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균 수리 시간

Search Result 195,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 of Hyporheic Flow on Solute Transport in Surface Water (혼합대 흐름이 지표수 용질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 Jun Song Kim;Sung Hyun Jung;Donghae 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27-127
    • /
    • 2023
  • 지표수와 하상 경계층에서 발생하는 흐름 교환은 하천, 호소, 연안, 해안 등 자연계에 존재하는 수환경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수리학적 특성으로서, 흐름 교환이 발생하는 경계층 아래 하상층 영역을 혼합대(hyporheic zone)라 부른다. 수질오염사고 등에 의해 외부의 오염물질이 하천 내 유입될 경우, 혼합대 흐름에 의해 하상층으로 침투되고 지표수 대비 유속이 느린 하상 내 공극 흐름에 의해 거동함에 따라 이들의 하천 내 체류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표수와 하상 흐름을 연계한 수치해석 방법을 적용하여 혼합대가 지표수 내 용질 체류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연직 2차원 Reynolds 평균 Navier-Stokes(RANS) 방정식과 Darcy 방정식을 연계하여 지표수와 하상 내 흐름을 해석하였다. 지표수 영역은 RANS 방정식을 이용하여 모의하였고, 지표수 흐름해석에서 얻어진 하상의 압력장을 경계조건으로 하여 Darcy 방정식과 함께 하상 내 흐름을 모의하였다. 여기서 하상의 형태는 자연계 하천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사련하상(Ripple bed)으로 모사하였다. 이후, 지표수-하상 연계모의를 통해 얻어진 흐름 결과를 바탕으로 지표수-하상 경계층에서 용질거동을 모의하였다. 흐름 모의결과를 과거 실험자료와 비교한 결과, 지표수 영역 내연직흐름 분포를 정확하게 재현하였고, 동시에 혼합대 흐름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지표수-하상 경계층 압력 분포 역시 관측값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용질거동 해석을 통해 얻어진 용질의 체류시간을 분석한 결과, 혼합대 흐름이 고려된 경우(투수성 하상)와 고려되지 않은 경우(불투수성 하상)를 비교했을 때 전자에서 체류시간 분포의 감수곡선이 길어지고 첨두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지표수 영역의 유입부 경계의 평균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 체류시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지표수-하상 경계층에서의 압력 경사가 커져 혼합대 내 유속이 증가함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부산 동남부 지역의 해수침입 범위 연구

  • 심병완;정상용;이민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4a
    • /
    • pp.143-147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 동남부 해안지역의 대수층에서 염수화에 미치는 조건들을 파악하고 해수침투 범위를 추정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Tidal damping method와 SUTRA 모델링을 실시하고 대수층의 특성 및 염수화가능성을 파악하였으며, 모델링 결과의 타당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전기비저항 탐사를 실시하였다. Tidal damping method에 의한 시간지연과 조석효율효과를 계산하여 대수층의 저류계수를 산출한 결과 시간지연 현상에 의한 방법이 적합하게 나타났다. SUTRA 모델링 결과, 건기인 5월에는 종분산 지수가 2.5m 일 때 500ppm의 TDS 등치선을 기준으로 해안에서 약 510m 내륙까지 해수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기인 7월에는 강수로부터 다량의 지하수 함양에 의한 지하수위 상승을 고려하여, 평균수리경사를 0.008로 설정한 조건에서는 500ppm의 TDS 등치선을 기준으로 해안에서 약 410m 내륙까지 해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다. 5월과 7월의 전기비저항 탐사결과를 비교하면 7월의 전기비저항 분포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6, 7월의 강수에 의한 지하수의 유입이 증가하여 침투된 염수의 농도가 다소 낮아졌기 때문이다.

  • PDF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eam Vegetation and Sediment Transport by a Hydraulic Model Experiment (실험수로에서 식물군락에 의한 유사거동 양상에 관한 실험적 고찰)

  • Lee, Sam-He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6
    • /
    • pp.753-762
    • /
    • 2002
  • In-stream vegetation is an essential element of a stream channel. Veget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flood control and the natural environment in stream channels.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eam vegetation and stream chang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vegetation in some rivers of Korea. Although there are many physical factors that cause changes to streams, this research verified that in-stream vegetation caused sediment deposition. A hydraulic model experiment was conducted. Tests were conducted in a simulated gravel bed stream (bed slope 1/200) with Phragmites japonica. The average diameter of the bed load used was 0.3 mm and 27 kg were uniformly supplied for 1 hour under same hydraulic conditions. The deposition and scouring as well as the change of flow differed according to the density and arrangement of the Phragmites japonica. In-stream vegetation and stream channel change are closely related because deposition and scouring affects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Numerical simulation of sand dunes using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 (3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사구발달 수치모의)

