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행흐름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xperimental Study of Flow Fields around Cylinder Arrays Using PIV (PIV를 이용한 두 원주 주위의 유동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Jeon, Wan-Soo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0 no.3
    • /
    • pp.83-88
    • /
    • 1996
  • 두 인접한 원주 유동장을 입자 영상 속도계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실험은 회류수조에서 행하였다. 흐름방향에 평행하게 배치하는 방법과 직교배열의 두가지 방법으로 원주를 배열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른 연구자의 결과와 일치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입자 영상 속도계를 이용한 유동장 해석이 대단히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Seepage Behaviour and Stability of Extension Embankment by Unsteady State Seepage (비정상침투에 의한 증축제체의 침투거동과 안정성)

  • Shin, Bang-Woong;Bae, Woo-Seok;Lee, Jong-Kyu;Kang, Jong-Beom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 no.1
    • /
    • pp.57-65
    • /
    • 2001
  • In this study, the seepage behavior and the stability of the extension embankment were estimated for three cases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of an extension part and the rising velocity due to the rainfall of flood period. In parallel flow condition, the unstability of the slope due to embankment erosion was examined by analyzing the variation of seepage line by the seepage modeling tests and FEM analysis, and the stability of the embankment slope accompanied by the sudden rise of the water level after the flood. The seepage behavior of extension embankment indicates that the larger permeability of the extension part the longer initial seepage distance, and the exit point from embankment slope is gradually increased, and then shows unstable seepage behavior that occurs a partial collapse as safety factor decreases with time. It is because of the increment of exit points due to variation of seepage line and rising velocities of water level. Also, the collapse aspect of embankment slope shows that the increment rising velocities of water level causes the increment collapse height and depth.

  • PDF

Hydraulic Model Experiment for Flow Changes due to Trees on One Line (하천의 일열 수목에 의한 흐름 변화 수리모형실험)

  • Lee, Nam-Joo;Kim, Ji-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61-462
    • /
    • 2011
  • 하천에 침입한 식생이 흐름에 미치는 영향은 현장조사와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하천의 흐름이 식생에 미치는 영향이나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아직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국내의 하천에서 버드나무는 일열로 흐름방향에 평행하게 이입되어 활착되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고 있으며, 이 연구는 실험실 개수로에 모형 나무를 일렬로 배열하여 식생이 완전히 잠긴 경우와 부분적으로 잠긴 경우에 대하여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수리모형 실험결과 나무의 개수에 따라 수위의 변화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빈 공간의 존재를 나타내는 나무의 간격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식생의 개수, 잠긴 정도, 흐름 상태에 따른 유속과 수위 분포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 결과는 식생저항모형 개발과 이차원 흐름모형의 검보정에 활용할 수 있다.

  • PDF

Laboratory Observations of Nearshore Flow Patterns Behind a Single Shore-Parallel Submerged Breakwater (해안선에 평행한 단일 잠제 후면 연안 흐름패턴 관측 수리실험)

  • Choi, Junwoo;Roh, 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9 no.3
    • /
    • pp.139-146
    • /
    • 2017
  •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icacy of submerged breakwater constructed for the beach protection,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observing the characteristics of flow around a single shore-parallel submerged breakwater. The velocity field near the shoreline was measured by utilizing the LSPIV (Large-Scale Particle Image Velocimetry) technique, and mean surface and wave height distributions were observed around the submerged breakwater, according to various combinations of incident waves and submerged breakwaters. In this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mean flow pattern behind the submerged breakwater was determined by the balance among the gradients of mean water surface and excess wave-momentum flux (i.e., radiation stress tensors) which interact with the wave-induced current developed by the gradients on the rear and the side of the submerged breakwater. The divergent and convergent flow patterns behind the submerged breakwater (i.e., accretion and erosion response) of the numerical study of Ranasinghe et al.(2010) were observed in the measured velocity distributions, and their empirical formula mostly agre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However, for some cases in this experiment, it was difficult to say that the flow pattern was one of them and was agreed with the empirical formula.

Analysis of Turbulent Flow by Location Characteristics of Side Weir inlet in Meandering Channels (사행수로 구간의 횡월류위어 유입구 위치특성에 따른 흐름해석)

