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균 적혈구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8초

hEPO 형질전환 돼지 후대의 임신기간내 혈액조성 변화

  • 이연근;이현기;이풍연;김성우;김정호;박진기;장원경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38-38
    • /
    • 2003
  • 본 연구는 사람 조혈촉진유전자(hEPO)가 도입된 형질전환돼지 Fl 수컷과 암컷간 교배로 F2 생산시, Fl 모돈에 대한 임신기간(약 114일)내 혈액조성(적혈구, 백혈구, Hemoglobin, Hematocrit value, MCV, MCH, MCHC, 혈소판)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에 이용된 암퇘지는 형질전환 F1 암컷 2마리와 일반돼지 1마리였고 교배와 동시에 임신기간동안(114일) 5일 간격으로 5ml의 혈액을 경정맥(jugular vein)에서 채취하였으며 혈액조성분석은 Celltac MEK 5108K(Nihon Kohden, Japan)를 이용하였는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임신기간중 혈액내 백혈구의 변화는 일반돼지의 경우 13.8($\pm$2.4)$\times$$10^3$/ul 로임신기간내에 일정한 변화양상을 보였으나 형질전환돼지의 경우 29.4($\pm$19.4)$\times$$10^3$와 22.5($\pm$14.1)$\times$$10^3$/ul 으로 일반돼지보다는 높게 나타났으며 임신기간내에 매우 높은 변화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적혈구는 일반돼지(7.2$\pm$0.7 $\times$$10^{6}$/ul)에 비하여 형질전환돼지(11.5$\pm$0.5 와 11.9$\pm$0.5 $\times$$10^{6}$ul)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변화양상은 일반돼지와 마찬가지로 작게 나타났다. 적혈구와 함께 Hemoglobin(Hb)과 평균혈구용적율(Hematocrit value ;, HCT) 모두 형질전환돼지가 일반돼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변화양상 또한 작게 나타남으로서 사람 조혈촉진유전자(hEPO)가 형질전환된 돼지에서는 지속적으로 발현되어 조혈촉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조혈촉진에 의해 헤모글로빈 및 적혈구가 생성되어 혈액내 높은 혈구용적율(HCT)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적혈구 평균용적(Mean Corpuscular Volume ; MCV), 평균적혈구혈색소량(Mean Corpuscular Hemoglobin ; MCH), 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 MCHC) 그리고 혈소판(Platelets) 분석결과 형질전환돼지가 일반돼지보다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변화양상 또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시험분석결과를 토대로 사람 조혈촉진유전자(hEPO)가 형질전환된 돼지는 유즙으로 발현할 수 있도록 형질전환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헤모글로빈 및 적혈구가 증가함으로서 형질전환돼지 개체의 혈장으로도 사람 조혈촉진인자가 분비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정상돼지 보다 형질전환돼지가 약 30% 높은HCT 수준을 보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사람에서는 적혈구증다증(erythrocytosis)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에 대한 고찰은 형질전환돼지 자체의 생리적 문제점(side effects)에 대한 해결과 더불어 기존의 인간질병에 대한 모델동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재래오골계의 혈액상 및 혈액화학치에 관한 연구 - 1. 오골계의 혈액상에 관하여 (Studies on the Hematologic Values and Blood Chemistry Values of Korean Native Ogolgye 1. Hematologic Values for Korean Native Ogolgye)

  • 이한기;박옥윤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3-238
    • /
    • 1984
  • 본 시험은 천연기념물 제265호인 182일령 한국재래종 오골계 20수(남 ; 10, 여 ; 10수)를 대상으로 정상혈액상을 구명하고 성별로 비교하여 유의성을 검정했던 바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적혈구치, 혈색소치 및 적혈구용적은 각각평균 $3.23\pm0.29\times10^6/{\mu}{\iota}$, 11.75$\pm$2.27g/100m1 및 33.41$\pm$4.85ml/100m1를 나타냈으며 이들은 공히 수컷이 암컷에 비해 그 수치가 다소 높았으나 성별 간에 유의성은 없었다. 2. 평균적혈구용적, 평균적혈구혈색소양 및 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의 평균치는 각각 102.65$\pm$17.45f1, 36.36$\pm$6.20pg, 및 34.44$\pm$0.63g/100m1을 나타냈으며 성별간에 비슷한 경향이었다. 3. 백혈구수는 평균 $16.33\pm4.75\times10^3/{\mu}{\iota}$ 이고 성별간의 유의성은 없었으며 동요범위는 매우 넓었다. 4. 혈소판수의 평균치는 $2.85\pm0.43\times10^5/{\mu}{\iota}$ 이고 남; 2.79$\pm$0.55, 여 $2.95\pm0.37\times10^5/{\mu}{\iota}$ 으로서 남이 여에 비하여 다소 높았으나 성별간에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5. 백혈구감별계수의 평균치는 Neutrophile $25.8\pm5.32\%$, Lymphocyte $59.1\pm6.48\%$, Eosinophile $3.0\pm1.50\%$, Basophile $2.6\pm1.14\%$ 및 Monocyte $9.5\pm2.95\%$로 성별간에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6. 적혈구의 크기는 장경$\times$단경$\times$두께가 남 $13.06\pm0.53{\mu}{\times}8.66\pm0.22{\mu}{\times}3.49\pm0.07{\mu}$, 여 $12.71\pm0.51{\mu}{\times}8.55\pm0.24{\mu}{\times}3.44\pm0.06{\mu}$을 나타내었다. 7. 각 측정치에 있어서 성별간에 대체적으로 차이를 보였으나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 PDF