  • Kim, Hyung Suk;Park, Moon 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81-281
    • /
    • 2017
  • 하천에서 하도불안정(stream instability)으로 인하여 하상의 형태가 변화하고 하상파(sand wave)가 발생한다. 사련(ripple), 사구(dune) 등과 같은 하상파는 흐름저항을 유발하여 홍수시 수위를 증가시킨다. 수리실험 및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사련 및 사구의 발달과정 그리고 이를 지나는 난류흐름에 대한 연구가 국외에서는 이루어지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수치모형을 활용한 연구는 주로 횡방향으로 하상파가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연직 2차원 수치모형을 적용하였으나 최근 컴퓨터 기술 및 수치기법의 고도화로 3차원 RANS(Reynolds averaged Navier-Stokes) 또는 LES(Large eddy simulation)를 이용한 수치모형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ES에 유사이송 및 하상변동 모형과 결합하여 사구발달에 대한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LES와 유사이송 및 하상변동 모형의 결합은 순간유속성분을 하상변동모형에 직접 적용되기 때문에 난류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특히 사구의 발달에 따라 복잡한 흐름이 발생하며 3차원 와구조가 발생하므로 난류특성의 고려는 필수적이다. 수치모의는 Delft Hydraulics (Bakker et al., 1986)에서 수행한 수리실험 T39를 활용하였다. 수리실험은 길이 100 m, 폭 0.5 m 개수로에서 수행되었으며 평균유속은 0.611 m/s, 수심은 0.436 m이다. 하상파 실험에 사용된 유사입경은 0.78 mm 균일사를 사용하였다. 수치모의 조건은 수리실험과 동일하게 하였으나 계산시간의 효율을 고려하여 흐름방향의 계산영역은 4.0 m로 하고 주기경계조건(periodic boundary condition)을 부여하여 계산을 수행하였다. 수치모의 계산은 사구의 길이 및 파고가 평형상태에 이를 때까지 수행되었다. 수치모의 통해 사구발달에 따른 흐름 및 하상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Analytical Modelling and Heuristic Algorithm for Object Transfer Latency in the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에서 객체전송지연을 계산하기 위한 수리적 모델링 및 휴리스틱 알고리즘의 개발)

  • Lee, Yong-Jin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6 no.3
    • /
    • pp.1-6
    • /
    • 2020
  • This paper aims to integrate the previous models about mean object transfer latency in one framework and analyze the result through the computational experience. The analytical object transfer latency model assumes the multiple packet losses and the Internet of Things(IoT) environment including multi-hop wireless network, where fast re-transmission is not possible due to small window. The model also considers the initial congestion window size and the multiple packet loss in one congestion window. Performance evaluation shows that the lower and upper bounds of the mean object transfer latency are almost the same when both transfer object size and packet loss rate are small. However, as packet loss rate increases, the size of the initial congestion window and the round-trip time affect the upper and lower bounds of the mean object transfer latency.

Solute Transport Analysis in a Natural River using Convolutional Storage Model (합성곱 저장대모형을 이용한 하천에서의 용존물질 거동 해석)

