 주파수 검출에 직접 이용된다 하지만 두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에 따라 피치검출이나 포만트 주파수 검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기존의 방법보다 두 성분을 더 잘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펙트럼 신호를 최대한 평탄화시킴으로써 포만트의 영향을 제거하고 고조파 성분을 분리해 내어 이를 피치검출에 사용한다. LSP를 이용하여 적응적 밴드에서 평탄화를 시도하고 이를 피치 검출에 이용하였다.

  • PDF

On a pitch detection with spectrum compensation technique of speech signal (스펙트럼 보상에 의한 피치 검출에 관한 연구)

  • Ahn, Jung-Hyun;Bae, Myung-Jin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6.06a
    • /
    • pp.401-402
    • /
    • 2006
  • 음성인식, 합성 및 분석과 같은 음성신호처리 분야에 있어서 기본주파수 즉, 피치를 정확히 검출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포만트의 영향과 천이진폭의 영향 때문에 음성신호에서 피치를 정확히 구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더구나 노이즈가 포함된 신호에서는 더 더욱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켑스트럼영역에서 포만트의 영향 을 제거하고 밴드 필터링 한 후 기본 피치 정보를 강조 보상하여 피치주기를 검출하는 방법을 새로이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