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평음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어 서울 방언의 평음과 격음 변별 지각에서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차이 (Perception of lenis and aspirated stops in Seoul Korean by younger and older male and female listeners)

  • 김제홍;김소안;안주희;남기춘;최지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1-8
    • /
    • 2020
  • 전통적으로 서울 방언의 어두 평음과 격음은 voice onset time(VOT)에 의해 일차적으로 변별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발화 연구에서는 평음과 격음 간 존재하던 VOT값의 차이가 줄어들고 이차적 변별자질이었던 후행 모음의 fundamental frequency(F0)가 평음과 격음을 변별하는 데 일차적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변화가 관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산출 영역에서 관찰되는 이와 같은 변화가 지각 영역에서도 관찰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평음과 격음을 지각할 때 VOT와 F0 변별력을 알아보기 위해 VOT값과 F0값을 10단계로 조작한 음성 자극을 이용하여 식별 과제를 실시하였다. 청년과 노년 남녀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한 결과, 네 집단 모두에서 VOT와 F0가 평음과 격음을 변별하는 데 사용되지만 VOT에 비해 F0의 변별력이 더 큰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F0 변별력에서는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VOT 변별력은 청년여성 집단이 가장 낮고 노년남성 집단이 가장 큰 양상으로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주로 발화 연구에서 보고돼오던 평음과 격음 대립의 VOT 및 F0 사용에서의 변화를 지각 영역으로 확대하여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음 변화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어 어두 폐쇄음의 발화 및 지각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Korean word-initial stops from a sound change perspective)

  • 김진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3호
    • /
    • pp.39-51
    • /
    • 2021
  • 본고에서는 2020년에 수집된 자유 발화 자료를 바탕으로 어두 폐쇄음 평음, 격음, 경음의 발화가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 그리고 지각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의 통제된 실험에서와 다르게, 자유 발화에서는 30대 남성까지도 VOT(voice onset time)에 의해 평음과 격음의 변별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지각실험은 언어 변화의 주도 계층인 젊은 여성 세대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어두 폐쇄음의 지각에서 F0이 평음과 나머지 둘을 변별하는 역할을 하였고, 그 다음 VOT가 격음과 경음을 변별하는 역할을 하였다. 특히 F0이 낮을 때에는 VOT의 길이가 짧든 길든 간에 항상 평음으로 지각되었다는 점은 평음의 지각에서 F0이 절대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어떤 F0의 경우에는 VOT에 따라 평음과 격음이 변별되기도 하였는데, 이는 20대 여성의 발화와 지각 체계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음 변화의 관점에서 발화와 지각 체계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은 음 변화가 진행 중이라는 것을 의미하는데, 특히 20대 여성에서처럼 발화의 변화가 지각의 변화에 앞서는 경우는 음 변화가 후반 단계에 있을 때이다. 이처럼 언어 변화를 주도하는 계층에서 여전히 지각에서 이전의 체계를 유지하고 있는 이유는 그들의 부모 세대의 발화에서 VOT에 의한 평음과 격음의 변별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며 이를 습득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즉 다른 집단과의 소통을 위해 여전히 VOT를 지각에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일본어 화자의 한국어 평음/기음/경음의 지각과 산출 (Japanese Speakers'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Korean Lenis, Aspirated, and Fortis Consonants)

  • 황유미;조혜숙;김수진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44호
    • /
    • pp.61-7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Japanese speakers perceive and produce Lenis, Aspirated and Fortis consonants in Korean. Identification tasks and production tasks were performed. The error analysis of both task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had a significant difficulty in discriminating between Lenis and Aspirated sounds. And it was observ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dentification scores and production scores.

  • PDF

한국어 평마찰음과 경마찰음의 음향적 특성과 지각 단서 - 길이를 중심으로 -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Auditory Cues for Korean Lax vs. Tense Fricative Distinction)

  • 이경희;이봉원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5-100
    • /
    • 2000
  •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의 평마찰음(/ㅅ/)과 경마찰음(/ㅆ/)의 음향적 특성과, 경음과 평음의 구별에 기여하는 지각적 단서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마찰음에 대한 음향적 연구는 특정 환경에 국한된 단편적인 실험에 머물러 왔으며, 체계적인 분석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환경에서 측정된 평마찰음과 경마찰음의 음향적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그 지각적 단서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음향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특성은 평음과 경음의 구별지각에 중요하게 사용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또한 평·경음 구별 지각에 사용되는 단서에는 위계가 있으며, CV환경과 VCV 환경에서 사용되는 지각 단서의 위계는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 PDF

중국 수학자와 산서 (Chinese Mathematicians and their works)

  • 김창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42
    • /
    • 2006
  • 중국 수학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중국 수학자의 주요업적과 그들의 저서에 대하여 조사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중국어 발음표기와 이미 출판된 발음표기를 비교한다.

  • PDF

중국인 여성 화자의 한국어 평음 파열음 발음: 독립 문장과 문단의 비교 (Korean plain plosive produced by Chinese female speakers: Sentence vs. Paragraph)

  • 강반;김지은;이충우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7권2호
    • /
    • pp.111-11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hinese learners of Korean produce Korean plain plosives differently in a reading passage and isolated sentences. There are several studies on Korean plosives produced by Chinese speakers, but the study comparing the production of reading passage and isolated sentences are rare. For these purposes, ten Chinese speakers' VOT values of Korean plain plosives were measured using Speech Analyzer.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lain plosive production of a reading passage and that of isolated sentences. In the further studies, the measurement of pitch with VOT is needed.