  • Kim, Byunguk;Seo, Il Won;Gwon, Si-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00-200
    • /
    • 2021
  • 하천은 용수공급, 관개, 친수활동, 산업활동 등 인간의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수질관리는 필수적이며 유기물, 중금속, 화학물질 등의 용존물질들은 수질문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하천에서의 용존물질의 혼합 거동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지난 수십년간 이루어지고 있다. 하천 흐름에 따른 오염물질의 이동 및 확산 거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1차원 추적모형이 활용되는데, 그 중 하천저장대 모형(Transient Storage Model, TSM)은 자연하천의 복잡하고 불규칙한 수리·지형적인 특성을 단순하게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TSM은 매개변수에 대한 의존성과 불확도가 크며, TSM의 저장대에서의 농도분포에 대한 지수함수형태의 모델링이 하상간극수역(Hyporheic zone)에서의 저장대 특성을 반영하기에 구조적으로 부정확하다는 단점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TSM의 단점을 보완하고 하천에서의 저장대 메커니즘을 보다 정확하게 구현하고자 체류시간분포(residence time distribution)를 이용한 확률론적 저장대 모델링 프레임워크가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본류대와 저장대에서의 오염물질의 체류시간분포를 분리하여 해석하고 이를 전달함수(transfer function)를 이용한 합성곱으로 결합한 형태의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모델링하였다. 상기의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2019년 감천의 4.85km 구간에서 추적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당시 유량은 12.9 m3/s로 풍수기에 해당되며 평균 유속은 약 0.6 m/s로 측정되었다. 모형의 매개변수는 추적자 실험으로부터 최적화 기법을 통해 역모델링기법으로 결정하였다. 제안된 모형에 의한 모의 결과를 추적자 실험에서의 농도측정자료와 비교한 결과, 평균 0.988의 결정계수를 보여 매우 높은 정확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저장대특성을 나타내는 농도곡선의 꼬리부에 대하여 같은 조건에서 1차원 이송-분산(ADE) 모형, TSM의 모의결과와도 비교한 결과 본 모형은 추적자 실험 농도측정 결과와 평균 0.195의 오차율을 보이며, 이는 ADE 모형과 TSM의 오차율인 14.03과 1.866에 비해 매우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Nutrient Removal Hybrid Process to Use Suspended and Attached Growth Microorganisms and Apply the Contact and Stabilization Process (부유 및 부착성장 미생물을 이용한 접촉안정형 영양염류처리 하이브리드 공정)

  • Kim, Man-Soo;Park, Jong-Woon;Lee, Sang-Ill;Park, Chul-Wh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9 no.4
    • /
    • pp.452-459
    • /
    • 2007
  • Nutrient removal hybrid process to use suspended and attached growth microorganisms and apply the contact and stabilization process was process obtaining good results to HRT within 6 hours to dominate nitrifier and to promote separation and growth of autotrophs and heterotrophs to pack with EPS(Expanded Poly-Styrene) media in nitrification reactor. An average effluent quality of this process was below 5.2 mg/L, 7.3 mg/L, 4.9 mg/L as $BOD_5,\;COD_{Mn}$, SS concentration and 6.8 mg/L, 0.6 mg/L as T-N, T-P concentration. Also, An average removal efficiency of this process was 94.6%, 79.8%, 94.9% as $BOD_5,\;COD_{Mn}$, SS and 70.8%, 76.9% as T-N, T-P. 16S-rRNA analysis result of microorganisms attached to EPS media was researched Nitrosomonas and Nitrosococcus blown to ammonia-oxidizing bacteria cluster to include Gallionella and these microorganisms were researched to involve about 6% of biofilm attached EPS media. Consequently, this process was treated below 10 mg/L and 1.0mg/L as T-N, T-P concentration at short hydraulic retention time(about 6 hr) to dominate nitrifier.

The Distribution of Chironomids by Hydraulic Structure in Circulating Channel (수리구조물의 영향을 받는 순환수로에서의 깔따구 분포)

  • Park, Jong-Pyo;Lee, Sang-Ho;Lee, Jung-Min;Park, Jae-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17-1021
    • /
    • 2006
  • 인공순환수로에 정육면체 수리구조물을 구간별로 설치하여 흐름특성에 따른 깔따구의 서식경향을 조사하였다. 정밀한 흐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난류계산을 수행하였으며, 인공순환수로에 깔따구를 투입하고 3일경과 후 깔따구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인공순환수로는 단면 폭 29cm, 높이 30cm인 구조로 제작되었으며 직선구간의 길이는 120cm이다. 인공순환수로의 직선구간에 길이 10cm의 정육면체 수리구조물을 20cm 간격으로 양쪽 벽면부에 4개씩 균일하게 설치하였다. 자연하천에서 채집된 원수를 수심 20cm가 되도록 투입한 후 유기물을 하상에 고르게 깔고, 회전날개를 이용하여 평균유속 10cm/s로 안정화 시킨 후 깔따구 투입하였다. 실험시작 3일 경과 후, 깔따구의 서식경향을 조사한 결과 깔따구는 수리구조물 직하류부에 주로 서식하였다. 이는 주 흐름방향 유속분포가 수리구조물 후방에서 급격히 작아져 깔따구들이 정착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인공순환수로 직선구간의 안쪽 벽면과 바깥쪽 벽면의 깔따구 개체수는 안쪽 벽면이 바깥쪽 벽면에 비하여 2배 정도 많다. 이는 수리구조물 사이 안쪽 벽면 하상의 시계방향 회전흐름 때문으로 분석되며 상대적으로 이러한 흐름은 바깥쪽 벽면에서 작다. 실험 및 수치해석 결과, 깔따구는 상대적으로 유속이 작은 곳에 서식하며, 이차류의 경향에 따라 서식처를 이동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생태적 기능을 고려하여 다양한 수리학적 조건 하에서 난류계산 및 유속측정을 통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연구는 친환경적으로 하천을 복원시키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은 silt나 clay보다 입경이 큰 모래나 자갈을 경유 하면서 오염물의 저감효과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유입유량의 대부분이 표면으로 유출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표면유출수의 오염도를 낮추는 것이 유입오염물 저감효과에 보다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문에 자료의 이상적 유지 관리가 이루어지며 복잡한 2차원 수질해석 모형을 수월하게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개발하였다.제외하면, 부자측정 방법에 의한 유량산정시 가장 큰 오차원인은 홍수시 측정된 유속측선의 위치와 홍수 전후로 측정된 횡단면상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점과, 대부분 두 측정 구간의 평균값을 대푯값으로 사용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다년간의 유량 측정 및 검증 경험과 자료를 토대로 현장에서 부자를 이용하여 측정된 측정성과를 정확도 높은 유량자료로 산정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를 추정하여 그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한다. 더불어 보다 정확한 유량 산정을 위한 기준과 범주를 제시하고자 한다.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 PDF

