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폐절제술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2초

기관절단면의 결핵성 육아종의 존재여부에 따른 기관지늑막루 발생한 관한 연구 (Clinical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Bronchial Submucosal Granuloma and Post-resectional Bronchopleural Fistula)

  • 서정욱;정일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5호
    • /
    • pp.524-529
    • /
    • 1996
  • 본 연구는 폐결핵으로 폐절제술을 시행한 2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현미경학적 소견을 바탕으로수술한 환자의 기관지 절단면에서 점막하 결핵성 육아종의 여부를 결정하였다. 기관지늑막루 가 생 긴 6례에서 점막하 육아종과의 연관성을 찾기 위 해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200례중 19례 에서 점막하 육아종이 있었다. 이 19례중 2례 에서 기관지늑막루가 발생하였고 그 반대로 점막하육아종이 없었던 예에서는 단지 2.2%에서만 기관지늑막루가발생하였다. 점막하육아종이 있는 예에서 술전 객담 도말검사상 결핵균 양성 인 경우가 더 많았고 또한 술후 늑막사강의 빈도도 높았다.

  • PDF

폐방성균증을 동반한 기관기관지 환자 수술 치험 1예 (A Case Report of Tracheal Bronchus Associated with Pulmonary Actinomycosis)

  • 양승인;이형렬;박준호;이민기;박순규;김건일;이창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1호
    • /
    • pp.878-882
    • /
    • 2003
  • 기관기관지는 기관우측벽에서 기시하는 이상 혹은 부기관지를 말하며 재발성 폐렴, 비폐쇄성 기관지 확장증 등의 염증성 질환과 관련 있다. 최근에 우리는 폐 방사균증과 관련된 기관기관지 1예를 경험하였다. 37세의 남자 환자는 재발성의 객혈을 호소하였고 당초 폐결핵으로 추정하여 항결핵제를 투여 받았으나 임상적으로나 방사선학적으로 호전을 보이지 않았다. 우상엽 폐절제술이 시행되었으며 조직학적 검사에서 폐 방사균증으로 화진되었다. 술 후 환자는 3개월간 penicillin과 ampicillin이 투여됐으며 6개월간의 추적기간 동안 재발을 나타내지 않고 완전히 회복되었다.

좌하엽으로의 비정상적인 체순환 1예 (A Case of Anomalous Systemic Arterial Supply to Normal Basal Segments of Left Lower Lobe)

  • 김재덕;김윤섭;임홍목;이상록;이계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1호
    • /
    • pp.97-102
    • /
    • 2004
  • 저자들은 객혈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조영증강 전산화 단층촬영과 혈관 조영술을 통해서 좌하엽으로의 비정상적인 체순환을 진단하였으며 좌하엽 폐절제술로 치료를 성공적으로 시행한 경험이 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기관 무명 동맥루 -1례 보고- (Tracheoinnominate Artery Fistula -A Case Report-)

  • 김맹호;김일현;김광택;김학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5호
    • /
    • pp.536-539
    • /
    • 1998
  • 기관무명동맥루는 기관절개술후 드믈게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며, 치료는 신속한 외과적 처치가 관건이 된다. 환자는 과거력상 30년전에 폐결핵으로 좌측전폐절제술을 시행받았으며 그 동안 경과 양호하였으나 최근 2개월간 급성호흡부전으로 기관절개술을 시행받고 호전되어 11 mm 실리콘 Montgomery T-tube로 교환 후, 3일째 발생한 기관무명동맥루에 의한 절개창주위의 다량의 출혈과 기도폐쇄에 의한 심정지를 일으켰다. 기관무명동맥루에서 Utley maneuver와 무명동맥을 절단봉합하여 지혈에 성공하였고, 이에 지혈방법, 수술수기에 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결핵에 대한 폐절제술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pulmonary resection for tuberculosis [III])

  • 김병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6권3호
    • /
    • pp.356-361
    • /
    • 1983
  • Pulmonary tuberculosis is still one of unsolved problems in Korea due to increased number of far-advanced and drug-resistant patients, who have poor pulmonary function. We have analyzed 1332 operated Gases during the period of 1958-1981. Annual incidence of the disease decreased from 110 [1960] to 21 [1980]. The ratio between male and female was 7:3 and the age of peak incidence was in the 3rd and 4th decades. Recently, patients below the age of 20 years were slightly decreased, but above 50 years were slightly increased. The patients consisted of far-advanced case in 60% and moderately-advanced in 39% in 1980, as compared with 40% and 59% correspondingly in 1965. Preoperative sputum positively decreased from 91% [1958-1963] to 43.8% [ 1974-1981 ]. Medically treated patients for more than 3 years increased from 16% [1958-1963] to 51% [1974-1981]. From the view of surgical indication, totally destroyed hung increased from 27% [1958-1963] to 4396 [1974-1981 ]. Therefore, pneumonectomy occupied 53.8% of total surgical management recently. Mode of surgical treatment showed that thoracoplasty [33%], resection [57%] in 1958-1963 and thoracoplasty [2%], resection [98%] in 1974-1981. As Semb`s thoracoplasty was the first choice of treatment until 1960, thereafter resection became the choice. Postoperative mortality increased from 1.6-2.096 to 396 recently as well as morbidity. It was mainly due to increased number of poor pulmonary function and postoperative spread of disease. On the basis of our experience, far-advanced and drug-resistant patients increased in number recently, whose pulmonary function was poor. So postoperative mortality and morbidity increased. Proper surgical intervention should be considered before the appearance of resistance for all chemotherapeutic drugs.