지각 훈련을 통한 한국어 폐쇄음 음향 신호 가중치의 L2 학습 (Learning acoustic cue weights for Korean stops through L2 perception training)

  • 오은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4호
    • /
    • pp.9-21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어 평음과 기음 대조에 초점을 맞춘 지각 훈련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이 L2 폐쇄음을 대조하는 음향 신호의 지각 가중치를 모국어 값의 방향으로 개선하는지 고찰하였다. 중국어가 모국어인 한국어 학습자 19명과 지각 훈련을 진행한 한국어가 모국어인 교사 2명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사전 테스트 결과에 따라 훈련 집단과 비훈련 집단으로 나누었고, 훈련 집단만 5일 동안 지각 훈련을 진행하였다. 폐쇄음 신호의 지각 가중치를 추정하기 위해 음향 신호를 체계적으로 조작한 자극으로 사전 및 사후 테스트를 시행했다. 개별 학습자들의 테스트 결과에 대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시행해, 말소리 대조를 지각하는 데에 해당 음향 신호를 사용한 가중치를 추정하는 지각 β 계수 값을 계산하였다. 두 폐쇄음을 구별하는 주요 신호인 F0의 지각 계수에 대해, 훈련 집단은 사전 테스트 대비 사후 테스트에서 평균 0.451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를 보인 반면 비훈련 집단은 유의미하지 않은 0.246의 증가를 나타냈다. 그러나 지각 훈련 후 F0 사용의 변화 패턴이 개별 학습자들 간에 다양하게 나타났다.

자음의 단어내 음운환경별로 본 음가변화

  • 김종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9-76
    • /
    • 1994
  • 국어 자음을 단어내 음운환경별로 실험해 본 결과, 국어의 자음변이 규칙이 반영된 일관성있는 음가변화를 발견하였다. 발견된 음가변화는, ⅰ) 장애음의 길이는 모음간보다 단어초가 길고, ⅱ) 공명음의 길이는 단어초와 모음간보다 단어말이 길며, ⅲ) /ㄹ/의 F2와 F3는 모음간이 낮고 단어말은 높다는 것이다.ⅰ) 이들 음향특징의 근거가 되는 국어의 자음변이 규칙은, ⅰ) 평음의 유성화 현상, ⅱ) 음절말 불파음화 현상, ⅲ) 단어초 기음화 현상, ⅳ) /ㄹ/ 음소의 [r]과 [l] 교체현상이다. 본 실험결과 제시된 변화값은 음성인식 및 합성에 응용될 때 인식의 정확성과 합성의 자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한국 구개열 환자의 농음(Fortis) 산출곤란 원인규명을 위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정상인에 관한 구개범거근 근전도 소견을 중심으로- (An Electromyographic Study of the Levator Palatini Activity in the Production of Korea Sentences Containing Three Types of Initial Stops Placed at the Postnasal Position)

  • 박혜숙;히로세 하지매;구마다 마사노부;최홍식;이마가와 히로시;우메다 히로유끼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8-121
    • /
    • 2004
  • 배경 및 목적 : 한국 구개열환자에게는 된소리 자음(농음0의 구음산출의 난도가 높다는 것은 임상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 구개열 환자에게 있어서 난도가 높은 농음의 산출 메커니즘의 기본적 요소를 규명하므로서 언어치료의 새로운 방법모색에 기여하고져 하였다. 연구방법; 비강자음에 후속된 3종의 어두 파열자음 산출시의 구개범거근의 근활동 양상의 차이를 비교검토하므로서 농음의 산출특성을 검색하고져 하였다. 관찰기록 방법은 근전도는 유구침금전극(hooked wire electrodes)을 구강내로부터 경점막적으로 유도하였다. 연구결과 : 격음과 농음의 파열자음에서 평음보다 높은 구개범거근의 근활동이 관찰되었으나 격음과 농음 사이에선 유의미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금후의 과제로는 피험자를 늘려 재확인을 하는 일, 및 농음과 격음의 변별요소에 관해 더욱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 PDF

중국인 화자의 한국어 파열음 발음 (Korean Plosive Produced by Chinese Speaker)

  • 강반;김지은;이충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82-489
    • /
    • 2014
  •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파열음 (/ㄲㄱㅋㄸㄷㅌㅃㅂㅍ/) 발음의 VOT값이 (1) 한국에 거주하며 한국어를 배운 기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2) 유의미 단어와 무의미 단어에 따라 달라지는지 (3) 한국인의 이해도와 연관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18명의 중국인 화자들의 한국어 파열음 발음은 음성프로그램으로 분석되었고, 이후 중국인 화자가 발화한 파열음을 한국인 화자가 인지 가능한지 평가하여 이 결과와 VOT값을 비교하여 보았다. 본 실험에 참여한 중국인 화자들의 한국어 VOT값의 평균을 보면, 경음은 한국인 화자들의 VOT값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모국어의 영향으로 평음은 한국인 보다 더 짧아, 경음에 가깝게 발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격음의 VOT도 한국인 보다 더 짧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에 거주한 시기와 중국어 화자의 한국어 파열음 VOT값의 관계에서는, 중국인 화자의 한국어 발음은 거주 기간이 길어지고 한국어 학습양이 많아져도 쉽게 수정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미 단어와 무의미 단어의 차이도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