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폐색 현상

Search Result 6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emantic Occlusion Augmentation for Effective Human Pose Estimation (가려진 사람의 자세추정을 위한 의미론적 폐색현상 증강기법)

  • Hyun-Jae, Bae;Jin-Pyung, Kim;Jee-Hyong, Lee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11 no.12
    • /
    • pp.517-524
    • /
    • 2022
  • Human pose estimation is a method of estimating a posture by extracting a human joint key point. When occlusion occurs, the joint key point extraction performance is lowered because the human joint is covered. The occlusion phenomenon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types of actions: self-contained, covered by other objects, and covered by background.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ective posture estimation method using a masking phenomenon enhancement technique. Although the posture estimation method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research on the occlusion phenomenon of the posture estimation method is relatively insufficient. To solve this problem, the author proposes a data augmentation technique that intentionally masks human joints. The experimental results in this paper show that the intentional use of the blocking phenomenon enhancement technique is strong against the blocking phenomenon and the performance is increased.

Permeability Reduction of Soil Filters due to Physical Clogging (물리적 폐색으로 인한 흙필터의 투수능 저하)

  • ;;;;Reddi, L. N.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7 no.1
    • /
    • pp.15-24
    • /
    • 2001
  • 흙필터는 일반적으로 침식이나 파이핑으로부터 지반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세립자들이 유동하여 필터에 퇴적하는 폐색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간극수압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지반구조물의 불안정을 유발시키게 된다. 미세입자의 유동에 의한 폐색현상은 옹벽의 뒤채움재에 설치한 필터, 흙댐의 저부에 설치된 필터, 그리고 터널의 라이닝 뒤에 설치한 필터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폐색현상은 필터의 투수능을 저하시켜 배수능력에 상당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필터의 폐색으로 인한 투수능 저하 정도를 실험을 통해 관찰하고 이론적인 모델을 통해 정량화 시키고자 하였다. 일정한 농도의 현탁액이 필터로 유입되는 분리형 실험과 현장상태를 모사하는 흙-필터 시스템의 결합형 실험을 통해 투수능의 저하현상이 압력 제어조건과 유량 제어조건에서 관찰되었고, 서로 비교 분석되었다. 미세입자가 통과하는 필터의 간극을 모세관으로 가정한 후 모세관에서 유체의 흐름 원리를 이용하여 물리적인 폐색에 의해 발생하는 투수능 저하현상을 이론적인 모델로 구성하였다. 일반적으로 투수능은 1/10 수준으로 감소되었으며, 분리형 실험에 의한 결과와 이론적인 모델의 결과는 잘 일치하였다. 또한, 결합형 실험결과와 분리형 실험결과가 비교적 잘 일치하여 투수능 저하예측은 분리형 실험이나 이론적 모델에 의하여 가능하리라 판단되었다.

  • PDF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Gagokchon River Estuary According to Topographic Changes (가곡천 하구부 지형변화에 따른 수리특성 분석)

  • Choi, Jong Ho;Jun, Kye Won;Yoon, Yo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87-287
    • /
    • 2017
  • 강원도 산지로부터 발원하여 동해안으로 유입되는 산지하천의 경우 경사가 급하고 유로연장이 짧아 집중호우시 유사가 하류로 빠르게 이동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동해안과 만나는 하천의 하구부에서는 하천유황과 흐름에 따라 침식과 퇴적을 반복하며 퇴적토사가 계절변화에 따라 증가하여 하구폐색현상이 발생하는 곳이 많다. 이러한 하구폐색현상은 하천 환경적으로 위험지역을 형성하여 하천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고 하천유량의 원활한 소통에 방해요인으로 작용되어 재해발생 가능성을 증대시키기도 한다. 본 연구대상지역인 강원도 삼척시 가곡천은 동해안으로 유입되는 하천으로 하구부에는 경관가치가 뛰어난 솔섬이 위치하고 있으며, 모래사장으로 이루어진 해변으로 연결되어 있어 유량의 변화에 따라 주기적으로 하구폐색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구폐색에 따른 하천형태학적 측면의 수리특성 파악을 위해 장기간 동안의 하천모니터링 작업과 수치모델링을 수행한 결과, 하구의 폐색현상이 하천에서 댐의 역할을 하여 기점수위를 증가시키고 일정수위이상 도달하였을 때 하구가 개방됨에 따라 수리특성이 급격히 변화하여 솔섬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하구가 개방되었을 때의 방향에 따라 솔섬주변 지형에 대한 침퇴적 양상 및 수리특성이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clogging of shield TBM cutterhead opening are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ohesive soil content (점성토 함량 특성에 따른 shield TBM cutterhead 개구부의 폐색현상에 관한 연구)

