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평형함수율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7초

지리산산(智異山産) 일본 잎갈나무재(材)와 포플러재(材)의 단면별(斷面別) 평형함수율(平衡含水率)(EMC) 측정치(測定値)와 그 상관성(相關性) (Correlation between Determining Values of Sectional Equilibrium Moisture Contents of Larix leptolepis and Populus euramericana I - 476 grown in Mt. Jiri)

  • 황증;문창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63-66
    • /
    • 1983
  • 일본잎갈나무(Larix leptolepis)오 포플러(Populus euamerieana I-476)에 대(對)하여 각(各) 함수율(含水率)을 각단면별(各斷面別) 전건법(全乾法)에 의(依)한 측정치(測定値)와 Electric Moisture Meter(Kett-M8A) 측정치(測定値)와 계산추정치간(計算推定値間)이 상관성(相關性)과 그 신뢰성(信賴性)을 조사(調査)하여 본바 일본잎갈나무재(材)에 있어서는 전건측정치(全乾測定値), Moisture Meter측정치(測定値), 계산추정식간(計算推定値間)에 모든 방향(方向)에 1~5% 수준(水準)의 높은 상관성(相關性)을 보였으나 포플러재(材)에 있어서는 전건측정치(全乾測定値)와 Moisture meter측정치간(測定値間)에 상관성(相關性)은 인정(認定)되나 여지(餘地)에서는 유의의(有意義)한 상관성(相關性)을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 PDF

암모늄염 처리 베니어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racteristics of Veneers Treated by Ammonium Salts)

  • 정영진
    • 공업화학
    • /
    • 제18권2호
    • /
    • pp.194-198
    • /
    • 2007
  • 실온에서 베니어에 ammonium chloride, ammonium sulfate, monoammonium phosphate, 그리고 diammonium phosphate와 같은 암모늄염으로 도포하고, 도포된 베니어의 물리적 성질과 가연성을 조사하였다. 암모늄염로 처리된 베니어의 가연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ISO 5660-1 표준에 따른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베니어의 열방출율을 측정하였다. 암모늄염으로 도포된 베니어판은 미처리된 순수 베니어판에 비하여 가연성을 감소시켰다. 도포된 베니어의 flashover 가능성은 R. V. Petrella에 의한 분류 방법에 따라서 착화시간과 최대열방출율을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비중측정 결과 ammonium sulfate로 처리한 베니어의 비중만 미처리 베니어보다 더 높았다. 또한 암모늄염으로 도포된 베니어는 무처리된 순수 베니어보다 낮은 평형함수율을 보였다.

옥내(屋內)의 온도(溫度), 상대습도(相對濕度)와 목재(木材) 평형함수율(平衡含水率)의 연중(年中) 변이(變異) (Annual Variation in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of Wood in Indoor)

  • 정희석;이남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540-544
    • /
    • 1994
  • 중부 지방에서 옥내의 목재 사용 4장소별로 기후치평형함수율은 온도와 상대습도를 근거하여 계산하고 실측평형함수율은 더그러스 퍼와 상수리나무 등 7수종의 기건 시험편을 1년간 공시하여 측정하였다. 조사된 각 장소의 연간 평균 온도과 상대습도는 아파트 안방이 $23.3^{\circ}C$와 54.9%, 아파트 거실은 $22.4^{\circ}C$와 59.5%, 사무실은 $20.1^{\circ}C$와 57.0%, 단독주택의 거실은 $19.4^{\circ}C$와 64.0%이었다. 년간 평균 기후치평형함수율과 실측평형함수율은 아파트 안방은 각각 10.2%와 9.7%, 아파트 거실은 각각 11.1%와 10.2%, 사무실은 각각 10.7%와 10.4% 그리고 단독주택의 거실은 각각 12.1%와 12.5%이었다. 카사이의 실측평형함수율은 전체 평균치보다 약간 컸었고 버즘나무와 아피통은 약간 적었다.