적혈구 콜린에스테라제 활성도와 인구학적 특성 (Erythrocyte Cholinesterase Activity and Demographic Factors in Healthy Human)

  • 이원진;김청식;김진석;장성훈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5권1호
    • /
    • pp.23-27
    • /
    • 2000
  • 적혈구 콜린에스테라제 활성도와 성, 연령, 키, 몸무게, 음주 및 흡연력 등 인구학적 특성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두 곳의 농약 사업장 근로자 52명과 의과대학생 51명 등 총 103명을 대상으로 현장 검사용 기계를 이용해 2000년 1월부터 2월까지 적혈구 콜린에스테라제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남성이 89명(86.4%), 여성이 14명(13.6%)였으며 평균 연령은 각각 $31.8{\pm}11.4$, $27.1{\pm}10.1$ 세였다. 측정된 적혈구 콜리에스테라제 활성도의 평균값은 남성에서 $34.7{\pm}3.9$ U/g hemoglobin, 여성에서 $34.0{\pm}4.0$ U/g hemoglobin으로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적혈구 콜린에스테라제 활성도와 조사된 모든 인구학적 변수들간에는 유의하지 않은 매우 낮은 상관성만이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적혈구 콜린에스테라제 활성도는 혈장 콜린에스테라제 활성도와는 달리 성, 연령, 키, 몸무게 등 인구학적 변수와 상관성을 보이지 않는다고 판단되었다.

  • PDF

정상 성인남자에 있어서 기도청력역치와 혈액점도와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Association between air conduction hearing threshold and blood viscosity in normal adult males)

  • 김상우;이종영;박완섭;우극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3호
    • /
    • pp.623-629
    • /
    • 1997
  • 본 연구는 이질환과 소음에 폭로되지 않은 정상 성인 남자들을 대상으로 연령과 적혈구 일반검사 즉 혈구용적치, 적혈구수, 혈색소 및 기도청력역치의 산술평균과의 관계를 살펴본 단면조사연구이다. 적혈구 일반검사중 혈구용적치의 경우 혈액의 점도와 관계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연령과 적혈구 일반검사 결과와의 관계에서 혈구용 적치, 적혈구수, 혈색소가 연령이 증가할수록 낮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연령과 청력역치 검사에서는 500Hz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 및 산술평균값에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청력역치가 높음을 볼 수 있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청력역치를 산술평균한 3분법에 기초하여 10, 10dB 미만, $10.0\sim19.9dB$, 20.0dB 이상으로 임의로 3등급한 분류에서 연령대 별로 보여준 적혈구 일반검사의 결과와는 반대로 혈구용적치와 적혈구수가 청력저하가 클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일반 분산분석시 혈구용적치(p<0.01)의 경우 적혈구수(p<0.05)보다 통계적으로 더 유의한 결과를 보았으며, 연령을 보정한 공분산분석에서 혈구용적치 및 적혈구수 모두 통계적으로도 더욱 유의하였다(p<0.01). 앞으로의 과제는 이를 토대로 산업장의 소음성난청과 혈액의 점도와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겠으며 혈구용적치 외 서론에서 언급한 혈액의 점도와 관련된 다른 요인들과 혈압, 고지혈증, 흡연과 같은 심혈관 위험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나아가 이런 연구들이 진행되어 산업장에서 소음부서 근로자들에 대한 건강관리에서 기도 청력역치검사와 혈액검사에서 혈구용적치 및 기타 혈액검사의 활용여부 등이 잘 검토되어 소음성난청에 대한 건강관리에 적용되어져야 하겠다고 본다.

  • PDF

실혈(失血)이 적혈구수명(赤血球壽命) 측정(測定)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Measurement of Blood Loss and Its Effect on Red Cell Survival Studies with $^{51}Cr$)

