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폐경증후군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8초

폐경 후 성인 여성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및 관련 요인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among Postmenopausal Adult Women)

  • 채현주;김미종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79-188
    • /
    • 202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postmenopausal adult women in South Korea. Methods: Data of 678 postmenopausal adult women aged 19 to 64 were collected from the Eigh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21 and analyzed by a complex sampling design using SPSS 20.1. Results: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postmenopausal adult women was 25.8%. The prevalence was 1.93 times (confidence interval [CI]=1.15~3.25, p=.014) higher for high school graduates, 2.55 times (CI=1.33~4.91, p=.005) higher for middle school graduates, and 2.90 times (CI=1.36~6.15, p=.006) higher for elementary school graduates, compared to college graduates. It was found that artificial menopausal women had 2.74 times (CI=1.18~6.38, p=.020) higher prevalence than natural menopausal women. In addition, women who perceived their health as bad were 1.90 times (CI=1.14~3.16, p=.014) higher than women who perceived their health as good, and women who did not muscle exercise more than twice a week had 1.87 times (CI=1.05~3.34, p=.034) higher prevalence than women who did muscle exercise. Conclusion: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and manage metabolic syndrome in postmenopausal adult women, a focus must be placed on vulnerable groups to manage these factors.

슈퍼홍미 미강 추출물의 폐경 후 여성의 혈중 지질 농도 및 대사성 질환 개선 효과 (Superhongmi bran extract improves lipid profile and menopause symptoms: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 정수임;남수진;;;강미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82-187
    • /
    • 2019
  • 본 연구는 슈퍼홍미 미강 추출물이 폐경 후 갱년기 증상에 및 대사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무월경이 지속된 지 5년 미만의 여성을 대상으로 12주동안 진행되었으며 위약대조군 15명, 실험군 15명으로 배정하였고, 1일 2개의 캡슐을 섭취하도록 하였다(슈퍼홍미 미강추출물 700 mg/day). 시험 종료 후 슈퍼홍미 미강 추출물 섭취군의 체중과 BMI 그리고 중성지질과 및 총콜레스테롤은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중 HDL 콜레스테롤과 ApoA1 농도는 약 10% 증가하여 지질대사 개선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항당뇨과 관련된 지표 중 혈중 glucose와 인슐린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인슐린 저항성 지표인 HOMA-IR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아디포넥틴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TNF-{\alpha}$는 슈퍼홍미 미강 추출물 섭취군에서 투여 전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여 폐경 이후 당질대사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항산화활성 분석 결과 SOD1, GSH 그리고 TBARS 수준이 실험군에서 감소하였으며, AOPP 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성호르몬 중 $17{\beta}-estradiol$과 progesterone 농도는 위약대조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실험군은 섭취기간동안 호로몬 농도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해 높은 수준을 나타났다. 폐경을 겪은 여성들은 여성호르몬 저하로 인해 갱년기 증상 및 대사증후군 발병 가능성이 증가하는데 슈퍼홍미 미강과 같은 기능성 식품 섭취로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들에 대한 호전이 높을 것이라 보고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갱년기 여성 건강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된다.

폐경 전 전업주부의 대사증후군 관련 요인: 2010~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분석 (The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Pre-menopausal Housewives: An Analysis of the 2010~201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철규;김영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8-119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pre-menopausal housewives and to explore controllable and uncontrollable factors regarding metabolic syndrome.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of this cross-sectional survey was from the Korean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HANES) 2010 through 2015, including the fifth and sixth population-based studies. The criteria for metabolic syndrome include 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fasting plasma glucose, triglyceride, high-density lipoprotein (HDL) based on Kore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Metabolic Syndrome by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15. Results: Among the 2,498 subjects, 247 subjects had metabolic syndrome and the prevalence was estimated to be 9.9%. The number of subjects who met the criterion of HDL was 936 (36.2%), which was the most prevalent among the criteria for metabolic syndr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factors include age, livinghood benefit group, perceived health status, obesity, family history of DM, sleeping time, awareness of stress,leukocyte, and erythrocyte count. The odds ratio of obesity in the BMI ${\geq}25$ group was 12.59 times as high as that of the BMI <25 group (p<.001) for metabolic syndrome.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pre-menopausal housewives in the survey was not low,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comprehensive health habit management programs to improve controllable factors including exercise and food intake.

