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평형시간

검색결과 836건 처리시간 0.023초

전기부상법을 이용한 토양세정 유출수 중 유수분리에 관한 연구 : 전해질에 의한 영향

  • 소정현;최상일;조장환;한상근;류두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463-465
    • /
    • 2003
  • 전기분해에 의한 부상현상을 이용하여 유류로 오염된 토양 세정 후 발생되는 유출수 중 유분 등을 분리하기 위한 적정 운전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전기분해 반응조(200 $\times$ 10 $\times$15cm)에 혼합 계면활성제 (POE5 : POE14, 1:1) 1% 용액에 디젤을 1,000mg/L 농도로 용해시켜 실험하였다. 양극에는 티나늄 코팅전극, 음극으로는 스테인레스 스틸전극을 이용하였다. 반응시간은 62분( 반응: 60분, 부상시간: 2분) 이었으며 전압은 6V였다. 전해질 첨가에 의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 전해질을 첨가하였을 경우 첨가하지 않았을 때보다 40% 정도의 효율이 증가하였다. 적정 전해질, 주입농도 및 반응시간을 알아보기 위하여 1N NaCl과 NaOH의 농도를 변화시켜 가면서 실험하였다. NaCl의 경우 더 좋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전해질의 농도는 0.2 - 1.0% 의 농도 범위에서 NaCl와 NaOH 모두 농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효율이 증가하였다. 두 전해질 모두 0.4 - 1.0% 농도 범위에서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은 20분으로 나타났다.

  • PDF

한우 체외수정란의 생산과 이식후 쌍자 생산에 관한 연구 (Study on Production of In Vitro Embryos and Twin Calves by Embryo Transfer in Korean Native Cattle)

  • 김용권;김진성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7-108
    • /
    • 2000
  • 본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여 보면, 1. 소난포(<2 mm), 중난포 (2~6 mm) 및 대난포 (>6 mm)에서 각각 184개, 157개 및 101개의 난포란을 회수하여 442개의 난포란을 채취하였으며, 난포의 크기별로 볼 때 Grade I인 난포란의 회수는 소난포에서 64개 (34.8%), 중난포에서 31개 (19.7%) 및 대난포에서 5개 (5.0%)를 회수하였으며, 등급별 총 회수율은 Grade I, II 및 III 에서 각각 100개, 170개 및 172개를 회수하였다. Grade I, II, 및 III의 난소당 채란된 수는 각각 2.4개 및 4.2개로 평균 난소당 10.7개의 난포란을 회수하였다. Grade I, II, 및 III 의 미성숙 난포란, 각각 200개, 196개 및 203개를 체외성숙 배양액에서 22~24 시간동안 배양한 결과, 188개(94.0%), 155개 (79.1%) 및 147개 (72.4%)의 난포란이 성숙되었으며, 수정율은 각각 88.3%, 76.6% 및 72.5% 였다. Grade I의 난포란의 성숙율 및 수정율이 Grade II와 III에 비하여 유의적 (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TCM-199 배양액, 난관 상피세포가 첨가된 배양액 또는 난관 상피세포의 단순배양액 (CM) 에서 상실배의 발달율은 각각 24.1%, 31.2% 및 21.9%로서 CM 배양액보다 난관 상피세포에서 유의적 (P<0.05)으로 높은 발달율을 얻었으며, 배반포 수정란의 경우, 발달율이 각각 12.4%, 24.7% 및 18.2%로서 TCM-199 배양액보다 난관 상피세포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한 것이 유의적 (P<0.05)으로 높은 발달율을 보였다. 2. 동결보호제에 대한 평형시간이 l분, 2분 및 3분일 때, 체외수정란의 생존율은 각각 82.9%, 73.3% 및 32.1%로서, 평형시간이 1분과 2분일 때의 생존율이 3분 동안 평형한 수정란보다 생존율이 유의적 (P<0.05)으로 높았으며, 3분 동안 평형시에는 수정란의 생존율에는 치명적이었다. 배반포 수정란을 동결보존한 후의 생존율은 72.7%였으며, 상실배는 33.3% 가 생존하여 상실배보다는 배반포 수정란의 생존율이 유의적 (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3. 배반포 수정란을 105두의 수란우에 이식한 결과, 임신우 49두(46.7%)가 임신되었으며, 그 중에서 12.2% (6/49) 의 유산율과 6.1%(3/49)의 사산율을 보였고, 최종 40두(81. 7%)가 분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난포란의 체외배양 시 이식가능한 체외수정란의 생산율은 25%로서, 이는 난소 한개당 2.7개의 체외수정란 생산을 나타낸다. 생산된 수정란을 수란우에 이식한 결과 46.7% 의 임신율을 보여 향후 안정적인 쌍자 분만을 위해서 한우 수정란을 젖소의 대리모를 이용하는 방안에 대해 더욱 연구해 보아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poxy수지에 의한 견직물의 Sericin정착 (Fixation of Sericin of Silk Fabric by Epoxy Resin)