  • PDF

소나무 원목의 천연건조 중 함수율 변화: I. 국내 주요지역의 유효천연건조일수 조사 (Moisture Content Change of Korean Red Pine Logs During Air Drying: I. Effective Air Drying Days in Major Regions in Korea)

  • HAN, Yeonjung;EOM, Chang-Deuk;LEE, Sang-Min;PARK, Yonggu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721-731
    • /
    • 2019
  • 천연건조는 건조되는 목재의 수종, 밀도와 크기, 천연건조장의 위치조건과 함께 건조지역의 기상인자를 고려해야 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4계절의 구분이 있는 지역은 여름과 겨울의 온도 및 상대습도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기상인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 원목의 천연건조 중 함수율 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국내 24지역의 1988년부터 2017년까지 30년간 월별 평균 기온, 상대습도, 풍속의 기상인자를 이용하여 유효천연건조일수를 산출하였다. 24지역의 유효천연건조일수는 239 - 291일 범위로 평균값은 265일이었다. 이 결과는 1955년부터 1984년까지의 기상인자로 산출된 유효천연건조일수의 평균인 260일 비하여 약 5일 증가한 값이다. 유효천연건조일수와 기상인자들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효천연건조일수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인자는 온도, 상대습도, 풍속의 순서였다. 지역별로 산출된 유효천연건조일수를 이용하여 우리나라를 4개의 유효천연건조일수대로 구분한 결과, 유효천연건조일수대가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것에 비하여 위도상 북쪽으로 상승하였다. 서울지역에서 수행된 소나무 원목의 천연건조 중 함수율 분포를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의 월별 평균온도, 상대습도, 풍속의 기상인자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평형함수율 변화를 조사하였다.

표고버섯의 평형함수율에 관한 연구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of Shiitake Mushroom(Lentinus edodes))

  • 최병민;한은정;최주호;홍지형;서재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7-42
    • /
    • 1999
  • Th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EMC) of Shiitake mushroom is and important factor because it has a close relationship to storage and drying problems. The determination of the EMC for Shiitake mushroom was made in atmospheres of various constant humidities at four different constant temperatures and the fitting of the five selected EMC models were performed with the experimental EMC data. The desorption equilibrium moisture contents for Shiitake mushroom were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was decreased and the relative humidity was increas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was appeared between the cap and the stipe of Shiitake mushroom. The Henderson-Thompson model was fitter than the others with the experimental data.

  • PDF

주요 국산 침엽수종의 평형함수율 (Equilibrium Moisture Contents of Major Korean Coniferous Species)

  • 이원희;박병수;변희섭;강호양;정성호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5-82
    • /
    • 2008
  • A series of the studies on the applied physical properties of main domestic species have been conducted last three years. Equilibrium moisture content(EMC) of Pinus koraiensis, Larix kaemferi, Pinus koraiensis were investigated. The experiments for sorption property were conducted with 20- and 80-mesh wood powder and resulted in their EMC's at various sorption conditions. Amount of moisture sorption and sorption speed of Larix kaemferi were shown the most large values and very fast among three Korean main coniferous wood.

  • PDF

유채씨의 방습 평형함수율 (Desorption EMC Models for Rapeseed)

  • 김유호;한재웅;금동혁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2권6호
    • /
    • pp.403-407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desorption equilibrium moisture contents(EMC) of rapeseed grown in Korea. EMC values were measured by static method using saturated salt solutions at three temperature levels of 30, 40 and $50^{\circ}C$, and eight relative humidity levels in the range from 11.0 to 83.6%. The measured EMC values were fitted to Chung-Pfost, Modified Halsey, Modified Henderson and Modified Oswin models by using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root mean square errors for four models showed that Halsey and Modified Oswin Models could serve as good models, but the Chung-Pfost and Modified Henderson models could not show reasonably good fitting.