폐경여성의 낙상 위험과 관련요인 (Fall Risk related Factors in Postmenopausal Women)

  • 이정한;김희승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33-542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isk of falling associated with postmenopausal women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is risk and factors such as lifestyle, metabolic syndrome, and bone mineral density. Methods: The sample was 128 postmenopausal women between 50 and 65 from one menopausal clinic in an urban city. The Risk Assessment for Falls Scale II, developed by Glydenvand and Reinboth (1982) and adapted by Park Young-Hye (2003), was modified and used for this study. Results: The average fall-risk score in postmenopausal women was 7.2 out of 33, the fall-risk score associated with lifestyle was higher in women exposed to stress frequently or who favored spicy or salty foods. The fall-risk score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was higher in groups with HBP or with a waist circumference of 80cm or greater. The fall-risk score in groups with three or more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was the highest. Conclusion: The risk of fall in post-menopausal women was higher in groups with only elementary education, unemployed, reported two or more chronic diseases or reported frequent exposure to stress and for women who preferred spicy or salty foods or exhibited three or more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생활양식 개선프로그램이 폐경후 비만여성의 신체조성, 대사성증후군 지표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on Body Composition, Metabolic Syndrome Markers, and Depression in Obese Postmenopausal Women)

  • 박남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13-326
    • /
    • 201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metabolic syndrome makers, depression in obese postmenopausal women. Method: The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includ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was administered twice a week for 12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whereas the control group had no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22 obese postmenopausal women while the control group contained 19 subjects. The study also attempted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metabolic syndrome markers, and depression in obese postmenopausal women.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t-test using the SPSS/WIN 17.0 program. Results: After participating in the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s in systolic pressure, diastolic pressure and depression, but no change in body composition.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at the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obese postmenopausal wome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offer more tailed program for a longer period.

건강검진 수진자들에서 골밀도와 대사증후군의 연관성 (Associ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with the Metabolic Syndrome)

  • 강영한;감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1권3호
    • /
    • pp.259-266
    • /
    • 2008
  • 연구목적 : 성인 남, 여를 대상으로 골밀도의 감소에 따른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골다공증과 대사증후군의 관계에서 생활습관과 식습관 등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 건강검진 수진자 총 1204명(남자 364명, 여자 840)을 대상으로 단면연구를 시행하였다. 이중에너지 X선흡수계측법을 이용하여 골밀도를 측정하였고,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을 골량감소군으로 분류하여 정상군과 비교하였다. 골밀도와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고, 연령과 체중, 음주, 흡연, 규칙적인 운동, 규칙적인 식사, 폐경여부 등을 조사하여 통제변수로 이용하였다. 골밀도가 감소함에 따라 대사 증후군 유병률에 대한 교차비를 남녀 성별로 구분하여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 정상군과 골량감소군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남자의 경우 전체 364명 중 100명(27.5%)이 대사 증후군의 기준을 만족하였고, 정상군과 골량감소군의 유병률은 각각 36.2%, 16.2%였으며, 여자의 경우 전체 840명 중 137명(16.3%)이 대사증후군에 해당하였고, 정상군과 골량감소군의 유병률은 각각 15.5%, 17.2%였다. 잠재적인 통제변수를 보정한 후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남자에서 골밀도 감소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01). 남자 골밀도가 정상인 군의 교차비를 1.00으로 볼 때 골량감소군의 교차비는 3.07(95% CI=1.83-5.16)로 골량감소군에서 대사증후군이 3.07배 증가하였다. 대사증후군의 5가지 기준들의 유병률과 골량감소와의 관련성을 살펴볼 때, 남자의 경우 높은 체질량지수와 낮은 HDL은 골량감소군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 여자에서는 높은 체질량지수에서만 골량감소군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의 수가 증가할수록 골밀도의 평균은 남녀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남자는 골밀도 감소군에서 대사증후군에 대한 교차비가 증가하였고, 여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골밀도가 연령에 비해 경미하게 감소하더라도 대사증후군과 동반될 위험이 있고, 예방적 차원에서 골다공증과 대사증후군을 함께 고려하여 생활습관 및 식생활 개선이 요구된다. 향후 다양한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와 골밀도의 감소요인과 대사증후군을 비롯한 인슐린 저항성, 심혈관계 질환 등의 질병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도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수면장애가 구강작열감 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Review about effects of sleep disturbances on Burning mouth syndrome)