  • Bang, Gyu-Min;Kim, Yeon-Deok;Hwang, Beoung-Hyeon;Cho, Sung-Woo;Kim, Sang-Hwa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3 no.4
    • /
    • pp.265-280
    • /
    • 2021
  • Population density due to urbanization is making people interested in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and much interest in TBM construction with low vibration and noise. This led to a lot of research on TBM. However,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tterhead opening of the TBM equipment being occluded under the ground conditions under which it is excavated is insufficient. Accordingly, a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logging of the cutterhead opening during the shield TBM rolling. To identify the clogging of cutterhead openings in SHIELD TBM equipment, the reduced model experiment was divided into clay rate (10%, 30%, 50%, 60%), cutterhead opening rate (30%, 50%, 60%), and cutterhead rotation direction (one-way, two-way) and rotational speed (3 RPM) and conducted in 36 cases. Results of scale model test on shield TBM clogging, it was analyzed that the ground condition containing clay soil increased the clogging effect in both directions than the unidirectional rotation, and that the lowe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utterhead, the less the clogging effect. Accordingly, the direction of cutterhead rotation, rotational speed and opening rate are calculated by taking into account ground conditions during ground excavation, the clogging effect can be reduced. It is believed to be effective in saving air as the clogging effect is reduced.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n important material for domestic use of shield TBM.

Detecting and Restoring Occlusion Area for Generating Digital Orthoimage (수치정사투영영상 제작을 위한 폐색영역의 탐지와 복원)

  • 권오형;김용일;김형태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143-148
    • /
    • 2000
  • 레이저 프로파일링 시스템의 등장으로, 기존에는 얻을 수 없었던 도시 지역에 대한 DTM 취득이 가능해졌고, 더욱 정확한 정사투영영상 또한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높이 변화를 보이는 자연지물과 인공구조물이 있는 지역에 대해 기존의 정사투영사진 제작기법이 적용될 때, 폐색이나 이중매핑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고층건물이 밀집되어 있는 도심지에서 이러한 현상은 두드러져 정사투영영상의 품질을 저해하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카메라의 외부표정요소와 DTM을 이용하여 폐색영역을 탐지하고, 폐색이 안된 다른 영상의 정보를 통해 폐색영역을 복원하여 더욱 완전한 정사투영을 제작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에 의해 자연지물이나 인공고조물에 의한 폐색영역을 탐지할 수 있었고 폐색영역의 많은 부분을 부가영상을 이용하여 복원하였다. 건물에 대한 사전지식을 이용하여 폐색영역을 탐지하는 국내 연구가 있지만, 본 연구는 건물에 대한 부가정보나 모델링을 사용하지 않고 DTM과 카메라 외부표정요소만을 이용하여 폐색영역을 탐지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연구들과 차별성을 가진다.

  • PDF

Influence of a isolator in supersonic nozzle on thermal choking (초음속 노즐의 분리부가 열폐색에 미치는 영향)

  • Kim, Sangwoo;Kim, Youngcheol;Kim, Jangwoo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1 no.3
    • /
    • pp.237-242
    • /
    • 2012
  • This study presents numerical solutions of the two-dimensional Navier-Stokes equations for supersonic unsteady flow in a convergent-divergent nozzle with a isolator. The TVD scheme in generalized coordinates is employed in order to calculate the moving shock waves caused by thermal choking. We discuss on transient characteristics, unstart phenomena, fluctuations of specific thrust caused by thermal choking and effects of isolator. The adverse pressure gradient caused by heat addition brings about separation of the wall boundary layers and formation of the oblique shock wave that proceed to upstream. The proceeding speed of the oblique shock wave to upstream direction for the convergent-divergent nozzle with isolator is lower than that for the nozzle without isolator.

A Study on Drift and Sediment Transport near Heoya-River Estuary (회야강 하구에서의 표사 및 유사 이동특성)

  • Lee, Sueng Dae;Lee, Geun Il;Kim, Muen Jeo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17-217
    • /
    • 2011
  •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에 위치한 회야강의 하구폐색은 1990년대 중반부터 주목을 받아서 연구 되어오고 있다. 하천의 하구에서는 일반적으로 파랑류, 취송류와 하천류 뿐 아니라 해류나 조류 등의 영향도 받는다. 회야강 하구는 이러한 흐름과 더불어 독특한 지형이 영향을 주어서 더욱 복잡한 흐름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복잡한 흐름의 영향으로 회야강 하구에서 사주가 강하게 발생하고 이로 인해서 하구폐색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1997년부터 2004년 진하 방사제를 설치하였으나 이후에도 하구폐색이 계속 진행되었기 때문에 정기적인 준설로 하구폐색을 막고 있는 실정이다. 근본적으로 하구폐색을 막기 위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하상변동특성과 표사 및 유사의 이동 특성에 대한 과학적인 해석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해역에 가장 큰 영향인자로 예상되는 하천류와 해빈류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하천류 검토를 위해서는 회야강에서 유출하는 유사량을 혼합입경의 관점에서 실험하였고, 도류제 설치 유무에 따른 하구역에서의 지형변동 및 하구폐색현상을 해석하였다. 해빈류 검토에서는 파랑에 의한 회야강 하구인근에서의 흐름장과 침퇴적 해석을 통해 하구 인근해역의 지형변동특성을 고찰하였다. 회야강 하구에서 혼합입경($d_{10}$, $d_{50}$, $d_{90}$)을 고려하여 하천류의 수치실험을 수행한 결과 유출시간의 경과에 따라 하구역의 하상고가 점차 상승하여 하구사주가 발달하고 이로인하여 하구폐색이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또 유송토사량에 대한 해석결과 홍수량 증가에 비례하여 유송토사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평수시에는 하천의 유출량이 미소하여 하구폐색현상의 주외력은 파랑에 의한 해빈류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같은 외력조건에 의해 하구에서 연안사주 발생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파랑에 의한 해빈류가 회야강 하구에서 순환류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의 결과로 도류제 설치 후에도 하구부 인근해역에서 퇴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logging of Sand Filter in a Model Filtration-Pond (천변여과지 모형에서 여재모래의 폐색현상 실험연구)