  • 이문호;이정상;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7-36
    • /
    • 1970
  • 적혈구(赤血球) 수명의 측정에는 $^{51}Cr$-표지적혈구법(標識赤血球法)이 임상적(臨床的)으로 이용(利用)되고 있으며 이는 이론상(理論上) steady state 즉(卽) 측정기간(測定期間)동안 순환(循環) $^{51}Cr$량(量)-적혈구량(赤血球量)이 일정(一定)할 때에 한(限)하여 유효(有效)하며 unsteady state 때는 true red cell survival을 알기 위하여서는 측정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要因)에 대하여 각각(各各) 교정(校正)해 줄 필요(必要)가 있다. 이 요인(要因)중에 특히 실혈(失血)로 인(因)한 영향에 관(關)하여는 계통적인 연구(硏究)가 적다. 이에 저자(著者)들은 $^{51}Cr$표지적혈구법(標識赤血球法)을 이용(利用)하여 실혈(失血)이 적혈구(赤血球) 수명측정(測定)에 미치는 영향을 인체(人體)에서 실험 관찰하여 몇가지 성적을 얻었다. 연구대상(硏究對象)은 총(總) 56명(名)의 청장년(靑壯年)으로 급성실혈군(急性失血群)과 만성실혈군(慢性失血群)으로 구분(區分)하여 급성실혈군(急性失血群)은 위장출혈등(胃腸出血等)이 없는 2대(代)의 의대생(醫大生)으로 $^{51}Cr$표지적혈구법(標識赤血球法)을 사용하여 적혈구(赤血球) 수명을 측정하는 동안($10{\sim}14$ 일간(日間)) 1일당(日當) 10ml(6명(名)), 25ml(4명(名)), 50ml(4명(名)), 75ml(4명(名)), 100ml(6명(名))를 각각(各各) 사혈(瀉血)한 군(群)과 10일간(日間) 1,000ml를 사혈한 군(群) 즉 200ml씩 5회(回)(4명(名)), 500ml씩 2회(回)(4명(名))로 세분(細分)하였으며 만성실혈군(慢性失血群)은 직업적인 공혈자(供血者)로 반복사혈로 생긴 9명(名)의 빈혈자와 십이지장충증(十二指腸蟲症)에 감염(感染)되어 구충(驅蟲)한 중등도(中等度)의 철결핍성 빈혈환자 7명(名)으로 나누어 관찰하였다. 측정(測定) 방법(方法)으로는 Gray 및 Sterling법(法)을 개설한 방법(方法)으로 $^{51}Cr$표지적혈구(標識赤血球)의 계측시료(計測試料)로서 전혈(全血) 및 적혈구(赤血球)를 사용(使用)하였다. 실험(實驗)성적은 1. 1일당(日當) 실혈량(失血量)이 증가(增加)할수록 적혈구(赤血球)수명($T\frac{1}{2}$)은 짧아짐을 알 수 있었다. 즉(卽) 1일당(日當) $20{\sim}50ml$ 사혈군에서는 $T\frac{1}{2}$이 현저히 짧아지는 rapid phase을 나타내고 1일당(日當) 50ml이상(以上) 사혈군에서는 짧아지는 정도(程度)가 완만한 slow phase을 나타낸다(Fig. 6). 2. 1일량(日量) 10ml 및 25ml식(式) 사혈한 군(群)의 적혈구수명(赤血球壽命)을 측정(測定)하는데 있어 적혈구(赤血球)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T\frac{1}{2}$측 정치에 유의한 차(差)가 없었으며 이 범위 내에서는 Hct., Hb. 및 혈청철치(血淸鐵値)도 역시 유의한 차(差)가 없었다. 3. 1일량(日量) 50ml 및 75ml, 100ml씩 사혈한 군(群)에서는 적혈구(赤血球)만을 사용(使用)하였을 때와 전혈(全血)을 시료(試料)로 하였을 때 사이에 $T\frac{1}{2}$의 측정치에 유의한 차(差)가 있었으며 이 때는 Hct., Hb. 및 혈청철치(血淸鐵値)에도 변화(變化)가 있었다. 즉(卽), 전혈(全血)을 사용한 적혈구(赤血球) 수명($T\frac{1}{2}$)의 측정치가 적혈구(赤血球)만를 사용(使用)한 적혈구(赤血球) 수명($T\frac{1}{2}$)의 측정치 보다 짧았다. 4. 일정(一定)기간(10 일(日)) 사혈의 총량(1000ml)이 같을 매는 200ml를 5회(回) 사혈한 군(群)이나 500ml를 2회(回) 사혈한 군(群) 사이에 적혈구(赤血球) 수명($T\frac{1}{2}$)에 유의(有義)한 차(差)를 볼 수 없었다. 5. 직업적 공혈자의 반복사혈로 인(因)한 만성(慢性) 빈혈환자 9명(名)에서의 $^{51}Cr$적혈구(赤血球)수명($T\frac{1}{2}$) 측정치는 평균(平均) 19.2일(日)로 짧아져 있으나 적혈구수명측정전후(赤血球壽命測定前後)에 충분(充分)한 철제(鐵劑)를 투여(投與)하여 Hct., Hb. 및 혈청철치(血淸鐵値)를 증가(增加)시켰으며 이때 볼 수 있었든 Hct치(値)를 규준(規準)하여 교정한 적혈구(赤血球)수명($T\frac{1}{2}$)은 거의 정상(正常)범위 안에 있어(27.6일(日)) 이러한 인자(因子)를 고려하지 않으면 잘못 이해할 수가 있다. 6. 구충자충(鉤蟲仔蟲)을 구충한 7명(名)의 중등도(中等度) 철(鐵)결핍성 빈혈환자에서의 적혈구(赤血球)수명($T\frac{1}{2}$) 측정치는 25일(日)$\sim$31일(日)로 평균(平均) 28일(日)이었으며, 이때 장 출혈량은 1일(日) $1.0{\sim}3.5ml$이었다. 단시일내의 급성실혈시에는 이와같은 소량의 실혈(失血)도 적혈구(赤血球)수명($T\frac{1}{2}$) 측정치에 영향을 보여 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정도의 실혈은 실험오차에 기인하는 것인지 아니면 장기 출혈에서는 이러한 소량의 실혈이 적혈구(赤血球)수명($T\frac{1}{2}$) 측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인지는 아직 확실히 말할 수 없다. 8. $^{51}Cr$-표지적혈구(標識赤血球)로 측정한 적혈구(赤血球)수명($T\frac{1}{2}$)은 측정시의 실혈량(失血量)에 큰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으며 저자(著者)들은 $^{51}Cr$표지적혈구(標識赤血球)를 이용(利用)한 적혈구(赤血球) 수명 측정때 검사기간중 실혈량이 적혈구수명치(赤血球壽命値)에 미치는 관계를 상술(上述)한 실험치(實驗値)를 기초(基礎)로 하여 다음과 같을 교정식(校正式)을 고찰(考察)해 보았다. $^{51}Cr\;T\frac{1}{2}=17.0e^{-0.0495}+18.4e^{-0.000924x}$ 단(但) X : 1일(日) 실혈량(失血量)(단위(單位) ml)

