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균주기

Search Result 1,226,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Diversion of locomotor activity rhythm and neural control by Azadirachtin in Leucophaea maderae (Azadirachtin에 의한 Leucophaea mederae의 활동주기 변화와 뇌신경에 의한 조절관계 조사)

  • 한상진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2 no.4
    • /
    • pp.441-449
    • /
    • 1989
  • Azadirachtin은 Leucophaeq muderae (Fabricius연 하루 활동주기길이를 0.16 $\pm$ 0.03 h 단축시켰으며, 실험동물의 40 %에서 리듬의 Splitting현상이 관찰되었다. 하루에 두개의 활동주기를 보이는 Splitting현상은 서로 180$^{\circ}$를 유지하여 나타났고, 이는 동물의 실험 전의 본래 주기길이가 평균보다 더 긴 주기를 지닌 동물에게 주로 나타났다. 또한 활동주기의 Splitting현상을 보이는 동물의 안구와 뇌신경(optic lobe) 절단수술 후 Splitting이 사라짐으로써 Azadirachtin이 뇌신경에 자극을 주어 Splitting을 야기시켰으며, 한쌍의 optic lobe 중 어느 한쪽만으로도 동물의 활동주기 조절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본 실험을 통하여 밝혀졌다. Azadirachtin shortens the period length of the locomotor activity rhythm in the circadian rhythm of Leucophoeo maderae and induces splitting of this rhythm in ho components in about 40% of the animals. The phase relationship between the ho components is 180$^{\circ}$Both shortening of period and splitting are more pronounced in animals processing longer periods before the injection of azadirachtin. Splitting disappears after the surgical transection of optic lobe.

  • PDF

An Approach to Optimize Initial Offsets of Periodic Tasks in Real-Time Systems (실시간 시스템의 주기적 태스크의 최적 오프셋 탐색)

  • Kwon, Ji-Hye;Lee, Chang-G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a
    • /
    • pp.170-172
    • /
    • 2012
  • 실시간 시스템(real-time system)은 논리적 연산을 일정한 시간적 제약 하에서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시간적 제약을 충족하도록 주기적 태스크(periodic task)를 스케줄(schedule)할 때 일반적으로 태스크 오프셋(initial offset)이 0 이거나 고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오프셋에 약간의 유연성을 허용함으로써 태스크들의 평균 응답 시간을 줄일 수도 있다. 이 논문에서는 주기적 태스크의 오프셋을 주어진 허용 범위 안에서 선택하여 평균 응답 시간(response time)을 최적화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임의의 태스크 집합에 대하여 최적 오프셋이 존재하는 좁은 범위를 제시한다.

Reproduction of Extreme Waves Caused by Typhoon MAEMI with Wave Hindcasting Method, WAM (II) - Characteristics of extreme waves generated by Typhoon MAEMI in the south coast of Korea - (제3세대 파랑추산모형을 이용한 태풍 '매미'의 극한파랑 재현 (II) - 태풍 '매미'가 야기한 우리나라 남해안 일대의 극한파랑 특성 -)

  • Shin Seung-Ho;Hong Key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4.11a
    • /
    • pp.219-225
    • /
    • 2004
  • Following a preceding study if Shin et al.(2004), wave fields for a month if September if 2003 are simulated based on the modified WAM cycle 4 model that enables the precise wave hindcasting with fine spatial meshes, and characteristics of extreme waves at the south roast if Koreo are analyzed The accuracy if applied wave model is verified by comparing computed wave parameters and corresponding ones measured at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The wave hindasting if typhoon 'Maemi' with an hour time interval reveals the extreme wave characteristics at 4 primary locations if south coast of Korea as follows: 1) At the front sea of Chaguido in the south of Jeju-do, the maximum significant wave height, moon wave period and mean wave direction appear to be 7.41m, 13.65s and $6.4^{\circ}$, respectively at 16:00 KST if Sep. 12, 2003. 2) At the entrance of Masan Bay, 12.50m, 13.65s and $1.2^{\circ}$ at 21:00 KST if Sep. 12. 3) At the front sea of Suyoung Bay, 13.85m, 13.81s and $0.2^{\circ}$ at 22;00 KST if Sep. 12. 4) At the front sea of Ulsan port, 11.00m, 13.25s and $28^{\circ}$ at 23:00 KST if Sep.