  • 임현대;이유미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4호
    • /
    • pp.313-318
    • /
    • 2013
  • 수면은 외부의 자극에 대해 반응하지 않는 상태로 만성통증을 지닌 환자는 수면 장애를 겪고 있으며 수면장애는 통각과 민한 상태를 유발하고 통증인지에 영향을 미친다. 구강작열감 증후군은 구강점막에 화끈거리는 감각을 포함하는 만성 안면통증으로 감각과 통증 역치가 변성되고 신경병증 징후를 보인다. 구강작열감 증후군은 첫 번째로 국소적, 전신적 요인 즉, 흡연, 투약 등 작열감 증상의 원인으로 가능한 요인을 제거하고, 두 번째로는 환자를 안심시키는데 있다. 수면박탈 내인성, 외인성 아편유사제의 진통효과는 수면 계속성 즉, 선택적인 렘수면 박탈은 아편유사제 진통효과를 방해 하고 opioid protein synthesis 억제를 야기하고 ${\mu}$${\delta}$ opioid 수용체 친화력을 감소시킨다. enkephalinase-inhibitor와 MAO-B inhibitor 적용으로 나타나는 아편유사제의 진통상승효과는 렘수면 박탈시에 무효화 된다. 렘수면 박탈후에는 5-HT 와 5-hydroxy indole acetic acid 레벨이 유의하게 감소되고, 아편유사체에 활성에 의해 유발되는 통증억제를 지지하는 세로토닌 체계를 가능하지 않게 한다. 구강작열감 증후군은 설말단 신경섬유에서 추삭변성 변화가 있고 특히, 열자극, 냉자극 및 미각 유해수용성 자극의 인지를 포함한 감각변화가 폐경기후 생식스테로이드의 급격한 감소가 신경활성 스테로이드 생성에 변성을 일으켜며, 이것은 말초성 변성와 중추성 변성이 존재함을 제시한다. 구강작열감 증후군은 기본적으로 가능한 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구강작열감의 진행을 방지하고, 만정적인 작열감의 경감을 위하여 증상 경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면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안동 농촌지역 중년 및 노인 주민의 대사증후군 유병율과 관련 위험요인 분석 1. 신체계측결과와 건강습관을 중심으로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Related Risk Factors of Elderly Residents in Andong Rural Area 1. Based on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Health Behaviors)

  • 이혜상;권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11-517
    • /
    • 2010
  • 본 연구는 농촌지역 주민들의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한 영양 사업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안동시 읍면 지역 농촌의 45세 이상 주민을 대상으로 신체특성 및 건강관련 생활습관이 대사증후군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다항로지스틱회귀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자 1,431명 중 대사증후군 유병율은 38.2%(남자 23.5%, 여자 46.9%)로 남자에 비해 여자의 유병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폐경기 이후 여성에서의 대사증후군 비율이 증가하는 것과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중 유병율이 가장 높은 요인은 혈압이었고, 다음은 낮은 HDL-콜레스테롤, 복부비만, 높은 혈당, 높은 혈중 중성지방 순으로 나타나 이 지역 주민의 대사증후군 유병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혈압을 내리고 HDL-콜레스테롤을 높이며 복부비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한편,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를 한 개 이상 가진 사람은 94.7%, 두 개이상은 68.9%로 나타났다. 대사증후군 발생위험요인과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도는 남자에 비해 여자가 2.953배 높았다. 체지방율의 경우 정상체중에 비해 비만에서 남녀 각각 5.786배와 13.498배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높았으며, 체질량지수로는 정상체중에 비해 비만에서 남녀 각각 3.782배, 13.301배, 고도비만에서는 21.516배, 21.482배 대사증후군의 위험도가 높았다. 건강관련 습관인 흡연, 음주, 운동, 농사활동 시간은 대사증후군 발생위험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안동 농촌지역 주민들의 대사증후군 유병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혈압과 폐경 여성들의 복부비만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건강관련 습관인 흡연, 음주, 운동 등이 대사증후군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폐경후 호르몬대체요법에 대한 인터넷 웹싸이트 자료 내용 및 학술 연구 경향 분석과 국내 한방병원 내원환자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News Searched on Web-site Related to HRT and Analysis of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Patient Who Visited Dept, of Ob&Gy Korean Medicine Hospital)