  • 문영배;남중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6-25
    • /
    • 1984
  • 수용성염의 존재하에서 여러 가지 용매상에 소정시간, 소정온도로 epoxy수지에 의한 견직물의 sericin정착을 행하였다. Potassium thiocyanate염의 촉매하에서 glycero1 glycidyl ether(EX-313)와 ethylene glycol diglycidylether(EX-810)의 4염화탄소용액중에서의 반응에서 높은 수지부착률을 얻었으며, 정착효과가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용한 두 수지는 반응 거동이 유사하였으며, EX-810이 수지부착률이나 정착효과면에서 뛰어 났다. 2. 수지부착률은 반응온도나 반응미간에 따라 증가하였고, 90분 7$0^{\circ}C$에서 연감률은 평형에 도달하였다. 3. 수지부착률과 연감률은 3~5%의 수지농도에서 평형에 달하였다. 4. 촉매의 N농도에 따라 부착률은 현저하게 증가하고 0.5N에서 연감률은 평형에 달하였다. 5. 침지시간의 증가와 더불어 부착률은 완만하게 증가하지만 연감률은 15분간 침지에 평형에 도달하였다. 6. 건조온도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7. 수분율의 감소는 미약하여, epoxy 수지에 의한 sericin 정착시 수분율을 유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8. 소수성이 강한 용매인 4염화탄소, p-chloroeth-ylene, cyclohexane, xylene, toluene 등이 정착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9. Sericin 정착포의 물성을 시험한 결과 정착효과가 뛰어날 수록, 유연도는 감소하고, 방추도도 감소하며 강도와 신도는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콩 품종별 흡습특성 비교 (Comparison of Sorption Characteristics of Several Soybean Varieties)

  • 김동희;염초애;김우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1호
    • /
    • pp.14-17
    • /
    • 1990
  • 7개 품종의 콩(팔달, 단엽, 장백, 백운, 장엽, Local 1, Local 2)에 대한 흡습특성이 온도, 상대습도를 달리한 조건에서 조사되었다. 이들 콩의 평형상대습도는 $4^{\circ}C$$25^{\circ}C$보다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탈습은$4^{\circ}C$에서는 RH 44 % 이하에서, $25^{\circ}C$에서는 RH 52 % 이하에서 일어났다. 또한 흡습은 $25^{\circ}C$에서는 RH 80% 이하에서 저장 10일에 평형수분함량에 도달하였으나 $4^{\circ}C$에서는 RH 73 % 이상에서 부터 저장 10일 후 계속 수분함량이 증가하였다. $4^{\circ}C$에서 팔달의 평형수분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25^{\circ}C$에서는 백운의 평형 수분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저장시간별 수분함량의 변화속도를 log(dw/dt)=b log(t)+log a의 식을 이용하여 예측한 결과 저장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dw/dt)${\times}10^3$의 값은 대수함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상대 습도가 높아지면서 -b 값은 낮아졌다. 초기흡습속도는 상대습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졌으며 시료품종중 팔달의 값이 비교적 가장 높았다.

  • PDF

보조계면활성제가 NP7 계면활성제 시스템의 마이크로에멀젼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Cosurfactant on Microemulsion Phase Behavior in NP7 Surfactant System)