  • PDF

Reproduction of Extreme Waves Caused by Typhoon MAEMI with Wave Hindcasting Method, WAM (II) - Characteristics of extreme waves generated by Typhoon MAEMI in the south coast of Korea - (제3세대 파랑추산모형을 이용한 태풍 ‘매미’의 극한파랑 재현 (II) - 태풍 ‘매미’가 야기한 우리나라 남해안 일대의 극한파랑 특성 -)

  • Shin, Seung-Ho;Hong, Key-Yo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8 no.8
    • /
    • pp.745-751
    • /
    • 2004
  • Following a preceding study of Shin et al.(2004), wave fields for a month of September of 2003 are simulated based on the modified WAM cycle 4 model that enables the precise wave hindcasting with fine spatial meshes, and characteristics of extreme waves at the south coast of Korea are analyzed The accuracy of applied wave model is verified by comparing computed wave parameters and corresponding ones measured at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The wave hindcasting of typhoon 'Maemi' with an hour time interval reveals the extreme wave characteristics at 4 primary locations of south coast of Korea as follows: 1) At the front sea of Chaguido in the south of Jeju-do, the maximum significant wave height, mean wave period and mean wave direction appear to be 7.41m, 13.65s and $6.4^{\circ}$ respectively at 16:00 KST of Sep. 12, 2003. 2) At the entrance of Masan Bay, 12.50m, 13.65s and $1.2^{\circ}$ at 21:00 KST of Sep. 12. 3) At the front sea of Suyoung Bay, 13.85m, 13.81s and $0.2^{\circ}$ at 22;00 KST of Sep. 12. 4) At the front sea of Ulsan port, l1.00m, 13.25s and $2.8^{\circ}$ at 23:00 KST of Sep. 12.

Artificial Traffic Signal Light using Fuzzy Rules

  • Kim Chjong-Soo;Hong You-Sik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5 no.9
    • /
    • pp.1005-1016
    • /
    • 2004
  • The conventional traffic light loses the function of optimal traffic signal cycle. And so, 30-45% of conventional traffic signal cycle is not matched to the present traffic signal cycle. In this paper proposes electro sensitive traffic light using fuzzy rules which will reduce the average vehicle waiting time and improve average vehicle speed. This paper is researching the storing method of 40 different kinds of sensor input conditions. Such as, car speed, delay· in starting time and the volume of cars in the real traffic situation. It will estimate the optimal green time in the 10 different intersections using Intelligent fuzzy method. Computer simulation results prove that reducing the average vehicle waiting time and offset better than fixed signal method which doesn't consider vehicle length.

  • PDF

통합 영역의 분류에 따른 EAI 구축 방안

  • 이강일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
    • v.22 no.7
    • /
    • pp.41-45
    • /
    • 2004
  • 기업의 IT 환경 순환주기를 보면 업태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겠으나 평균 2∼3년, 길게는 5년 정도마다 신규 부문에 대한 대단위의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런 투자 주기는 2000년 밀레니엄 시대를 맞이하여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결과적으로 기업의 IT 자산은 그 동안 질적인 부분보다는 양적인 팽창이 기업 경쟁력 강화, 업무 생산성 향상이라는 명분을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행해져 왔다.