  • 김동일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19-235
    • /
    • 2006
  • Purpose : To investigate the medical information related to HRT online and the medical treatment of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in the Dept. of Ob&Gy Korean Medicine Hospital, after the discontinuance of the WHI trial in U.S, July 2002. Methods : With the key-words "HRT", "Hormone Replacement therapy", "호르몬 대체요법(HRT)", 갱년기 증후군(perimenopausal syndrome)", “폐경기후증후군(postmenopausal syndrome)", I searched for the information from July 2002 to 2005 on DAUM, the representative portal site in Korea, and I've got a grasp of the tendency of the informational propagation on HRT. Moreover, I investigated chief complaints and tendency of give up HRT of the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aged between 47 and 60) who visited Dept. of Ob&Gy Korean Medicine Hospital for 2 years and 6 months since July 2002. Results : 1) Searching for the news on DAUM, I found; 2 articles on the methods of HRT: 4 on the positive effects of HRT: 4 on the general items including the positive effects of HRT: 19 on the side effects of HRT: 1 on the insignificant effect of HRT :4 on the apprehensions about HRT: 3 on the strengthening of the criteria on medical fees review: 3 on the discontinuance of HRT: 8 on the alternative materials and medicines to HRT: 4 on the guidance for the phyto-estrogen. 2) I analyzed chief complaints of 120 women. The majority of chief complaints were vasomotor symptoms like hot flush and sweating. There were only 4 patients who wanted to give up HRT. Conclusion : The side effects of HRT were objectively dealt with online but there was not enough effective and continuous guidance. In the case that a woman not on HRT wishes to overcome perimenopausal period through KM therapy, this information may have affected her decision. However, not many women who were already on HRT terminated the therapy for fear of side effects and switched to KM therapy. Promotion of KM therapy in improving health during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period is desperately needed.

  • PDF

중년 이후 여성에서 삶의 질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폐경 형태와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을 중심으로 (Impact of Menopausal Status, Metabolic Syndrome and its Risk Factors on Impaired Quality of Life above Middle-aged Women)

  • 김지순;안숙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5-286
    • /
    • 2016
  • Purpose: This study explored influencing factors on quality of life (QoL) above middle-aged women in relation to demographic factors, health-related factors, menopausal status, metabolic syndrome (MS) and its risk factors. Methods: This study was secondary data analysis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that utilized a complex, multi-stage probability sample design. Study sample of 2,310 was inclusive of (28.8%) of women who were over 40. To evaluate the factors that would influence an impaired quality of life, $x^2$ test, GLM,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Results: Level of quality of life was lower in women with late post-menopause(over 10 years since menopause) than women with pre-menopause. Factors influencing impaired QoL were as follows: graduated middle school and elementary school or less (OR=2.43, 4.42, respectively, p<.05), no job (OR=1.92, p<.001), stress (OR=1.92, p=.001), depression (OR=1.93, p=.001), insufficient sleep (OR=1.64, p=.003), late post-menopause (OR=2.61, p=.044) and over 85cm of waist circumference (OR=1.76, p=.01).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late post-menopause may be an independent factor influencing an impaired QoL. To promote post-menopausal womens' health, a nursing strategy is required to teach women how to manage levels of stress, depression, insufficient sleep, and abdominal obesity through health education, nutritional counselling, and physical activity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