  • PDF

가금학 분야 연구 논문 초록 (Abstracts of Research Papers in Poultry Science)

  • 세계가금학회한국지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6-74
    • /
    • 1977
  • 닭의 혈액상에 관한 발표는 많으나 아직 우리나라에서의 보고는 거의 없다. 이에 산난능력이 우수한 닭과 병계에 대한 앞으로의 혈액학적 연구를 위한 기초적자료를 얻고저 임상적으로 건강한 소위 한국 재내종(LCH)과 백색레그혼 (WLH)암탉의 정상 혈액학치 즉 적혈구, 백혈구, 혈색소, 헤마토크리프. 평균적혈구 용적, 평균 적혈구 혈색소량. 평균 적혈구 혈색소 농도 등을 조사하였다. 1 R.B.C.는 L.C.H.에서 3.18$\pm$0.10million per c$\mu$. mm였으며 W.L.H.는 3.23$\pm$0.05였다. 2. W.B.C.는 L.C.H에서 42.17$\pm$3.35, thousand per. c$\mu$mm였으며 W.L.H.는 35.64$\pm$2.89였다. 3. Hemoglobin치는 L.C.H.에서 11.24$\pm$0.30gm per 100$m\ell$였으며 WL.H.는 38.40$\pm$0.75였다. 4. Hematocrit치는 L.C.H.에서 34.00$\pm$0,98 percent였으며, W.L.H.는 33.40$\pm$0.75였다. 5. M.C.V.는 L.C.H에서 103.66$\pm$1.22 c$\mu$ 였으며, W.L.H.는 103.32$\pm$1.28이였다. 6. M.C.H,는 C.L.H.에서 34.19$\pm$0.41 $\mu$ $\mu\textrm{g}$9였으며. W.L.H,는 34.37$\pm$0.31이었다. 7. M.C.H.C는 L.C.H.에서 33.09$\pm$0.22 percent였으며, W.L.H.는 33.25$\pm$0.36 0.36이었다. (중략)

  • PDF

Staphylococcus epidermidis로 인위감염시킨 양식넙치의 혈액지수 변동 (Changes in Blood Parameters of the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rtificially Infected with Staphylococcus epidermidis)

  • 심두생;정승희;박형숙;전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3-131
    • /
    • 1993
  • 1990년 8월에 양식넙치의 병어에서 분리한 Staphylococcus epidermidis를 건강한 넙치에 인위감염 시킨 후, 혈액성상과 혈청화학성분의 변화를 24시간 간격으로 4일간 추적하였다. 적혈구수, 헤모글로빈량, 헤마토크릿치, 평균적혈구헤모글로빈농도 및 평균적혈구헤모글로빈량은 균 접종 24시간에서 48시간 내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총단백, 알부민, 글로부린 및 총콜레스테롤치는 균 접종 24시간에서 45시간만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혈당, 빌리루빈 및 혈청 트란스아미나제는 균 접종 24시간에서 48시간내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균 접종 48시간 후에 적혈구는 장경이 짧게 되어 둥근 모양으로 되었다. 균 접종 72시간 후에는 용혈된 적혈구와 호중구가 많이 출현하였다. 균 접종 48시간 후부터 프라이스-존즈 곡선은 좌방으로 이행되었다. 따라서 인위적 감염에 의한 양식 넙치의 포도상구균증은 용혈성 빈혈을 나타내었다.

  • PDF

넙치의 해상(海上)가두리 사육시험(飼育試驗)에 따른 혈액학적(血液學的) 연구(硏究)-I 혈액성상(血液性狀)에 대(對)하여 (Hematological Characterietic of Bastard halibut according to Cultured experiment of Mari-floating netcage- I On the Hematological conditions)

