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균 가입기간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68 seconds

An actuarial structure of income replacement ratio in pensions and individual annuity (국민·퇴직·개인연금의 소득대체율 산출을 위한 연금수리모형)

  • Han, Jeonglim;Lee, Hangsuc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4 no.6
    • /
    • pp.1385-1400
    • /
    • 2013
  • This paper discusses income replacement ratios of national pension, retirement pension and individual annuities in Korea. These ratios are useful indicators for the assessment of retirement income security of workers. This paper projects income replacement ratios, using the pension entry rate, decrement rates, and life tables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result of the actuarial projection is that the income replacement ratio of national pension is approximately 21.0 to 22.7%, that the income replacement ratio of retirement pension is about 5.8 to 9.7%, and that the income replacement ratio of an individual annuity is about 13.5 to 21.0%, respectively. The income replacement ratio by income varies due to the effects of income redistribution in national pension and retirement pension, but the income replacement ratio of an individual annuity is constant, regardless of income.

Optimal Asset Allocation for Defined Contribution Pension to Minimize Shortfall Risk of Income Replacement Rate (소득대체율 부족 위험 최소화를 위한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의 최적자산배분)

  • Dong-Hwa Lee;Kyung-Jin Choi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33 no.1
    • /
    • pp.27-34
    • /
    • 2024
  •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optimal asset allocation that minimizes the risk of insufficient realized replacement rates compared to the OECD average replacement rate. To do this, we set the shortfall risk of replacement rates and calculates an asset allocation plan to minimize this risk based on the period of enrollment, the income level and additional contribution. We consider stocks and deposits as investment assets,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with a GBM model to generate return distributions for stocks. Our result show that, for individuals with a enrollment period of less than 30 years, participants should invest a minimum of 70-80% of their funds in risky assets to minimize the shortfall risk. However, the proportion of funds that need to be invested in risky assets declines significantly when participants contribute an additional premiums. This effect is particularly pronounced among low-income individuals. Therefore, to achieve OECD average replacement rates, the government needs to incentivize participants to invest more in risky assets, while also providing policies to encourage additional contributions, especially for the low-income population.

손익(損益)시뮬레이션에 의한 공무원연금급여구조개선방안(公務員年金給與構造改善方案) 연구(硏究)

  • Min, Jae-Seong;Choe, Byeong-Ho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9 no.3
    • /
    • pp.67-94
    • /
    • 1987
  • 본(本) 연구(硏究)의 목적(目的)은 공무원연금제도(公務員年金制度)의 장래(將來) 재정안정(財政安定)을 위한 연금급여구조(年金給與構造)의 개선방안(改善方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가입후(加入後) 연금수급(年金受給)을 마칠 때까지의 갹출(醵出) 및 급여과정(給與過程)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공무원연금(公務員年金) 가입자(加入者)의 수익률(收益率), 손익분기점(損益分岐點) 및 급여수준(給與水準) 등을 분석(分析)하였다. 분석결과(分析結果) 공무원연금제도(公務員年金制度)의 현급여구조(現給與構造)가 지속(持續)된다면 재정위기(財政危機)가 초래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퇴직시점(退職時點)의 최종보수(最終報酬)를 기준으로 연금액(年金額)을 산정하고 공무원(公務員)의 퇴직연령(退職年齡)이 일반적으로 낮으며 수급자(受給者)의 평균수명이 길어져 연금액지출(年金額支出)이 증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대안(代案)으로 국민연금(國民年金)의 산정방법(算定方法)(전가입자평균보수(全加入者平均報酬)와 가입자개인(加入者個人)의 전가입기간평균보수(全加入期間平均報酬)를 기준으로 연금(年金)을 산정(算定))을 적용하고 연금수급시점(年金受給時點)을 60세부터로 하는 경우를 검토하여 본 결과 현저한 재정안정효과(財政安定效果)뿐 아니라 소득재분배효과(所得再分配效果)도 가져 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개선방안(改善方案)은 연금수급자(年金受給者)들에게 충격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정수익률(適正收益率)을 감안한 점진적(漸進的) 개선(改善)이 바람직하다.