Extraction of the motion parameters form blurred images (흔들림이 있는 영상의 움직임 방향과 정도의 추정)

  • 최지웅;강문기;박규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1a
    • /
    • pp.129-133
    • /
    • 1997
  • 카메라로부터 얻은 영상은 이를 얻는 과정에서 카메라의 떨림 및 추가되는 노이즈에 의하여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이런 과정으로 손상된 영상에는 움직임 번짐현상(motion blur)이 발생하며 이는 영상의 명확도를 현저하게 떨어지게 한다. 움직임 번짐현상은 주파수 영역에서 움직임의 방향으로 주기적인 영점을 발생시키며 그 주기는 움직임의 길이에 반비례한다. 이러한 영점은 원 영상에 의한 영점과 노이즈에 의하여 소실되므로 이들의 영향을 power 영역에서의 평균법으로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영상과 노이즈의 영향인 최소화된 상태에서 2차원 cepstrum을 통하여 번짐현상을 주기와 방향을 계산해내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38개의 식쌍성의 공전주기 연구

  • Kim, Cheon-Hwi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45.1-145.1
    • /
    • 2012
  • 복잡한 공전주기 변화를 보이면서 극심시각 관측 역사가 40년 이상 되는 38개 식쌍성의 공전주기를 연구하였다. 그 별들의 (O-C) 도를 영년주기 감소(또는 증가)와 광시간 효과를 가정하여 분석한 결과, 잘 정의된 영년 변화와 최소 두 개 이상의 광시간 효과가 겹쳐 있음을 발견하였다. 영년주기 감소율은 $-2.0{\times}10^{-12}d/P$에서 $-9.0{\times}10^{-10}d/P$ 사이에 있고, 증가율은 $6.6{\times}10^{-13}d/P$에서 $1.3{\times}10^{-8}d/P$ 사이에 있다. 광시간 궤도 주기는 약 6년에서 150년 사이에 있다. 두 개의 광시간 궤도의 평균 운동 사이에는 모두 commensurability가 모두 존재한다. 이 결과를 쌍성의 진화 및 궤도공명이란 관점에서 논의한다.

  • PDF

Model and Experiments of the Diffractio Patterns by Nonregular Periods (회절무늬의 세기와 간격을 이용한 회절격자의 주기 예측에 대한 모형 및 실험)

  • 문현주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4 no.1
    • /
    • pp.36-46
    • /
    • 1993
  • The formula of the diffraction patterns which were made by the grating with the variable periods were derived. The diffraction patterns which had the various data value of the variable periods were simulated by the IBM PC.,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s were discussed.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periods of the real grating and their degree of variation by using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 PDF

Periodicities of Rainfall Variation and Forcing Factors Cause Severe Droughts (가뭄을 유발하는 강수량 변동의 주기성과 유발요소)

  • Hwang, Seok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95-95
    • /
    • 2016
  • 한반도 중부지방은 2014년과 2015년에 연이은 강수량 부족으로 많은 지역에서 가뭄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한반도는 여름철에 강수가 집중되는 몬순기후대에 속하기 때문에 여름철 강수량은 생활용수나 농업용수 확보 등 이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한반도(남한)의 중부지역 가뭄을 유발하는 강수량의 부족 현상은 대략 5-10년(평균 7-8년) 주기로 반복된다. 그리고 이러한 10여년 주기 변동성과 더불어 예외적인 경우가 발생하고 매번 그 심도도 변화한다. 이러한 주기성을 우연이라 보기는 어려울 것이나 예외적인 경우나 심도를 가늠할 수 없다는 점(인과관계가 불분명하다는 점)에서 확정론적 현상이라 단정하기도 어려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주기적 가뭄을 야기하는 강수량 변동의 원인을 지구물리학적 측면에서 추론해 보고자 한다. 가뭄은 인위적인 조건에 의해서도 발생하고 인과관계에 따른 정의도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자연 상태에서 강수량의 부족에 의한 가뭄 조건만을 고려하였다. 강수과정은 지구의 물순환 운동에 의해 야기되고 지구의 물순환 운동은 지구의 역학적 운동 및 상호작용 관계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구물리 과정의 일부로 강수과정을 유발하는 지표인자로 SST와 같은 기후 인자에 대해 변동 주기의 상관성을 범지구적인 시공간 규모에서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