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폐기 배터리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n Energy Balancing Low Power Routing Method for Sensor Network with Fixed Data Acquisition Nodes (고정식 정보획득 노드로 구성된 센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한 에너지 밸런싱 저전력 라우팅 기법)

  • Jeong Gye-Gab;Kim Hwang-Gi;Lee Nam-Il;Kim Jun-Ny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41 no.6 s.324
    • /
    • pp.59-68
    • /
    • 2004
  •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microsensor technology, it was Possible to manufacture a very small and low costdata acquisition node with sensing function, processing function,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battery. Thus sensor networks begin to be prevailed. The sensor network is a spontaneous system which sets up automatically routing paths and transmits asignificant data to the destination. Sensor nodes requires low-power operation because most of them use a battery as operating power. Sensor nodes transmit a sensing data to the destination. Moreover, they play a router. In fact, because the later consumes more energy than the former, the low-power routing is very important. Sensor networks don't have a routing standard unlike general wireless Ad-hoc networks. So This paper proposes a low-power routing method for anting to sensor networks. It is based on AODV and adapts a method to drop probably RREQ depending on remaining power. We examined it through simulations. From simulation results, we could confirm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bout $10-20\%$ and distribute equally power consumption among nodes.

Bayes Stopping Rule for MAC Scheme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 망에서 MAC 방식을 위한 Bayes 중지 규칙)

  • Park, Jin-Kyung;Choi, Cheon-W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45 no.7
    • /
    • pp.53-61
    • /
    • 2008
  • Consider a typical wireless sensor network in which stem nodes form the backbone network of mesh topology while each stem node together with leaf nodes in its vicinity forms a subnetwork of star topology. In such a wireless sensor network, we must heed the following when we design a MAC scheme supporting the packet delivery from a leaf node to a stem node. First, leaf nodes are usually battery-powered and it is difficult to change or recharge their batteries. Secondly, a wireless sensor network is often deployed to collect and update data periodically. Late delivery of a data segment by a sensor node causes the sink node to defer data processing and the data segment itself to be obsolete. Thirdly, extensive signaling is extremely limited and complex computation is hardly supported. Taking account of these facts, a MAC scheme must be able to save energy and support timeliness in packet delivery while being simple and robust as well. In this paper, we propose a version of ALOHA as a MAC scheme for a wireless sensor network. While conserving the simplicity and robustness of the original version of ALOHA, the proposed version of ALOHA possesses a distinctive feature that a sensor node decides between stop and continuation prior to each delivery attempt for a packet. Such a decision needs a stopping rule and we suggest a Bayes stopping rule. Note that a Bayes stopping rule minimizes the Bayes risk which reflects the energy, timeliness and throughput losses. Also, a Bayes stopping rule is practical since a sensor node makes a decision only using its own history of delivery attempt results and the prior information about the failure in delivery attempt. Numerical examples confirm that the proposed version of ALOHA employing a Bayes stopping rule is a useful MAC scheme in the severe environment of wireless sensor network.

Development of harmful algae collecting system for agricultural material recycling (농업재료 자원화를 위한 유해조류 포집 시스템 개발)

  • Kim, J.H.;Kim, J.M.;Jeong, Y. W.;Kwack, Y.K.;Sim, S.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0-50
    • /
    • 2022
  • 한국농어촌공사 산하의 농업용저수지 중 3786개소에 대한 수질조사를 '19년도에 실시한 결과, TOC 기준 4등급 초과 저수지 비율은 약 20%로써, 도심 근교 저수지에서 녹조현상 빈발로 인해 수질, 악취, 미관 등의 환경문제 개선 민원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 현재 녹조 발생 사후관리를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는 대형 조류제거선은 저수심 수변부에서의 적용성에 한계가 있고, Al 기반의 응집제를 사용하여 조류를 수거해서 폐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주)이엔이티는 농어촌연구원, (주)코레드, (주)삼호인넷과 함께 호소나 정체하천의 수변지역에 적용될 수 있는 저에너지형 유해조류 포집시스템 개발과, 수거된 조류부산물을 무독화하여 농업재료로 재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저수지나 정체수역의 녹조는 바람, 수면유동 등에 의해 수변에 집적되는 특성이 있어, 인공지능 기술로 녹조현상을 감시하여 조류 밀집구간에 접근할 수 있는 자율이동식 수상이동장치를 개발 중이다. 수상이동장치는 조류포집장치를 탑재하기 위한 부력체, 원격 운전이 가능한 무인항법장치, 수변식생대 및 저수심지역 이동을 고려한 수차방식 추진체, 전체 장치의 전원 공급을 위한 고성능 배터리 등으로 구성하여 상세 도면 설계를 진행하고 있다. 조류포집장치에는 표층에 주로 분포하는 남조류를 선택 흡입하는 포집 부표를 적용하였고, Al계 응집제 사용을 배제한 분리막 실험을 통해 침지형 막분리조 및 가압형 농축조를 설계하였다. 유해조류 포집 및 농축은 수상에서 이동체에 탑재하여 이뤄지고, 육상에서는 자원 회수가 가능하도록 회분식 응집공정으로 구분하였다. 조류 밀집지역에서 수거된 조류의 무독화 및 농업재료 자원화 타당성 평가를 위해 특용 버섯균주를 활용한 시료별 분석항목을 선정하고 실험 매트릭스에 따라 실증실험을 수행하였다. 수거조류를 전처리하여 성분 및 발열량을 분석하고 버섯재배 전후의 마이크로시스틴 독소(LR, RR, LR)를 포함한 성분 분석을 수행하여, 고체연료, 비료 및 사료로 활용방안을 검토하였다. 무인자율이동 조류포집장치는 실증화 규모로 제작하여 기선정된 테스트베드에서 현장적용성 평가를 수행할 예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유해조류 포집 시스템은 기존의 녹조제거 방안을 보완하여 정체수역의 생태계 복원 및 친수공간의 환경개선 등에 적용되며, 무독화가 입증된 유해조류의 농업재료 자원화 기술은 고부가 상품 개발 및 환경폐기물 감축에 활용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