  • 임흥균;이슬;모다희;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22권4호
    • /
    • pp.416-42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보조계면활성제 첨가가 NP7 비이온 계면활성제, 물, 탄화수소 오일의 3성분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평형 및 동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험에서 사용한 n-pentanol, n-octanol, n-decanol 등의 보조계면활성제는 모두 소수성 첨가제로 작용하여, 알코올 첨가에 따라 oil in water (O/W) microemulsion (${\mu}E$)이 excess 오일상과 평형을 이루는 2상 영역으로부터 middle-phase ${\mu}E$이 excess water, excess 오일상과 각각 평형을 이루는 3상 영역을 거쳐서 water in oil (W/O) ${\mu}E$이 excess 물상과 평형을 이루는 2상으로 전이되었다. 또한 알코올의 사슬 길이 증가 및 첨가량 증가에 따라 상전이 온도는 감소하였다. O/W ${\mu}E$이 존재하는 조건에서는 비극성 오일의 종류와 상관없이 오일이 계면활성제 마이셀에 의하여 가용화되어 시간에 따라 오일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한편 middle-phase ${\mu}E$를 포함한 3상이 형성되는 조건에서는 매우 낮은 계면장력으로 인하여 오일이 수용액 상에 빠른 속도로 가용화되었고 작은 drop 형태로 유화되었다. 반면에 W/O ${\mu}E$의 2상을 형성하는 조건에서는 과포화로 인하여 일어나는 자발적 유화 현상과 물과 계면활성제의 오일상으로의 확산으로 인한 오일의 크기 증가가 관찰되었다. 비극성 탄화수소 오일과 계면활성제 수용액 사이의 시간에 따른 계면장력 측정 결과는 동적 거동 실험결과와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등온 및 동적 흡착 실험을 통한 제강 슬래그의 비소 흡착 특성 (Sorption Characteristics of Arsenic on Furnace Slag by Adsorption Isotherm and Kinetic Sorption Experiments)

  • 오참뜻;이성수;;권호진;이원택;박준범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9호
    • /
    • pp.37-4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에 존재하는 비소를 산업 폐기물인 제강 슬래그를 이용하여 제거하고자, 제강 슬래그에 대한 비소의 흡착특성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등온흡착 실험과 동적흡착 실험을 수행하였고, 흡착반응 후 용액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흡착 실험을 수행한 모든 용액은 염기 상태로 존재하였으며(pH 9이상), 칼슘의 농도가 가장 높았다(30~50mg/L). 등온흡착 실험결과는 Langmuir 모델보다Freundlich 모델에 적용하는 젓이 더 합리적이였으며, 제강 슬래그에 As(V)가 As(III)보다 약 87% 더 많이 흡착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동적흡착 실험결과의 경우, 유사일차모델보다 유사이차모델을 통해 해석하는 것이 더 적합하였다. 비소의 초기농도가 높을수록 평형 흡착량($q_e$)과 완화시간($t_r$) 이 모두 증가하였으며, As(V)는 As(III)보다 평형 흡착량이 많고 완화시간은 짧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사이차모델을 통해 예측된 평형 흡착량이 등온흡착 실험에서 구한 평형 흡착량과 유사해 동적흡착 실험결과로 등온흡착 실험결과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방해석의 $Cd^{2+}$ 흡착현상에 대한 연구 (Sorption Studies of $Cd^{2+}$ on Calcite: Kinetics and Reversibility)

  • Yoon, Hyeon;Reeder, Richard J.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4-113
    • /
    • 2002
  • 방해석 표면에 의한 C$d^{2+}$의 흡착연구를 하였다. 흡착실험에서 사용한 Cd의 농도는 $10^{-8}$ 로서 CdCO$_3$(s)의 침전농도 보다 낮은 농도를 유지하도록 조절하였다. NaClO$_4$를 전해질로 사용하여 이온농도를 달리 한 실험 결과 C$d^{2+}$의 흡착은 용액의 이온세기와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C$d^{2+}$의 방해석 표면 흡착이 특징적인 성질을 갖고 inner sphere surface complex를 형성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흡착반응은 초기의 매우 빠른 흡착시기와 후기의 지속적인 느린 흡착시기의 2단계로 구분되었다. 특히, 후기의 느린 흡착시기에는 약 145시간 경과 후 최대정상상태 (steady state maximum)에 도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C$d^{2+}$의 농도가 낮아 방해석 표면에 CdCO$_3$(s)의 침전 형성에 의한 반응은 고려되지 않았다. 방해석 표면으로부터 C$d^{2+}$의 탈착반응은 일정시간의 흡착 반응이 경과된 후 초기 흡착 실험 시와 같은 농도의 과포화 용액을 사용하여 C$d^{2+}$을 흡착한 방해석이 새로운 용액에 재 평형을 이루도록 반응을 유도하였다. 일반적으로 탈착실험에서는 새로운 과포화용액에 방해석을 넣자마자 매우 빠른 탈착반응을 보여준다. 그 이후는 2가지의 다른 경향성을 보여주며 새로운 평형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초기의 빠른 탈착반응 시기 뒤 느린 흡착반응이 지속적으로 일어나 일정 시간 경과 후 다시 평형을 이루거나, 느린 탈착반응이 계속적으로 지속되어 일정 시간 경과 후 새로운 평형을 이루는 2가지로 나타났다. 이러한 부분적으로 비가역적인 흡착 반응과 탈착반응은 실제 자연계에서 C$d^{2+}$의 유동성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흡착 반응 및 탈착반응의 평형상수 값은 이들 반응이 서로 동일한 기작에 의하여 조절됨을 보여주었다.