  • PDF

A financial projection model on defined benefit pension plan (우리나라 퇴직연금의 재정추계모형과 장기전망 - 확정급여형 가정 중심으로 -)

  • Han, Jeonglim;Lee, Hangsuc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5 no.1
    • /
    • pp.131-153
    • /
    • 2014
  • The Korean market of pension plans has recently increased and pension plans will b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tirement system as complement of the national pension system in the future. However, there are a few of research papers on actuarial projections of pension plans. This paper will discuss a long-term financial projection on defined pension plans using data based on the national pension workplace participants. Previous researches focused on company-based financial projection of pension plan. But, this paper concerns on total Korean pension participants and suggests a method to calculate future financial projection of total pension plans. Finally, this research will suggest several numerical results of normal costs, benefits, numbers of workers, etc.

Estimation of the Expected Loss per Exposure of Export Insurance using GLM (일반화 선형모형을 이용한 수출보험의 지급비율 추정)

  • Ju, Hyo Chan;Lee, Hangsuck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6 no.6
    • /
    • pp.857-871
    • /
    • 2013
  • Export credit insurance is a policy tool for export growth. In the era of free trade under the governance of WTO, export credit insurance is still allowed as one of the few instruments to increase exports. This paper, using data on short-term export insurance contracts issued to foreign subsidiaries of Korean companies, calculates the expected loss per exposure by combining the effect of risk factors (credit rate of foreign importers, size of mother company, and payment period) on loss frequency and loss severity in different levels. We, applying generalized linear models (GLM), first fit loss frequency and loss severity to negative binomial and lognormal distribution, respectively, and then estimate the loss frequency rate per contract and the ratio of loss severity to coverage amount. Finally, we calculate the expected loss per exposure for each level of risk factors by combining these two rates. Based on the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we present the implication for the current premium rate of export insurance.

