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창강

Search Result 10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Case study on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Pyeongchang County, Gangwon-do (통합수자원관리 적용을 위한 사례연구: 강원도 평창군)

  • Lee, Mi-Yeon;Kang, Jae-Won;Kim, Sung;Kim, Ju-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912-916
    • /
    • 2010
  • 국내 통합수자원관리기술 수준은 계속되는 연구와 개발 노력으로 선진국 수준을 따라잡을 것으로 기대되나 개발된 기술의 실용성, 적용효과를 가시적으로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수자원 관리 기술을 적용하고자 강원도 평창군의 평창강 유역을 대상으로 통합수자원관리 전략을 수립한다. 평창강 유역의 대부분이 평창군이라는 하나의 행정구역에 속해 있어 본 연구에서는 평창강 유역 단위로 자료의 수집이 어려운 부문은 평창군을 기준으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수, 치수, 환경, 조직 및 정책 부문으로 나누어 평창군의 수자원 현황을 파악하고 평창군 수자원관리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 요인을 분석(SWOT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평창군의 강점은 수자원에 대한 관심이 높고, 관련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다는 것이다. 약점은 수자원관리를 위한 총괄조직이 없다는 것이고, 위협요인은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성 집중 호우로 홍수피해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반면, 평창군의 기회요인으로는 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어 토지 및 수자원 개발 측면에서도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SWOT 분석의 결과를 고려하여 통합수자원관리를 위한 전략을 제안하였다. 평창군 물문제 해결을 위한통합수자원관리 실행을 목표로 '평창물관리위원회' 설치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평창군의 통합수자원관리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이해당사자의 참여가 필요하며, 평창군 통합수자원관리지원시스템 구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전략에 따라 강원도 평창군에서는 '평창군 물관리위원회 운영 조례(2009.9.11, 평창군 조례 제1919호)'가 제정되었고 평창군 물관리위원회를 이끌어갈 위원들의 구성도 마무리되었으며, 이를 지원할 평창군 통합수자원관리 지원 시스템도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다. 앞으로의 계획은 2010년 4월 평창군 물관리위원회 창립총회를 시작으로 평창군 스스로 위원회를 운영하고 물관리 비전을 설정하고 실행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며;구축된 평창군 통합수자원관리지원시스템의 운영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통합수자원관리 적용 노력을 통합수자원관리 성공 사례로 발전시켜 나아가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도 좋은 모델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강우-유출 사상에 대한 합류부에서 배수영향에 따른 유출특성 검토

  • Lee, Tae-Hui;Park, Hyeon-Geun;Lee, Yeon-Gil;Jeong, Se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15-315
    • /
    • 2011
  • 본류와 지류가 합류되는 합류부에서는 배수영향으로 수위가 증가하더라도 수면경사가 완만해져 감속흐름이 발생하고 배수영향을 받지 않는 동수위보다 유량이 감소하는 수리특성이 나타난다. 또한 지류의 유역면적이 본 류의 유역면적과 비슷한 경우 홍수사상에 따라 역류현상이 발생하여 본류 유역에서의 유출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본류의 수위가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수위-유량관계에 있어서도 복잡한 현상이 발생하여 단일 수위-유량관계곡선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과 평창강이 합류되는 각 하천 하류에 위치한 국토해양부 팔괴 수위관측소와 영월 수위관측소에서의 강우-유출 사상에 따라 변이하는 유출 특성을 검토하였다. 우선 강우 사상을 검토하기 위하여 평창강 유역의 대표 강우관측소인 유천 및 방림 강우관측소와 한강 상류유역의 대표 강우관측소인 대기 및 정선 강우관측소의 2010년 3월과 7월의 강우 사상을 비교하였다. 또한 유출 사상을 검토하기 위하여 평창강 유역 하류의 팔괴 수위관측소와 한강 상류유역 하류의 영월 수위관측소의 2010년 3월 15일부터 17일과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두 사상에 대한 관측자료, 2010년 3월 16일과 7월 17일에 유량측정을 실시하여 확보한 측정자료를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홍수사상에 따른 한강과 평창강 합류부에서의 배수영향 및 역류현상을 검토하기 위하여 2008년 7월 및 2010년 9월의 유량측정을 통하여 확보한 측정자료를 바탕으로 수리특성을 검토하였다. 그림 1에는 한강 및 평창강 유역의 대표 강우관측소의 위치와 각 유역 출구점인 수위관측소의 위치를 도시하였다.

