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균기온

Search Result 1,15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생물계절변화를 이용한 온난화의 영향에 관한 연구

  • Im, Jeong-Seop;Kim, Hae-Dong;Kim, Sang-U;Park, Myeong-Hui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80-8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식물의 개화시기가 기온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에 근거하여 54개의 기상관측지점을 선택하고 1988년부터 2008년까지 21년간 벚꽃 개화일의 시계열적 변화를 분석하였고 이들과 3월 평균기온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엘니뇨와 라니냐 시기에 기온과 벚꽃개화일의 변화 경향과 도시화에 의한 기온변화가 벚꽃 개화일에 미치는 영향을 대도시와 교외도시와의 비교를 통해 알아보았다. 또한 경험직교함수(EOF) 분석을 통하여 벚꽃개화일의 시 공간 분포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3월 평균기온 분석을 통해 1988-2008년 사이에 한반도의 기온은 평균적으로 $0.13^{\circ}C$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평균적으로 남해안이 동해안과 서해안보다 평균기온이 높게 나타났으며, 서해안이 가장 낮은 평균기온을 보였다. 그리고 내륙지역의 경우 위도에 따라 평균기온이 달랐으며, 위도가 낮아질수록 평균기온이 크게 나타났다. 하지만 모든 지점에서 유의하지는 않았다. 두 번째, 벚꽃개화일의 변화를 보면, 개화일은 시간이 지날수록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벚꽃개화일의 분포를 보면 위도가 낮은 지역이 개화일이 빨랐으며, 해안지역 중에서는 남해안, 동해안, 서해안 순이었다. 세 번째, 2월, 3월, 4월의 평균기온과 벚꽃 개화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3월 평균기온이 벚꽃개화일과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다. 네 번째, 엘니뇨가 발생한 해에는 한반도의 기온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동시에 벚꽃개화일도 빨라졌다. 다섯 번째, 대도시가 교외도시에 비해서 기온상승이 높았으며, 벚꽃개화일도 빠르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험직교함수(EOF) 분석 결과 3월 평균기온과 벚꽃 개화일의 1mode 시계열 패턴이 비슷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1996년을 기준으로 이전에는 개화일이 느려지고, 이후에는 빨라지는 패턴을 보였다.

  • PDF

Analysis of Air Temperature Factors Related to Difference of Frui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ultivating Areas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감 재배지 간 과실 품질 차이에 관계한 기온요인 분석)

  • Kim, Ho-Cheol;Jeon, Kyung-Soo;Kim, Tae-Choon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7 no.2
    • /
    • pp.124-131
    • /
    • 2008
  • To investigate main air temperature factors correlated to difference of frui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ultivating areas, fruit and air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eight cultivating areas of 'Fuyu' persimmon were analyzed by principle compon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s extracted from 16 air temperature factors was annual mean temperature, mean temperature during October, annual mean minimum extreme temperature, mean temperature during growing period, and so forth.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s was mean temperature during May and June and so forth. And cumulative contribution was 91.4%. The five of eight cultivating area had clearly the difference of main factors or the correlated direction among cultivating areas.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extracted main factors and fruit characteristics, fruit hight were highly correlated with mean temperature during growing period ($X_8$) and cumulative temperature ($X_6$), and the regression equation was $Y=150.55-5.375X_8+ 0.014X_6(r^2=0.843)$. Also this regression equation was affected by mean minimum temperature during growing period, cumulative temperature, and mean temperature during August. Fruit diameter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ean temperature during growing period, flesh browning rate and Hunter a value of peel colo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an minimum temperature during growing period and annual minimum air temperature, respectively.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Air Temperature and Thermal Amplitude of Alpine Plants on Mt. Halla, Cheju Island, Korea (한라산의 수직적 기온 분포와 고산식물의 온도적 범위)

  • 공우석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4
    • /
    • pp.385-393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한라산의 고도별, 사면별, 계절별 기온(일평균, 일최고, 일최저) 분포와 고산식물의 수직적 분포역을 기초로 고산식물별 온도적 범위를 분석한 후 제주도의 온난화에 따른 한라산 고산식물의 미래를 논의하였다. 아울러 고산지에서의 고도별 기온 분포와 수직적 기온 체감이 환산되어 산악지역에서의 기온 분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확보되었다. 한라산에서의 100m당 기온체감율은 일평균기온이 -0.58$^{\circ}C$, 일최고기온이 -0.53$^{\circ}C$ 범위내에서 분포가 주로 결정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최고기온 체감율이 고산식물의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온난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의 모니터링과 경관 보전 측면에서 유용한 생태적 정보를 축적하여, 한라산에 분포하는 희귀하거나, 멸종위기 상태에 있는 고산식물들의 보전과 관련된 지식이 수립될 수 있다.