  • Jeong, Jae-Min;Kim, Seung-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5 no.9
    • /
    • pp.681-685
    • /
    • 2013
  • A pilot-scale sand-box experiment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ross-flow velocity on the clogging of the filter sand in a model filtration pond. The clogging phenomenon was observed during the operation with the cross-flow varied in stages in a range of 0~40 cm/sec, and the experimental result was analyzed using a numerical code. Results showed that the cross-flow velocity in this range had no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clogging and that clogging occurred mostly on the filter-surface. It was found that while the production rate decreased from $5m^3/m^2-day$ to $3m^3/m^2-day$ the clogging coefficient of the top 50 cm layer increased up to about 30,000 sec, which corresponded to 87% of the clogging coefficient of the total 2.4 m layer. Of the clogging coefficient of the top 50 cm layer, surface clogging constituted 90% while the other 10% was intermediate clogging. It was also found that the surface clogging increased while the intermediate clogging remained constant as the operation continued, and that filtrate turbidity along the filtration depth remained constant in spite of the increase in clogging.

Drain Capacity of PVD Filter Considering the Field Condition (현장 토질특성을 고려한 연직배수재 필터의 성능평가)

  • Han, Sung-Su;Jeong, Kyeong-Han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6 no.1
    • /
    • pp.33-38
    • /
    • 2007
  • PVD (Prefabricated Vertical drain) consists of filter and core. An effective PVD has two basic filtration functions ; first to retain soil particle ; and second, to allow water to pass from the soil into the PVD core without clogging or blinding. Clogging which reduces the permeability of the geotextile filter jacket is caused by fine particles penetrating into the geotextile filter jacket in relatively low permeability soil conditions. As clogging performance increases gradually, excess pore water flow from soil is resisted and finally consolidation delays. Current soil-geotextile filter system criteria are generally based on relationships between a representative pore size of the geotextile and particle size of the soil. In Korea, PVD geotextile filter system criteria have been applied by only testing AOS (Apparent Opening Size) of filters without evaluating the filtration and clogging performance on soil-geotexile filter systems. Therefore, the filtration tests on soil-geotexile filter systems were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the filtration and clogging performance with 3 kinds of geotextile filters. On these tests, we have applied geotextile filter system criteria on PVD in ${\bigcirc}{\bigcirc}$ sites.

  • PDF

Evaluation of the Impact of Filter Media Depth on Filtration Performance and Clogging Formation of a Stormwater Sand Filter (강우유출수 모래 필터의 여과기능 및 폐색 현상에 대한 필터 여재 깊이의 영향 평가)

  • Segismundo, Ezequiel Q.;Lee, Byung-Sik;Kim, Lee-Hyung;Koo, Bon-H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 /
    • v.32 no.1
    • /
    • pp.36-45
    • /
    • 2016
  • Sand filters are widely used in infiltration systems to manage polluted urban runoff. Clogging, which is mainly caused by the deposition of sediments on the filter media, reduces the filter system's infiltration capacity, which further limits its lifespan and function. The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clogging characteristics of sand filter, therefore, need to be known for effective design and maintenance. Physical clogging behavior and variations in the characteristics of sand filters according to different media depths are examined in this paper. The variations were observed from laboratory column infiltration tests conducted in a vertical flow and fluctuating head condition. It can be seen that an increase in filter media depth results in a high sediment removal performance; however, it leads to a shorter lifespan due to clogging. In the choice of filter media depth to be used in field applica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facilities as well as maintenance costs need to be considered. At all filter media depth configurations, premature clogging occurred because sediments of 100~250 μm clogged the top 15% of filter media depth. Thus, scrapping the top 15% of filter media may be suggested as the first operational maintenance process for the infiltr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