  • PDF

Operation of Upstream Experimental Watershed of Pyeongchang River in 2010 (2010 평창강 상류 시험유역의 운영)

  • Kim, Sang Ho;Min, Sang Ki;Hwang, Sin Bum;Choi, Heung 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08-208
    • /
    • 2011
  • 우리나라의 하천은 산악지역이 많은 지형적인 특성상 만곡이 많은 산지하천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집중호우가 많이 발생하는 홍수시에는 급격한 수위상승과 함께 하천 인근 지역에서 많은 재해가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남한강의 지류인 평창강의 수리 수문의 경향성을 분석하고, 만곡부에서의 수리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평창강 상류에 위치한 지방하천인 속사천과 흥정천 합류부를 중심으로 4곳의 수위관측소에서 유량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속사천의 2개 지점과 흥전천의 2개 지점의 만곡부에서 홍수시 수위상승으로 인한 편수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수위관측소는 속사천에 장평교와 의풍포교 관측소가 있으며, 흥정천에 백옥포 관측소 그리고 합류부 이후에 평창강의 상안미 관측소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 3월부터 12월까지 측정된 유량측정 자료의 정량적 분석과 불확실도 해석을 실시하여 시험유역 운영 자료에 대한 정확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시험유역의 운영은 유역의 수문순환 특성분석의 순환구조의 이해와 모델개발 검정 및 검증 기반의 자료를 구축하여 산지지형의 해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Freshwater Fish Fauna of the Pyongchankang and Expected Impacts of Reduce of Constant River Flood in Youngwolgun, Kangwondo (강원도 평창강 일대의 어류상과 하천유지수량의 감소로 예측되는 영향)

  • 박병상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9 no.1
    • /
    • pp.42-48
    • /
    • 1995
  • Freshwater fish fauna in Pyongchangang in which having been constructed to water supply for Chechon cit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impacts of ecosystem on freshwater fish as rapid reduction of constant river flood both Sep. 25, 1994 and Oct. 7, 1994 ~ Oct. 9, 1994. It was 28 species of 21 genera on 6 Families freshwater fishes including a natural monument at and many endemic species among 6 survey stations in Pyongchang. The Pyongchang that was moved in a zigzag direction having been keep constant flood and high diversity of freshwater fishes. There was a high possibility of serious extinction on freshwater fishes as rapid reduction of constant flood in Pyongchangkang.

  • PDF

동정굴 지역의 지리환경에 관한 연구

  • 변대준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5 no.36
    • /
    • pp.54-71
    • /
    • 1993
  • 동정굴의 행정적 위치는 강원도 영월군 서면 옹정리에 있다. 이 서면은 영월군의 남서부에 위치하며 동쪽은 영월군 북면, 남면과 인접하고 있으며, 서쪽과 북쪽은 영월군 주천면과 충청북도 제체군의 송학면과 인접하고 있다. 영서지방의 거점도시인 제천과 영월 중간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동정굴은 태백산맥 서사면인 영서지방에 위치하고 있는데, 평창강 북동쪽에 위치하는 해발 508m의 도덕산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내려오는 능선의 사면과 남한강의 지류인 평창강이 만나는 하안급사면(하식애)에 위치한다. 동정굴의 수리적 위치는 동경 128$^{\circ}$21'6", 북위 37$^{\circ}$12'56"이다.(중략)

  • PDF

Effect of Flood Stage in Yeongwol caused by Lateral Inflow (지류 유입에 의한 영월지역의 홍수위 영향 분석)