  • 심두생;전임기;정승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7-38
    • /
    • 1990
  • 1. 1990년(年) 4월(月) 7일(日)부터 1990녀(年) 5월(月) 24일(日)까지 대조구(對照區)의 해상(海上)가두리 시설별(施設別)로 양식(養殖)넙치의 혈액성(血液性) 상지수(狀指數)를 측정(測定)하였다. 2. 대조구(對照區)의 혈액성상지수(血液性狀指數)는 적혈구수(赤血球數) $289{\pm}61{\times}10^4/mm^3$, 헤모글로빈양(量) $4.8{\pm}0.9g/dl$, 상대적혈구(相對赤血球) 용적(容積) $22{\pm}6%$, 평균(平均)헤모글로빈농도(濃度) $22.7{\pm}4.0%$, 평균(平均)헤모글로빈양(量) $16.9{\pm}3.3pg$ 및 평균적혈구용적(平均赤血球容積) $77{\pm}19{\mu}m^3$를 나타내었다. 3. 대조구(對照區)의 헤모글로빈양(量)과 상대적혈구용적(相對赤血球容積)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는 r=0.805, p<0.01로 양자(兩者)는 높은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고 있으며, 평균적혈구용적(平均赤血球容積)과 평균적혈구(平均赤血球)헤모글로빈양(量)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도 r=0.696, p<0.05로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다. 4. 시험구별(試驗區別) 혈액성상지수(血液性狀指數)에서 대조구(對照區)와 비교(比較)하여 적혈구수(赤血球數)의 경우는 PVC시험구(試驗區)가 이송(移送) 후(後) 21일(日)만에 $293{\pm}57{\times}10^4/mm^3$로 회복(回復)한 후(後) 차츰 저하(低下)되었으며, 네트론시험구(試驗區)의 경우는 21일(日)만에 $286{\pm}42{\times}10^4/mm^3$로 대조구(對照區)의 수치(數値)를 회복(回復)한 후(後) 그 후(後) 약간 저하(低下)되었으나 가장 안정(安定)된 상태(狀態)를 나타내었다. 헤모글로빈양(量)의 경우는 이송(移送) 직후(直後)는 전(全) 시험구(試驗區)가 상승(上昇)하였다가 그 후(後) 전(全) 시험구(試驗區)가 저하(低下)하였으며 그 중(中)에서도 PVC시험구(試驗區)는 이송(移送) 후(後) 21일(日)만에는 상승(上昇)하지 않긴 변동(變動)의 폭(幅)도 적었으며 차츰 안정(安定)된 하강세(下降勢)를 나타내어 45일(日)째에는 $3.9{\pm}6g/dl$을 나타내었다. 그 다음 안정(安定)된 시험구(試驗區)는 네트론시험구(試驗區)이었다. 상대적혈구용적(相對赤血球容積)의 경우도 헤모글로빈양(量)과 마찬가지로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전(全) 시험구(試驗區)가 상승(上昇)하였으며 그 후(後) 안정(安定)된 수치(數値)를 나타내는 시험구(試驗區)는 네트론 시험구(試驗區)와 PVC 시험구(試驗區)이었다. 5. 해상(海上)가두리의 각(各) 시설별(施設別) 혈액성상지수(血液性狀指數)의 분석결과(分析結果)를 종합(綜合)한 결과(結果) 지수(指數)의 변동(變動)이 안정(安定)된 시험구(試驗區)는 PVC시험구(試驗區), 네트론시험구(試驗區) 이었으며 그외 시험구(試驗區)들은 변동(變動)의 폭(幅)이 컸었다.

  • PDF

$^{51}Cr$을 사용(使用)한 장관내(賜管內) 출혈량측정법(出血量測定法) (The Use of Radioactive $^{51}Cr$ in Measurement of Intestinal Blood Loss)