시간 분해능 전자회절 분광법을 이용한 CClF3분자의 평형 구조 연구 (Equilibrium Structure for CClF3 Using Real-Time and Time-Resolved Gas Electron Diffraction)

  • Seo, Seong S.;Ewbank, John D.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39-350
    • /
    • 2004
  • 피코초 시간분해능 전자 회절 분광법(TRED)을 이용하여 $CClF_3$ 분자의평형 구조를 연구하였다. 이 분광법의 분해능은 전자파의 선폭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연구 방법에 의하여 결정된 $CClF_3$ 분자의 결합 길이들을 고전적인 실시간 전자회절 분광법(GED/RT)에 의하여 보고된 결과들과 비교하였다. GED/RT 방법에 의하여 결정된 C-F 결합 길이와 C-Cl 결합 길이는 각각 132.00(2) pm, 175.20(3) pm이고, TRED 방법에 의하여 결정된 C-F, C-Cl 결합 길이는 각각 132.23(13) pm, 177.23(19) pm 로써 이 두 실험 방법에 의하여 결정된 분자 결합 길이는 좋은 일치성을 보여준다.

질소-주게 합성수지를 이용한 U(VI), Ca(II) 및 Lu(III) 금속 이온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VI), Ca(II) and Lu(III) Metal Ions Utilizing Nitrogen-Donator Synthetic Resin)

  • 정만태
    • 환경위생공학
    • /
    • 제15권1호
    • /
    • pp.25-33
    • /
    • 2000
  • 1%, 2%, 10%, 및 20%의 가교도를 갖는 클로로메틸화된 1,4-divinyl benzene에 1-aza-15-crown-5 거대고리 ligand를 치환반응으로 결합시키고, 이들 수지로부터 흡착에 미치는 pH, 시간, 수지의 가교도 그리고 용매의 유전상수 크기에 따른 흡착특성을 조사하였다. 금속이온들은 pH 4 이상에서 우라늄과 칼슘 이온들은 루테튬 이온보다 큰 흡착률을 보였으며, 금속이온들의 흡착 평형시간은 약 2 시간이었다. 한편, ethanol 매질에서의 흡착선택성은 $UO_2^{2+}>Ca^{2}>Lu^{3+}$ 이었고, 흡착력은 1%, 2%, 10%, 20%의 가교도 순 이었으며, 용매의 유전상수(물 : 78.54, 메탄올 : 32.63, 에탄올 : 24.30) 크기에 반비례하였다. 컬럼에서 1%의 가교도를 가진 수지와 금속이온들을 흡착시킨 후 용리액으로 pH2.5 $HNO_3$을 사용하여 각각 분리할 수 있었다.

  • PDF

폐굴껍질을 이용한 축산폐수중 무기인의 1차 처리 (Pretreatment of Livestock Wastewater containing PO4-3-P with Waste Oyster Shells)

  • 김은호;김석택;장성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8-53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의 재활용 측면에서 폐굴껍질을 이용하여 축산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PO_4^{3-}-P$의 제거특성을 검토해본 결가,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입경이 작을수록 흡착속도가 빠르게 진행되어 흡착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이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주입량과 수온이 증가할수록 평형상태에 도달하는데 다소 더 긴시간을 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응초기 낮은 pH에서는 흡착현상에 지배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pH상승과 더불어 정석반응이 우세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등온흡착식을 적용해본 결과에서도, 폐굴껍질은 $PO_4^{3-}-P$의 제거는 흡착현상 보다는 오히려 정석반응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여겨진다. SEM 관측결과에 의하면 폐굴껍질 표면에서 뚜렷한 변화는 거의 볼 수 없으나 반응전에 비하여 폐굴껍질의 입경이 비교적 크고 조그만 판상의 형태를 간헐적으로 보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