  • PDF

근감소증 진단을 위한 척추 분류 모델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pine Classification Model for Sarcopenia Diagnosis and Validation)

  • 이충섭;임동욱;노시형;박철;정창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75-478
    • /
    • 2023
  • 컴퓨터 단층촬영(CT)을 활용한 골격근 단면적은 근감소증과 관련된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일반적인 근감소증 연구는 요추 3번의 골격근량을 주로 보지만 암 또는 폐절제술과의 상관관계를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에서는 흉추 4번, 7번, 8번, 10번, 12번 다양한 수준의 골격근량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흉부와 복부 CT 영상에서 근감소증 진단을 위해서 흉추와 요추의 영역별 슬라이스를 검출하기 위해서 CNN 구조의 EfficientNetV2를 전이학습하여 인공지능 모듈을 개발하였다. 인공지능 모듈은 전체 흉부 및 복부 CT 영상에서 Cervical, T1, T2, T3, T4, T5, T6, T7, T8, T9, T10, T11, T12, L1, L2, L3, L4, L5, Sacral 총 19 클래스를 검출하도록 하였다. Test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Confusion Matrix와 Grad-CAM으로 모델의 정확도를 시각화하여 보였으며 검증으로 인공지능 모듈의 정확성을 측정하였다. 끝으로 우리가 개발한 다기관 공동연구 지원플랫폼에 적용하여 시각화된 결과를 보였다.

기관분기부 편평상피 세포암에서 순차적 양측 개흉술을 통한 좌측 소매 전폐 절제술 치험 1예 (Left Sleeve Pneumonectomy Via Sequential Bilateral Thoracotomy in Carinal Squamous Cell Carcinoma -One case report-)

  • 김도형;강두영;백효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6호
    • /
    • pp.444-447
    • /
    • 2003
  • 기관분기부에 침범한 악성 종양의 치료로 이용되는 소매 전폐 절제술은 수술 후 높은 유병률과 사망률을 동반하나 기관 분기부위의 악성 종양이 일측 폐를 완전히 허탈시키고 반대편 기관지의 허탈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좋은 수술적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64세된 남자환자는 과거력에서 13년 전에 승모판 협착증 및 삼첨판 폐쇄 부전증으로 타 병원에서 승모판 치환술 및 삼첨판륜 성형술을 시행 받았으며 2년 전에는 성대에 생긴 유두종으로 종양절제술을 시행받았다. 최근에는 혈담을 주소로 내원하여 기관지내시경 및 흉부 컴퓨터단층촬영에서 하부 기관부터 좌측 주 기관지까지 약 3.5 cm의 악성 편평상피세포암이 관찰되었으며 좌측 주 기관지를 완전히 막고 있는 소견이 있었고 grade III의 삼첨판 폐쇄부전이 있었다. 심폐 바이페스 없이 순차적 양측 후측방 개흉술을 통해 좌측 소매 전폐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후 병리 조직검사에서 T4N0M0인 악성 편평상피세포암으로 확인되었고 수술 후 특별한 문제없이 퇴원하였다.

자동 조직 봉합기를 사용한 폐절제술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Pulmonary Resection Using Staplers)

  • 맹대현;곽영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8호
    • /
    • pp.905-909
    • /
    • 1996
  • 1991년부터 1994년까지 75례의 폐 절제술을 시행하여 기관지 절주를 봉합하는 방법에 따라2군으로 나누었다. 49명의 환자에서 51례의 자동 조직 봉합기를 사용하였고(Group I) 24례에서 단속 수봉합 하였다.(Group II). 환자의 구성은 악성종양 3)례 (Groups:Group II, 22:11), 기관지확장증 23례 (18:5), 양성 종양 5례 (3:2), 국균증 5례 (2.3), 결핵 3례 (2:1), 기관지 선종 2례 (0:2) 등이 었다. 수술 수기는 21례의 전폐절제술(18:3), 13례의 쌍엽절제술(11:2), 26례의 폐엽절제술(14 12), 11례의 폐구역절제술(6:5)과 4례의 폐엽절제술 및 폐구역절제술(4:0)을 시행하였다. 자동 조직 봉합기를 사용한 군에서 수봉합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술후 흉관 배액량이 적었고 (p=0.047) 흉관 제거 시기가 더 빨랐다(p=0.005). 그러나 통계 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술후 공기 누출 기간도 짧았고3p=0.2821 기관지 흉막루의 발생 빈도도 더 적었다.

  • PDF

조기 폐암에서 다빈치 로봇을 이용한 폐엽절제술 - 3예 보고 - (Da Vinci Robot-Assisted Pulmonary Lobectomy in Early Stage Lung Cancer - 3 cases report -)

  • 함석진;이교준;조상호;김형중;전세은;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659-662
    • /
    • 2008
  • 흉강경을 이용한 폐절제술이 1990년대 초반 처음으로 소개된 이후로 조기 폐암 환자의 수술에 있어 안정성과 적합성이 발표되면서 그 시행 횟수가 서서히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흉강경을 이용한 수술은 2차원 영상과 불안정한 카메라의 움직임, 기구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등의 여러 가지 단점들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최근에 개발된 다빈치 로봇 시스템은 고해상도의 3차원 입체영상과 사람의 팔목관절과 유사한 움직임을 구사하는 기구들로 인하여 더욱 안정되고 편리하게 수술을 시행할 수 있게 하였다. 본원에서는 다빈치 로봇 시스템을 이용하여 3명의 조기 폐암환자에서 폐엽 절제술을 시행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