  • Kim, Ji-Sung;Kim, Keuk-Soo;Kim, Won;Kim, Sang-Ho;Park, Sa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509-1513
    • /
    • 2009
  • 한강과 평창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한 영월지역은 지류인 평창강의 영향으로 역류 또는 지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홍수에 취약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면적 차이가 크지 않은 평창강$(1,773km^2)$과 합류점 상류의 한강$(2,448km^2)$에서 유입되는 유량에 의한 영월지역의 홍수위 영향을 분석하였다. 비교적 충분한 실측수위자료에 비하여 실측유량자료의 부족으로 완전한 동역학적 모형을 이용한 조도계수 보정을 수행하였다. 보정된 모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본류 및 지류의 유입량 조건에서 영월지점에 발생 가능한 수위-유량 관계곡선의 변화를 살펴보고, 지류 유입에 따른 홍수위의 영향범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영월지역에서는 지류유입량에 따라 매우 다른 수위-유량관계곡선들이 작성되었고, 영월지역은 평창강의 유입으로 인하여 동일한 유량에서 약 4.0m정도 수위차이가 발생하였으며, 지류 유입으로 인한 홍수위 변화는 합류점 상류 약 8km까지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Design Flood Estimation for Pyeongchang River Basin Using Fuzzy Regression Method (Fuzzy 회귀분석기법을 이용한 평창강 유역의 설계홍수량 산정)

  • Yi, Jaeeung;Kim, Seungjoo;Lee, Taegeun;Ji, Jung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10
    • /
    • pp.1023-1034
    • /
    • 2012
  • Linear regression technique has been used widely in water resources field as well as various fields such as economics and statistics, and so on. Using fuzzy regression technique, it is possible to quantify uncertainty and reflect them to the regression model. In this study, fuzzy regression model is developed to compute design floods in any place in Pyeongchang River basin. In ungaged basins, it is usually difficult to obtain data required for flood discharge analysis. In this study, basin characteristics elements are analyzed spatially using GIS and the technique of estimating design flood in ungaged mountainous basin is studied based on the result. Fuzzy regression technique is applied to Pyeongchang River basin which has mountainous basin characteristics and well collected rainfall and runoff data through IHP test basin project. Fuzzy design flood estimation equations are developed using the basin characteristics elements for Pyeongchang River basin. The suitability of developed fuzzy equations are examined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design floods computed in 9 locations along the river. Using regional regression method and fuzzy regression analysis, the uncertainties of the design floods occurred from the data monitoring can be quantified.

Hydrological Drought Analysis using Copula Theory (Copula 이론을 이용한 수문학적 가뭄 분석)

  • Kwak, Jae Won;Kim, Duck Gil;Lee, Jong Soo;Kim, Hung 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3B
    • /
    • pp.161-168
    • /
    • 2012
  • Drought is a normal and recurrent phenomenon. But, recurring prolonged droughts have caused consequences and diverse impacts on human system. Therefore, understanding drought characteristics is indispensable element in well-prepared drought managemen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hydrological droughts of Pyongchang stream and Upstream of Namhan-river in Korean peninsula. For modelling of the joint distribution of drought duration and drought severity, the copula method is used to construct the bivariate drought distribution and return period from the predetermined marginal distributions of drought duration and drought severity. As the result, the most severed drought of the Pyongchang stream and Upstream of Namhan-river occuring during period 1967 to 2007 is the 1981 and 1973. Return period for this drought derived from copula is 550 and 110 years.

Fish Fauna and Inhabitation of Legally Protected Species in the Pyeongchang River (평창강의 어류상 및 법적보호종의 서식 실태)

  • Lee Kwang-Yeol;Jang Young-Su;Choi Jae-Seo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0 no.3
    • /
    • pp.331-339
    • /
    • 2006
  • Inhabitant patterns of the legally protected spec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in the Pyeongchang River, Korea, were studied from April to July 2004 by selecting 6 sites. The number of fish samples in this period were 2,448 in 35 species of 9 families. A total of nineteen endemic species (54.29%) were presented and those were Hemibarbus mylodon and Acheilognathus signifer. The highest frequency was shown in Zacco korean us (34.84%) and Pungtungia herzi (10.25%) and Coreoleuciscus splendidus (6.86%) were the next. In addition, The highest biomass was found in Z. koreanus (5,580.2g) and Coreoperca. herzi (1.241.2g) and C. splendidus (1,207.0g) were the next. When comparing the distribution of the legally protected species in within the Han River system, the highesting distributions were determined in the Pyeongchang and Dong River (6 species). The ratio of individuals in the Pyeongchang River was shown to be higher (10.62%) than that of other lakes and streams. In conclusion, more precise protection and protective plans were needed in order to maintain the lake ecology in good status because the Pyeongchang River is relatively well protected from the anthropogenic disturbance in the legally protected species including the endemic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