쏨뱅이, Sebastiscus marmoratus의 자어출산에 관한 연구

  • 김경민;이정의;양상근;김성철;황형규;강용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58-59
    • /
    • 2003
  • 연안정착성 어류인 쏨뱅이는 대부분의 볼락류와 더불어 자어를 출산하는 종이다. 그러므로 종묘생산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자어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이다. 이번 실험은 쏨뱅이 어미를 실내사육하고 자어 출산을 유도하여, 우량의 자어를 다량 확보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출산시기, 출산횟수, 자어마리수, 자어크기 등 쏨뱅이의 출산생태에 대하여 1997년부터 1999년까지 3년간 실내 자연출산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1. 쏨뱅이 어미의 출산횟수. 쏨뱅이는 한 마리의 어미가 수회에 걸쳐 자어를 출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7년에서 1999년까지 전년 12월에서 4월까지 쏨뱅이 출산기간동안 출산횟수를 조사한 결과 1997년에는 24마리의 어미 중 총 8마리의 어미가 출산에 가입하였고, 이중 5마리는 1회 출산이 이루어 졌으며, 2마리는 2회, 1마리는 3회 출산이 일어났다. 1998년에는 24마리의 어미를 수용하여, 6마리의 어미에서 출산이 이루어 졌으며, 이중에 4마리가 1회만 출산하였고, 각각한 마리가 2회와 4회 출산하였다. 전장 23.6cm(체중 244.7g)의 쏨뱅이 어미는 총 4회 출산하면서 215,000마리의 자어를 나누어 낳았다. 1999년에는 21마리의 암컷 중 11마리가 출산하였다. 이중 9마리가 1회 출산하였으며 2마리가 2회 출산하였다. 종묘생산 된 쏨뱅이를 대상으로 자어 출산을 조사한 결과 만 2년어부터 출산에 가입하고 있었으며 출산기간동안 1회 출산하였다. 2. 출산자어의 마리수. 1997년과 1998년에 각각 24마리, 1999년에 31마리의 쏨뱅이 어미를 이용하여 출산자어 마리수를 조사하였다. 1997년 쏨뱅이 어미(전장 19.2~23.9cm, 체중 150.0~354.0g)에서 1회 출산 할 때마다 18,000~46,000 마리의 자어를 출산하였다 . 마리당 총출산량은 20,000~56,000 마리 였다. 1998년 쏨뱅이 어미 (전장 19.2~24.7cm, 체중 144.3~317.9g)는 1회 출산에 8,000~90,000마리의 자어를 출산하였고, 마리당 총출산량은 8,000~215,000 마리의 자어를 낳아서 개체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1999년에는(어미 : 전장 20.7~25.5cm, 체중 205.5~396.4g) 1 회 출산때마다 7,000~50,000 마리의 자어를 출산하였다. 3. 출산간격. 다회 출산한 쏨뱅이 어미가 첫 번째 출산에서 다음 출산까지 소요되는 기간을 조사한 결과 13일에서 25일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회 출산 한 1998년 쏨뱅이 어미는 첫 번째 출산 후 19일만에 두 번째 출산이 이루어 졌고 각각 13 일과 14 일만에 세 번째, 네 번째 출산이 이루어져 총 46일 동안 4회에 거쳐 자어를 출산하였다. 4. 출산자어의 크기. 1997년 3회 출산한 쏨뱅이의 출산시기별 자어 크기를 조사한 결과 첫 번째 출산에서는 평균전장 4.1$\pm$0.07mm의 자어를 낳았으나 두 번째 출산에서 자어의 크기는 평균전장이 3.9$\pm$0.11mm, 세 번째 3.8$\pm$0.12mm로 점차 작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사학연금 가입자들을 위한 점진적 퇴직제도의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Lee, Jeong-U
    • Journal of Teachers' Pension
    • /
    • v.2
    • /
    • pp.47-102
    • /
    • 2017
  • 오늘날 대다수의 선진 국가들은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자국의 노후소득보장 제도를 대대적으로 개혁해 오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서도 지난 2015년 사학연금제도의 개혁이 이러한 취지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 사회의 문제가 단순히 노인부양비용의 증가 그 자체가 아니라, 평균수명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늘어나게 된 노후의 삶에 대한 시간적 배분이 근로와 여가에 걸쳐 균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사회적 부양을 필요로 하는 노후의 여가만 일방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차원에서 볼 때 고령화 사회의 문제는 생애근로기간의 연장을 통해서만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개인별로 건강상태나 가족상황 등의 이유로 생애근로주기의 연장이 불가능한 사람들을 위하여 별도의 제도적 장치가 추가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종합해 보면, 고령화 사회의 노동시장 문제는 개인별로 다양한 욕구나 능력을 반영하여 각자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보장해 줄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연금수급연령 상향조정의 필요성을 사학연금제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대신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득공백문제와 연금가입경력 공백문제 등 제반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로서 점진적 퇴직제도의 도입방안을 제안하였다. 개략적으로 사학연금제도에 있어서 점진적 퇴직모형은 법정연금수급연령의 인상 일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법정연금수급연령이 60세로 유지되는 2022년까지의 단기적 대책으로서 여기서 점진적 퇴직의 자격연령은 모든 가입자에게 60세로 적용하도록 한다. 이 경우 가입자들의 신분구분에 따라 각각 교수 5년, 교원 2년(문제해결에 대한 정책적 의지에 따라 이행구간을 확장할 수도 있음) 그리고 교직원 0년의 조기의 점진적 퇴직이 허용되므로, 현재 교원이나 교수의 임용대란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는 2023년 이후 2033년 사이 법정연금수급연령의 인상단계에 해당되는 기간 동안의 대책으로서 여기서는 교수, 교원, 교직원에게 적용되는 정년연령과 매년도 법정연금수급연령 사이의 기간을 조기의 점진적 퇴직 이행구간으로 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행구간에 상당하는 기간만큼 후기의 점진적 퇴직 이행구간을 별도로 설정하여 그에 적절한 혜택이 주어질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2033년 이후부터는 교수, 교사, 교직원의 신분구분 없이 모두에게 적용되는 사항으로서 65세를 기준으로 그 이전의 5년은 사학연금의 적용을 받는 조기의 점진적 퇴직 그리고 그 이후의 5년은 국민연금의 적용을 받는 후기의 점진적 퇴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체 10년의 점진적 퇴직 이행구간 동안 개인별로 퇴직시점이나 퇴직형태의 선택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험수리의 원칙에 입각한 감액률 또는 가산율의 엄격한 적용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고령계층이 자신의 근로시간을 단계적으로 단축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소득의 감소부분은 별도의 제도적 방법(가교연금, 시간가치적립계정 등)으로 충당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점진적 퇴직제도의 운영방식은 근로시간의 단축뿐만 아니라 작업부담의 경감 등에 대해서도 인정을 해주도록 해줌으로써 임금피크제도의 기능과 연계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할 것을 제안하였다.