  • 이문호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9-26
    • /
    • 1970
  • 서론(緖論) 위장관내(胃腸管內)의 출혈(出血)의 유무(有無)를 진단(診斷)한다는 것은 임상적((臨床的)으로 대단(大端)히 중요(重要)하며 잠혈반응(潛血反應)은 임상검출법(臨床檢出法)의 하나로 많이 이용(利用)되고 있다. 잠혈반응(潛血反應)에 사용(使用)되는 각종화학반응(各種化學反應)은 그 검출법(檢出法)이 비교적(比較的) 간편(簡便)하되 출혈량(出血量)을 추정(推定) 하는것은 곤란(困難)하여 정성반응(定性反應)의 영역(領域)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特)히 우리라라에는 소화관내(消化管內)의 출혈(出血)을 야기(惹起)하기 쉬운 위궤양(胃潰瘍), 십이지장궤양(十二指賜潰瘍) 내지(乃至) 위암(胃癌)과 같은 각종(各種) 질환(疾患)의 이환율(罹患率)이 많을 뿐만 아니라 십이지장충(十二指腸蟲) 감염자(感梁者)가 많아 출혈량(出血量)의 측정(測定)은 각종질환(各種疾患)의 치료방침(治療方針) 내지(乃至) 예후(豫後)를 결정(決定)하는데 대단(大端)히 중요(重要)하다. 최근(最近) 방사성(放射性)$\ulcorner$크롬$\lrcorner$($^{51}Cr$)으로 표지(標識)된 적혈구(赤血球)를 정주(靜注)한 후(後) 대변내(大便內)에 배설(排泄)되는 방사능(放射能)을 측정(測定)하여 말초혈액단위량내(末消血液單位量內)의 방사능(放射能)과 비교(比較)하여 소화관내(消化管內)의 출혈량(出血量)을 측정(測定)하는 연구(硏究)가 보고(報告)되고 있다. 저자(著者)는 출혈량(出血量)이 적혈구수명측정(赤血球壽命測定)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관찰(觀察)하는 예비실험(豫備實驗)의 하나로 종래(從來) $^{51}Cr$를 사용(使用)한 소화관내(消化管內)의 출혈량측정법(出血量測定法)에 대(對)한 몇가지 기초적(基礎的) 연구(硏究)를 시도(試圖)하여 $^{51}Cr$법(法)의 신빙성여하(信憑性如何)를 검토(檢討)한 바 있어 이에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실험방법(實驗方法) 및 실험대상(實驗對象) I) 방사성(放射性)$\ulcorner$크롬$\lrcorner$($^{51}Cr$)과 적혈구(赤血球)의 표지법(標識法): 원자력연구소(原子力硏究所)에서 생산(生産)된 $Na_2^{51}CrO_4$를 사용(使用)하였고 표지법(標識法)은 적혈구수명측정(赤血球壽命測定)때와 같은 방법(方法)(Gray & Sterling, Read)을 사용(使用)하였다. 정주(靜注)된 $^{51}Cr$의 배설(排泄) 및 경구투여(經口投與)한 $^{51}Cr$의 흡수도(吸收度)를 관찰(觀察)하기 위(爲)하여 다음과 같은 예비(豫備) 실험(實驗)을 하였다. $^{51}Cr$로 표지(標識)된 일정량(一定量)의 적혈구(赤血球)를 Levine tube를 사용(使用)하여 피검자(被檢者)의 십이지장부위(十二指腸部位)에 정확(正確)히 전량(全量)을 주입(注入)시킨다음 tube속의 $^{51}Cr$ 방사능(放射能)을 없애기 위하여 약 100ml의 수도(水道)물로 세척(洗滌)한다음 24시간(時問) 후(後)부터 대변(大便), 뇨(尿) 및 혈액(血液)을 매일채취(每日採取)하여 $^{51}Cr$의 방사능(放射能)을 측정(測定)하여 투여(投與)한 $^{51}Cr$에 대(對)한 백분률(百分率)을 산출(算出)한다. 대변(大便) 및 뇨(尿)의 채취(採取)는 그속의 방사도(放射度)를 측정(測定)할 수 없을때 까지 실시(實施)한다(대량(大略) $7{\sim}10$일간(日問)). 수집한 대변(大便)은 $900{\sim}1,000^{\circ}C$의 전기로(電氣爐)속에서 소각 하여 완전탄화(完全灰化)시킨다음 일정량(一定量)의 증류수(蒸溜水)로 희석(稀釋)한 다음 well형(型) scintillation counter로 $^{51}Cr$의 방사도(放射度)를 계측(計測)하고 혈액량(血液量)으로 환산(換算)한다. 뇨(尿는) 24시간(時間) 뇨(尿)를 전부(全部) 축뇨(蓄尿)한 다음 $3{\sim}5ml$의 시료(試料)를 채취(採取)하여 방사도(放射度)를 측정(測定)하고 1일(日) 뇨중(尿中)의 $^{51}Cr$ 배설량(排泄量)을 계산(計算)하는 한편(便) 혈액량(血液量)으로 환산(換算)한다. 혈액량(血液量)의 측정(測定): 적혈구수명측정(赤血球壽命測定)때와 같은 방법(方法)으로 처리(處理)하여 정주(靜注)한 후(後) 10분(分) 20분(分) 내지(乃至) 30분(分) 후(後)에 heparin을 첨가(添加)하여 $2{\sim}4ml$가량(可量) 채혈(採血)하고 그 방사도(放射度)를 측정(測定)하여 그 평균치(平均値)를 구(求)한다. 실험성적(實驗成績) $^{51}Cr$의 대변(大便) 및 뇨중(尿中) 배설(排泄)을 관찰(觀察)하는 한편 투여(投與)한 혈액량(血液量)($^{51}Cr$로 표지(標識)된)과의 상호관계(相互關孫)도 아울러 고찰(考察)할 목적(目的)으로 투여혈액량(投與血液量)을 달리하는 조건하(條件下)에 실시(實施)한 성적(成績)을 보면 다음과 같다. 