  • Yu, Chang Hwan;Shin, Jae Sung;Oh, Yeun K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06-306
    • /
    • 2020
  • 횡월류위어(side weir)는 하천의 수위가 한계수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본류로부터 저류지나 분수로(distributary channel)로 흐름을 전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수공구조물로 강변저류지나 off-line저류지의 유입부에 흐름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유량관리 및 전환, 홍수통제, 에너지 소산, 수위조절, 일정 유량의 취수 및 분배, 초과 홍수량의 전환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구조물이다. 횡월류 위어의 월류 흐름은 일반위어와 같이 위어마루부 직각방향으로 흐르지 않고 본류 흐름특성에 따라 비스듬하게 유입된다. 이러한 흐름특성으로 횡월류위어 월류량은 본류의 하폭, 흐름특성, 위어길이 및 설치위치 등에 따라 각기 다르게 산정된다. 현재 국내에서 진행된 횡월류위어 흐름특성에 관련된 연구는 대부분 직선수로에 집중되어 있으며 사행하천의 흐름특성에 따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금회 연구에서는 3차원 상용프로그램인 FLOW-3D를 이용하여 사행하천구간 유입부 설치위치 특성에 따른 횡월류 위어 유입흐름 특성을 분석하였다. 사행하천 구간 횡월류위어 설치위치에 따른 3차원 흐름해석을 위해 AUTO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로길이 30m, 수로폭 2m의 구형 사행수로를 구성하였고, 횡월류위어 유입부 위치를 20°~120°로 변화시키며 수치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수로흐름은 유입부 설치각이 작을수록 상·하류 수위차가 작아지며 유속이 감소하며 설치위치각이 클수록 수로내 평균유속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입부 설치각이 작을수록 방류량이 증가하여 수로내 흐름분리현상 증가하였고 이로인한 지체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로 사행하천구간에 횡월류위어가 설치된 경우, 월류량과 수리학적 흐름특성을 해석할 때 3차원 수치모형실험이 유용한 해석도구로 이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후 수치모형실험이 수공구조물 설계 및 해석 시 참고자료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alysis of Turbulent Flow by Location Characteristics of Side Weir inlet in Meandering Channels (사행수로 구간의 횡월류위어 유입구 위치특성에 따른 흐름해석)

  • Yu, Chang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50-250
    • /
    • 2021
  • 횡월류위어(side weir)는 하천의 수위가 한계수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본류로부터 저류지나 분수로(distributary channel)로 흐름을 전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수공구조물로 강변저류지나 off-line저류지의 유입부에 흐름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유량관리 및 전환, 홍수통제, 에너지 소산, 수위조절, 일정 유량의 취수 및 분배, 초과 홍수량의 전환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구조물이다. 횡월류 위어의 월류 흐름은 일반위어와 같이 위어마루부 직각방향으로 흐르지 않고 본류 흐름특성에 따라 비스듬하게 유입된다. 이러한 흐름특성으로 횡월류위어 월류량은 본류의 하폭, 흐름특성, 위어길이 및 설치위치 등에 따라 각기 다르게 산정된다. 현재 국내에서 진행된 횡월류위어 흐름특성에 관련된 연구는 대부분 직선수로에 집중되어 있으며 사행하천의 흐름특성에 따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금회 연구에서는 3차원 상용프로그램인 FLOW-3D를 이용하여 사행하천구간 유입부 설치위치 특성에 따른 횡월류 위어 유입흐름 특성을 분석하였다. 사행하천 구간 횡월류위어 설치위치에 따른 3차원 흐름해석을 위해 AUTO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로길이 30m, 수로폭 2m의 구형 사행수로를 구성하였고, 횡월류위어 유입부 위치를 20°~120°로 변화시키며 수치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수로흐름은 유입부 설치각이 작을수록 상·하류 수위차가 작아지며 유속이 감소하며 설치위치각이 클수록 수로내 평균유속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입부 설치각이 작을수록 방류량이 증가하여 수로내 흐름분리현상 증가하였고 이로인한 지체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로 사행하천구간에 횡월류위어가 설치된 경우, 월류량과 수리학적 흐름특성을 해석할 때 3차원 수치모형실험이 유용한 해석도구로 이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후 수치모형실험이 수공구조물 설계 및 해석 시 참고자료로 이용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ischarge Coefficient of Triangular Side Weir (삼각형 횡월류위어의 유량계수)

  • Park Sung Sik;Seo Geun Soon;Kim Young Ho;Song Jai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016-1020
    • /
    • 2005
  • 횡월류위어(side weir 또는 lateral weir)는 인공수로 또는 자연하천에서 흐름방향에 평행하게 수로측면에 설치되어 에너지 소산, 수위의 안정, 일정 유량의 취수 및 분배, 초과 홍수량 전환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수공구조물로서 댐의 여수로, off-line 저류지, 관개배수를 위한 수로. 하수도 설비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국내외 연구는 대부분 직사각형 횡월류위어에 제한되어 수행되었으며, 삼각형 횡월류위어의 흐름특성 및 유량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실험을 통하여 본류의 흐름조건과 삼각형 횡월류위어각 등을 변화시켜 유량계수를 산정$\cdot$분석하였다. 수리실험은 길이 20m, 폭 0.8m, 높이 0.9m이고 벽면이 아크릴로 된 직사각형 가변 경사 개수로 실험장치를 이용하였다. 삼각형 횡월류위어는 예연이고 위어각은 90, 120, $150^{\circ}$였으며, 본류 Froude 수는 0.45-0.56였다. 삼각형 횡월류위어의 월류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Froude 수와 위어각 등을 고려한 유량계수 산정식을 제시하였으며, Kumar와 Pathak(1987)의 공식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Logconductivity-Head Cross Covariance in Two-Dimensional Nonstationary Porous Formations (비정체형 2차원 다공성 매질의 대수투수계수-수두 교차공분산에 관한 연구)