벼 및 현미의 평형함수율/평형상대습도 (EMC/ERH of Rough Rice and Brown Rice)

  • 최병민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0권2호
    • /
    • pp.95-101
    • /
    • 2005
  • Adsorption and desorp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rough rice and brown rice (Nampyung) at 5, 15, 25, 35, $45^{\circ}C$ for moisture contents between 8.7 and $25\%$ (db). The method employed was to measure the equilibrium relative humidity (ERH) of air in contact with the grain under static conditions, using an electronic hygrometer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s were investigated, and the measured values were fitted to the modified Henderson, the modified Chung-Pfost, the modified Halsey and the modified Oswin model. The ERHs of rough rice and brown rice decreased with an decrease in moisture content and temperature, and the effects of temperature was no significant at moisture content of $25\%$ (db).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EMC) of brown rice was higher than rough rice at same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Desorption EMC is higher than the adsorption,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sorption and adsorption EMC in moisture content near $25\%$ (db) at rough rice and near 9, 21 and $25\%$ (db) at brown rice. The modified Oswin model was the best in describing the adsorption EMC and the modified Chung-Pfost model was the best in describing the adsorption ERH of rough rice. The modified Oswin model was the best in describing the adsorption EMC/ERH of brown rice. The modified Chung-Pfost model was the best in describing the desorption EMC/ERH of rough rice and brown rice.

미곡 도정공장의 인터넷 기반 감시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rnet-based Monitoring System of a Rice Processing Complex)

  • Yan, T.Y.;Chung, J.H.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9권3호
    • /
    • pp.243-25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미곡도정공장의 도정기계 작동상태와 가공된 발 품질의 원격감시를 위해서 인터넷기반 감시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인터넷 감시시스템은 Laboratory Virtual Instrument Engineering Workbench(Lab VIEW)를 이용하여 개발되었으며 Hypertext Transfer Protocol(HTTP)을 제공할 수 있는 중앙서버, 현장제어용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및 각종 센서 등으로 구성되었다. 비상상태를 대비하기 위하여 도정기계를 원격으로 제어(ON/OFF)할 수 있도록 제어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개발된 인터넷기반 감시시스템은 미곡 도정공장에 설치한 모든 도정기계의 작동상태, 백미 탱크내의 백미 무게와 백미의 온도 및 평형상대습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었으며, 원격으로 측정한 백미탱크내의 평형온도 및 평형상대습도를 이용하여 백미의 함수율도 예측할 수 있었다. 거리 및 인터넷속도에 의해 발생된 시간지연의 측정과 원격으로 수집된 자료의 검증을 통해 인터넷 감시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인터넷상의 시간지연(서울-광주간)은 약 1.2$\pm$0.2s 이었다.

물리적 처리에 따른 낙엽송 방부원주목의 표면할렬 방지효과 (Surface Checking Reduction Effect of Preservative-treated Korean Larch Round-woods with Various Physical Treatments)

  • 방성준;오정권;이상준;박준호;장성일;이전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107-11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산 낙엽송 방부원주목을 대상으로 물리적 처리(인사이징, 배할, 열기건조)에 따른 표면할렬 방지효과와 장기 사용연한 확보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표면할렬이 목재 내 외부의 급격한 수분경사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저 평형함수율 조건[온도($2^{\circ}C$), 습도(44.6%)]에서 시험편이 평형함수율(8.6%)에 도달할 때까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물리적 처리에 따른 표면할렬 방지효과를 검토한 결과, 무처리 시험편(Type C)의 경우, 모든 시험편에서 약제 침투 깊이보다 깊은 할렬이 발생하여 장기 내부후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약제침투도 개선을 위해 사용하는 인사이징 처리만으로도 시험편의 80%에서 약제침투깊이보다 깊은 표면할렬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국내에서 할렬을 방지하고자 사용하는 배할 처리는 인사이징 처리에 비하여 약제 침투깊이보다 깊은 표면할렬을 야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