The Characteristics of Hydrodynamic Dispersion in a Horizontally Heterogeneous Fractured Rock Through Single Well Injection Withdrawal Tracer Tests (수평적으로 불균질한 단열암반층에서 단공주입양수 추적자시험에 의한 수리분산특성)

  • Kang, Dong-Hwan;Chung, Sang-Yong;Kim, Byung-Woo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1 no.6
    • /
    • pp.53-60
    • /
    • 2006
  • Single well injection withdrawal tracer tests with bromide were carried out at two wells developed in a horizontally heterogeneous fractured rock.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TW-1 well was 5 times larger than TW-2 well, and the average linear velocity of TW-2 well was 1.8 times faster than TW-1 well. The difference of hydrodynamic dispersions of two wells in the fractured rock was studied with the analysis of concentration breakthrough curves and cumulative mass recovery curves of bromide with withdrawal time, and the estimation of average travel distance, pore velocity, longitudinal dispersivity and longitudinal dispersion coefficient. The average travel distances of bromide were estimated to be 3.00 m in TW-1 well and 5.62 m in TW-2 well. The average pore velocities for the injection/withdrawal phase were estimated to be $4.31\;{\times}\;10^{-4}\;m/sec$ in TW-1 well and $8.08\;{\times}\;10^{-4}\;m/sec$ in TW-2 well. Average travel distance and pore velocity were higher in TW-2 well because of small effective porosity. Longitudinal dispersivities were estimated to be 28.73 cm in TW-1 well and 18.49 cm in TW-2 well, and bromide transport was 1.55 times faster in TW-1 well. Longitudinal dispersion coefficients were estimated to be $5.14\;{\times}\;10^{-6}\;m^2/sec$ in TW-1 well and $6.06\;{\times}\;10^{-6}\;m^2/sec$ in TW-2 well, and diffusion area was 1.18 times larger in TW-2 well.

Hydraulic Relation of Discharge and Velocity in Small, Steep Mountain Streams Using the Salt-dilution Method (Salt-dilution 방법을 이용한 산지소하천의 유량과 유속 관계 분석)

  • Yang, Hyunje;Lee, Sung-Jae;Im, Sangj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7 no.2
    • /
    • pp.158-165
    • /
    • 2018
  • Reach-average velocity prediction in steep mountain streams is important for understanding fluvial processes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erosion control in mountain streams. littl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reach-average velocity, but hydraulic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harge and reach-average velocity in torrent reaches us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discharge data. In this study, a total of 87 data were measured in 8 torrent reaches. Salt-dilution method was used to estimate discharge. Reach-average velocity was calculated from harmonic mean of travel time that were measured by salt-dilution technique. In order to exlpore the hydraulic relation, both discharge and velocity were non-dimensionalized by using $D_{50}$, $D_{84}$, ${\sigma}_{pro}$ and $IPR_{90}$. It also indicated that ${\sigma}_{pro}$ and $IPR_{90}$ were good variables as roughness height for develop the relationship between non-dimensional discharge and velocity in mountain streams. Generally, reach-average velocity could increase exponentially as discharge incr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