  • 성관제
    • Water for future
    • /
    • v.29 no.5
    • /
    • pp.215-222
    • /
    • 1996
  • An expression for the cross covariance of the logconductivity and the head in nonstationary porous formation is obtained. This cross covariance plays a key role in the inverse problem, i.e., in inferring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ductivity field from head data. The nonstationary logconductivity is modeled as superposition of definite linear trend and stationary fluctuation and the hydraulic head in saturated aquifers is found through stochastic analysis of a steady, two-dimensional flow. The cross covariance with a Gaussian correlation function is investigated for two particular cases where the trend is either parallel or normal to the head gradient. The results show that cross covariances are stationary except along separation distances parallel to the mean flow direction for the case where the trend is parallel to head gradient. Also, unlike the stationary model, the cross covariance along distances normal to flow direction is non-zero. From these observations we conclude that when a trend in the conductivity field is suspected, this information must be incorporated in the analysis of groundwater flow and solute transjport.

  • PDF

A Matched Filter with Two Data Flow Paths for Searching Sychronization in DSSS (DSSS 동기탐색을 위한 이중 데이터 흐름 경로를 갖는 정합필터)

  • Song Myong-Lyol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9 no.1A
    • /
    • pp.99-106
    • /
    • 2004
  • In this Paper, the matched filter for searching initial synchronization in DSSS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receiver is studied. The matched filter with a single data flow path is described which can be presented by HDL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In order to improve the processing time of operations for the filter, equations are arranged to represent two data flow paths and the associated hardware model is proposed. The model has an architecture based on parallelism and pipeline for fast processing, in which two data flow paths with a series of memory, multiplier and accumulator are placed in parallel.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i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matched filter with a single data flow path.

A Study of Frictional Flow Characteristics of Korean Streams (우리나라 하천의 흐름특성 및 마찰계수 산정)

  • Yoo, Dong-Hoon;Lee, Tae-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613-61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개수로 마찰흐름 특성에 관한 연구로서 유량조사사업단(2006)의 우리나라 3대강 유역 하천자료와 미국의 Colorado지역 록키산맥 하천 관측자료를 통하여 개수로의 흐름특성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개수로 설계에 있어 수로의 흐름해석 및 마찰계수의 정확한 산정은 수로설계의 근간이 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Manning(1889)식은 개수로 흐름특성을 판단하기에 너무 단순하여 상이한 결과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단순성에 기인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Bazin(1865)과 Varwick(1945)의 개수로 실험결과를 보면 Nikuradse(1933)의 원형관수로 실험결과와 마찬가지로 층류, 천이층류, 완난류, 천이난류, 전난류 등 다섯 가지의 흐름특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개수로 마찰계수의 특성변화를 보면 조고 또는 조도가 증가함에 따라 마찰계수가 상향으로 평행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실험결과로부터 확인되는 이러한 흐름 특성이 현장에서도 분명히 나타날 것으로 판단하며 이러한 가설에 근거하여 각 하천의 관측자료를 분석하였다. 유량조사사업단의 우리나라 3대강 유역 하천 관측자료(2006)를 레이놀즈수의 함수인 완난류 흐름으로 전제하고 물의 기본적인 성질과 하천의 경사, 수심, 조고 등의 영향을 고려한 무차원수를 도입하여 마찰계수의 2차적인 분포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관측된 자료로부터 무차원수를 도입하여 산정된 마찰계수분포를 보면 마찰계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추정된 유속과 관측된 유속을 비교하면 추정된 유속이 산개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은 유량관측시 관측지점의 수면경사 및 하상경사의 미관측으로 하천정비기본계획상에 제시된 지형으로부터 하상경사를 추정하여 마찰계수와 유속을 산정하였다. 또한 하천정비기본계획상에 제시된 Manning의 조도계수를 이용하여 Ganguillet&Kutter(1869) 산정식과 Manning(1889) 산정식으로 부터 유속을 산정한 결과 오차가 크게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제 관측자료에 적합하도록 조도계수를 재 산정하였다. 논문의 분량 제한상 분석과정은 추후 논문에 제시하기로 하고 분석결과와 수위관측에서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