즉(卽) 1) $^{51}Cr$표지적혈구(標識赤血球)의 경구투여후(經口投與後)의 대변(大便) 및 뇨중(尿中)에의 $^{51}Cr$ 회수율(回收率) 및 배설률(排泄率) : $^{51}Cr$표지적혈구(標識赤血球) 5ml, 10ml, 15ml 및 20ml를 각각(各各) 잠혈반응(潛血反應)이 음성(陰性)인 정상(正常) 건강인(健康人) 3명(名) 내지(乃至) 5명(名)에게 십이지장관내(十二指腸管內)에 주입(注入)한 후(後)의 대변내(大便內)의 $^{51}Cr$ 회수율(回收率)과 장관내흡수율(腸管內吸收率)(뇨중배설량(尿中排泄量)을 보면 Table 1, 2 및 3에서 보는 바와 같다. 즉(卽) 5 ml식(式) 주입(注入)한 검사군(檢査群)(A)에서는 대변내(大便內)의 $^{51}Cr$ 회수율(回收率)은 $85.7{\sim}90.7%$, 평균(平均) 87.8%이고 뇨중배설량(尿中排泄量)은 $0.5{\sim}1.2%$, 평균(平均) 0.8%로 총회수율(總回收率)은 $86.7{\sim}91.4%$, 평균(平均) 88.5%이었고 10ml식(式) 주입(注入)한 검사군(檢査群)(B)에서는 대변(大便)속의 $^{51}Cr$ 회수율(回收率)은 $87.5{\sim}92.5%$, 평균(平均) 90.0%, 뇨중배설량(尿中排泄量)은 0.5-1.5%, 평균(平均) 0.9%로 총회수율(總回收率)은 88.2%{\sim}94.0%, 평균(平均) 90.9%이었다. 한편(便) 15ml 내지(乃至) 20ml식(式) 투여(投與)한 검사군(檢査群)(C)에서 는 대변(大便)속의 $^{51}Cr$회수율(回收率)은 89.7{\sim}97.7%, 평균(平均) 94.3%, 뇨중배설량(尿中排泄量)은 0.5{\sim}1.2%, 평균(平均) 0.8%로 총회수율(總回收率)은 95.1%이었다. 2) $^{51}Cr$표지적혈구(標識赤血球)의 정주후(靜注後)의 장관내배설(賜管內排泄) : $^{51}Cr$표지적혈구(標識赤血球)를 정주(靜注)하면 $^{51}Cr$의 대부분(大部分)은 뇨중(尿中)으로 배설(排泄)됨이 알려져 있으나 그 이외(以外)의 배설경로(排泄經路)에 관(關)하여는 그다지 알려져 있지 않다. 잠혈반응(潛血反應)이 음성(陰性)인 정상건강인(正常健康人) 5례(例)에게 $^{51}Cr$표지적혈구(標識赤血球) 15ml를 정맥주사(靜脈注射)한 후(後) 경시적(經時的)으로 타액(唾液), 위액(胃液), 십이지장액(十二指腸液) 및 대변(大便)을 채취(採取)하였다. 타액(唾液), 위액(胃液) 및 십이지장액(十二指腸液)(A- 담즙(膽汁) 및 B- 담즙(膽汁)으로 구별(區別)하였음)을 각각(各各) $2{\sim}5ml$식(式) 채취(採取)하였고 대변(大便)은 $4{\sim}5$일간(日間)(변비시(便秘時)에는 $7{\sim}10$일간(日間)까지)채취(採取) 전기로(電氣爐)로 회화(灰化)하여 각각(各各) 그의 방사능(放射能)을 계측(計測)하였고 대변(大便)속의 $^{51}Cr$방사도(放射度)는 혈액량(血液量)으로 환산(換算)하였으며 그 성적(成績)은 Table 4에서 보는바와 같다. 즉(卽) 타액(唾液)이나 B-담즙(膽汁)속에서는 거의 $^{51}Cr$방사능(放射能)을 발견(發見)할 수 없었는데 반(反)하여 위액(胃液) 및 담즙(膽汁) A속에서는 정주(靜注) $1{\sim}2$일(日) 이내(以內)에 약간(若干)의 방사능(放射能)을 검출(檢出)할 수 있었다. 한편 대변(大便)속에서는 1일(日) 0.5 내지(乃至) 1.5ml의 혈액(血液)에 해당되는 $^{51}Cr$의 방사능(放射能)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 정도(程度)(평균(平均) 0.9ml/혈액(血液)/일(日))의 $^{51}Cr$의 변중(便中) 출현(出現)은 진성출혈(眞性出血)과는 무관(無關)한 것으로 생각된다. 총괄(總括) Owen 등(等)은 2필(匹)의 개에서 $Na_2^{51}CrO_4$로 표지(標識)한 적혈구(赤血球)를 위내(胃內)에 주입(注入)하여 거의 대부분(大部分)이 대변(大便)으로 배설(排泄)되는 한편(便) 정주(靜注)로 주입(注入)한 $^{51}Cr$의 대부분(大部分)은 뇨중(尿中)으로 배설(排泄)됨을 발표(發表)하였고 그 후 Roche 등(等)은 $^{51}Cr$표지적혈구(標識赤血球)를 십이지장관내(十二指腸管內)에 주입(注入)한 8례(例)에서 뇨중배설(尿中排泄)은 1.7%($0{\sim}5.3%$), 변중(便中) 회수율(回收率)은 96.7%($90.7{\sim}103.5%$), 총배설률(總排泄率)은 98.7%($91.5{\sim}105.7%$)라고 보고(報告)한바 있다. 저자(著者)의 성적(成績)을 보면 투여(投與)한 혈액량(血液量)이 많을수록 대변(大便)속의 회수율(回收率)은 높으며(Fig. 1) 대변(大便)속의 예민(銳敏)하고 높은 회수율(回收率)을 얻고저 할때에는 적어도 15ml 이상(以上)의 적혈구(赤血球)를 투여(投與)함이 타당(妥當)함을 알 수 있었다. 경구투여후(經口投與後)의 $^{51}Cr$의 위장관흡수율(胃腸管吸收率)(뇨중배설(尿中排泄))을 보면 대체(大體)로 1%이내(以內)($0.8{\sim}1.5%$)이며 투여혈액량(投與血液量)과는 무관(無關)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便) $^{51}Cr$의 정주후(靜注後)에는 대부분(大部分)이 뇨중배설(尿中排泄)의 경로(經路)를 취(取)하되 담관내(膽管內)의 출혈량(出血量)을 이 방법(方法)으로 계측(計測)하고저 할때에는 자관내(腸管內)의 chromium 배설유무(排泄有無)를 관찰(觀察)함이 필요(必要)하다. 