Analytical Study between CEO's Performance Expectancy and His Network Activity Characteristics focused on North-West Area Companies of the Chungnam Province (충남 서북부지역 기업인의 네트워크 활동 특성과 성과기대 분석)

  • Choi, Ae-Hee;Lee, Jae-Won;Yun, Kwang-Si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12
    • /
    • pp.372-384
    • /
    • 2012
  • CEO's business network is important to the establishment and growth of companies and it is recognized as an essential element in regional development, but the related research and studies including surveys on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the CEO's network and its activities are lacking. This study aimed at companies located in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Chungnam to survey about CEO's network activities, and research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expectancy of the network was carried out. As research methods, we discussed the previous studies, designed and analyzed the research models empirically using the survey. Analysis based 3 stages approach showed that the performance expectancy on human resource such as recruit was not affected by any factors overall. CEO's satisfaction affect significantly to the both of performance expectations of finance and general management by types of the network and its differentiated program. Executive activities, # of joining network, and period of activity affected also conditionally. This study have contributions that enable businessmen can take advantage of strategic use on the region's business network activity.

Toothbrushing Behavior and Oral Health State of Immigrant Workers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칫솔질행태와 구강건강상태)

  • Nam, In-Suk;Yoon, Sung-Uk;Kim, Jung Sook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5 no.1
    • /
    • pp.1-11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the tooth brushing behavior and oral health status of foreigner immigrant workers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Statistical significance based on different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period of stay, health insurance, medical expense coverage, and whether or not one has friends or regular gatherings were significant traits for frequency, while age, marital status, income, and health insurance were traits for part (p<0.05).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was found in marital status and health insurance for time used to brush teeth, period of stay and whether or not one attends a regular gathering for tooth brushing training, and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period of stay, roommate status, medical expense coverage, and whether or not one attends a regular gathering for supplemental oral product usage. The averages of decayed, missing, and filled teeth (DMFT) index and community periodontal index of treatment needs (CPITN) for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6.98 and 3.03 respectively, and gender, roommate status, income, health insurance for DMFT index, and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roommate status, income, health insurance for CPIT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ooth brushing frequency and par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for DMFT index based on tooth brushing behavior, while tooth brushing part and time used to brush teeth were significant for CPITN. DMFT index was high at 8.34 for '3 times or more' in tooth brushing frequency, while DMFT index was high at 7.91 and CPITN was low at 2.94 for tooth brushing part. '3 minutes or longer' in time used to brush teeth was the lowest in CPITN at 2.88.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ooth brushing behavior and DMFT index, CPITN, tooth brushing frequency and part in DMFT index, and tooth brushing part and time used to brush teeth in CPITN showed significance (p<0.05).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must promote the significance of brushing teeth and implement continuous training for correct tooth brushing management to enhance the oral health of foreign immigrant workers.

Amounts of Responding Times and Unreliable Responses at Online Surveys (온라인 조사의 응답오차에 대한 연구 : 설문 응답 시간과 응답 성실성의 관계)

  • Lee, Yun-Suk;Lee, Ji-Young;Lee, Kyoung-Taeg
    • Survey Research
    • /
    • v.9 no.2
    • /
    • pp.51-83
    • /
    • 2008
  • While online surveys are considered to be the viable alternative to face-to-face and telephone surveys, many clients express a strong concern about the possibility of unreliable responses. Given this concern, survey experts hypothesize that amounts of time on responding can represent the extent to which respondents fill out the questions with sincerity. This study examines this hypothesis using data from an online survey sample of 1.052.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while "long time" informants are reliable, "short time" informants are not. Those in the short time group spend only 2.4 seconds per question and show very different patterns of responses to 49 Likert -typed questions. Logistic regression results imply that these unreliable respondents are interested in monetary gifts and maybe as a result, participate in surveys much more frequently. In conclusion, we provide som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to the quality of online survey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