잠혈반응(潛血反應)이 음성(陰性)인 정상건강인(正常健康人)에게 $^{51}Cr$표지적혈구(標識赤血球)를 정주(靜注)하였을때 대변(大便)속에서 출혈(出血)과 관계(關係)없는 $^{51}Cr$의 방사능(放射能)을 계측(計測)할 수 있으며 이때의 $^{51}Cr$의 방사능(放射能)을 혈액량(血液量)으로 산출(算出)한 연구(硏究)들이 보고(報告)되고 있다. 즉(卽) Roche 등(等)은 정상인(正常人)에서 1.27ml/d, Ebaugh 등(等)은 $0.3{\sim}2.0ml/d$, Hushes-Jones는 2ml/d이하(以下)의 출혈(出血)을 볼 수 있었다고 하고 Nakao는 1.0ml전후(前後)의 혈액(血液)에 해방되는 출혈(出血)을 보았다고 한다. 저자(著者)는 평균(平均) 0.9ml의 혈액(血液)에 해방되는 출혈(出血)과는 전연(全然) 무관(無關)한 $^{51}Cr$의 방사능(放射能)을 발견(發見)할 수 있었다. 정주투여시(靜注投與時)의 뇨중(尿中) 이외(以外)에 $^{51}Cr$배설(排泄)의 경로(經路)를 관찰하기 위하며 경시적(經時的)으로 위액(胃液), 타액(唾液) 및 십이지장액(十二指腸液)(A 및 B 담즙(膽汁)으로 구별(區別))은 채취(採取)하여 그속으로 배설(排泄)되는 $^{51}Cr$의 방사능(放射能)을 측정(測定)해본 즉 주입초기(注入初期)에 위액(胃液) 및 A담즙(膽汁)속에서 약간(若干)의 방사능(放射能)을 발견(發見)할 수 있었으며 상술(上述)한 출혈(出血)과 무관계(無關係)한 $^{51}Cr$의 사용배설(使用排泄)은 주(主)로 담즙(膽汁) 및 위액(胃液)을 통(通)한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결론(結論) $Na_2^{51}CrO_4$를 사용(使用)하여 적혈구(赤血球)를 표지정주(標識靜注)한 후 대변(大便)속으로 배설(排泄)되는 방사능(放射能)을 측정(測定)하여 소화관내(消化管內)의 출혈량(出血量)을 측정(測定)하는 방법(方法)에 관(關)한 기초적(基礎的) 임상실험(臨床實驗)을 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成績)을 얻었다. 1. 잠혈반응(潛血反應)의 음성(陰性)인 정상건강인(正常健康人) 16례(例)에서 $^{51}Cr$표지적혈구(標識赤血球)를 경구투여(經口投與)하였을때 대변내(大便內)의 평균(平均) 회수율(回收率)은 90.7%($83.7{\sim}97.7%$)로 투여혈액량(投與血液量)이 많을수록 변중회수율(便中回收率)은 높으며 따라서 검사시(檢査時)에는 적어도 15ml이상(以上)의 혈액(血液)을 사용(使用)함이 적당(適當)하다고 생각된다. 한편(便) 이때의 뇨중(尿中) 배설(排泄)은 평균(平均) 0.8%($0.5{\sim}1.5%$)이었다. 2. $^{51}Cr$표지적혈구(標識赤血球)를 정상건강인(正常健康人)에게 정주(靜注)하였을때 $^{51}Cr$의 방사능(放射能)을 변(便)속에서 검출(檢出)할 수 있었으며 혈액량(血液量)으로 환산(換算)하여 0.9ml에 해당한다. 이 방사능(放射能)은 출혈(出血)과는 무관계(無關係)하여 주(主)로 A- 담즙(膽汁) 및 위액(胃液)으로 배설(排泄)되는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적어도 2.0ml이상(以上)의 혈액량(血液量)에 해당되는 $^{51}Cr$의 방사능(放射能)이 있을때 임상적(臨床的)으로 의의(意義)가 있다고 본다.

  • PDF

과량의 마늘투여로 인한 개의 혈액학적 변화 (Hematological Changes in Dogs Administrated Excessive Garlic-extracts)

  • Keun-woo Lee;In-ho Jang;Kwang-ho Ja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89-292
    • /
    • 1999
  • 마늘은 백합과 식물로서 인류의 식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최근에는 항암작용을 가진 것으로도 알려져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같은 백합과 식물인 양파의 경우 과량 섭취시 개에서 용혈성 빈혈이 유발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마늘의 경우 이러한 부작용에 관한 보고는 전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중 25 kg 이상의 성견을 대상으로 마늘 추출액을 투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총적혈구수(RBC), 헤모글로빈(Hb)함량, 혈구용적(PCV), 평균적혈구용적(MCV), 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MCHC)는 실험기간 중 유의한(P<0.05) 감소경향을 나타내었다. GSH 함량은 6일째 유의한(P<0.01)증가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 성적의 결과 과량의 마늘 투여시에도 양파에서와 동일한 용혈성 빈혈이 발생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