  • PDF

Forecasting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using statistically based long-term temperature prediction information (통계적 기반의 장기 기온예측정보를 이용한 기준증발산량 전망)

  • Kim, Chul-Gyum;Lee, Jeongwoo;Lee, Jeong Eun;Kim, Hyeo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90-39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방법에 의해 예측된 미래기간의 기온정보와 기온기반의 기준증발산량 산정방법을 연계하여 한강권역을 대상으로 최대 12개월의 미래기간에 대한 기준증발산량을 전망하였다. 기온정보는 Kim et al. (2020)의 연구와 같이 글로벌 기후지수와의 원격상관성을 기반으로 개발된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미래기간(예측시점 기준 1~12개월)에 대해 월 평균기온을 예측하고 이를 상세화하여 한강권역 내 주요 ASOS 지점별로 최고/최저기온을 도출하였다. 기준증발산량은 Hamon 방법(Hamon, 1960, 1963)을 기반으로 각 지점별로 상세화된 최고/최저기온을 이용하여 동일한 미래기간(1~12개월)에 대해 산정하였다. 한강권역 전체에 대해 2015년 1월~2020년 12월의 월별 평균기온과 각 지점별 산정한 기준증발산량을 활용하여 기온 및 기준증발산량에 대한 예측성을 분석하였다. 한강권역 전체에 대해 예측된 월별 평균기온의 경우 실제 관측값과 비교하였을 때, PBIAS 4.2~6.4%, R2 0.97~0.98, NSE 0.97~0.98 등으로 매우 높은 예측성을 보였다. 지점별로 상세화된 기온정보를 이용하여 산정한 기준증발산량을 실제 기온으로부터 산정한 기준증발산량과 비교한 결과는 PBIAS 5.0~6.8%, R2 0.97~0.98, NSE 0.96~0.97로 기온에 대한 예측성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기온과 기준증발산량 모두 일부 월이나 일부 지점에서 관측값과 비교했을 때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었으나, 대상유역 전반적으로는 매우 안정적인 예측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기준증발산량에 대한 예측결과(미래 1~12개월)는 계절 및 월 단위의 유역 수자원 전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nfluences of Temperature Change Rates and Impervious Surfaces on the Intra-City Climatic Patterns of Busan Metropolitan Area (부산광역시 국지적 기후 패턴에 대한 기온변화율과 불투수면의 영향)

  • PARK, Sun-Yurp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9 no.4
    • /
    • pp.199-217
    • /
    • 2016
  • Influences of seasonal warming and cooling rates on the annual temperature patterns were analyzed based on the meteorological data from 13 weather stations in Busan Metropolitan Area(BMA), Korea during 1997~2014. BMA daily temperature time-series was generalized by Fourier analysis, which mathematically summarizes complex, regularly sampled periodic records, such as air temperature, into a limited number of major wave components. Local monthly warming and cooling rates of BMA were strongly governed by the ocean effect within the city. March($1.121^{\circ}C/month$) and November(-$1.564^{\circ}C/month$) were the two months, when the most rapid warming and cooling rates were observed, respectively during the study period. Geographically, spring warming rates of inland increased more rapidly compared to coastal areas due to weaker ocean effect. As a result, the annual maximum temperature was reached earlier in a location, where the annual temperature range was larger, and therefore its July mean temperature and continentality were higher. Interannual analyses based on average temperature data of all weather stations also showed that the annual maximum temperature tended to occur earlier as the city's July mean temperature increased. Percent area of impervious surfaces, an indicator of urbanization, was another contributor to temperature change rates of the city. Annual mean temperatu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cent area of impervious surfaces, and the variations of monthly warming and cooling rates also increased with percent area of impervious surfaces.

Selection of Main Air Temperature Factors on Annual Variation of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감나무 생육 및 과실 특성의 연차 변이에 대한 주요 기온 요인 추출)

  • Jeon, Kyung-Soo;Kim, Ho-Cheol;Han, Jeom-Hwa;Kim, Tae-Choon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9 no.3
    • /
    • pp.165-170
    • /
    • 2010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elect the affected main factors on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Fuyu'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in 25 factors of air temperature factors in Naju. Mean air temperature, cumulative temperature and days for March and April of 25 factors were the highest annual variation.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principal components extracted from 25 air temperature factors were 14 and 3 factors related with mean temperature for annul and April, and cumulative contribution of these was 52.2%. Also the affected years by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s were 1990, 1980 and 1986. Annual standard deviation on leafing, flowering and maturing date were 4.0~6.7 days range, and flowering date and days from leafing to flowering had the highest coefficient of variation. Annual variation of days from flowering to maturing date was affected by greatly mean air temperature and days of cumulative temperature in October, days from March 1 to leafing date was affected by cumulative temperature for growing period, days from leafing to flowering date was affected by mean air temperature in April. Annual variation of fruit weight was affected by mean air temperature for March and October.

Evaluation of Vegetative Growth in a Mature Stand of Korean Pine under Simulated Climatic condition (복원된 국지기후에 근거한 잣나무 성숙임분의 영양생장에 미치는 국지기후의 영향)

  • 김일현;신만용;김영채;전상근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3 no.2
    • /
    • pp.105-113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eal the effects of local climatic conditions on the vegetative growth in a mature stand of Korean white pine based on climatic estimates. For this, the annual increments of stand variables such as DBH, height, basal area and volume were measured and estimated for seven years from 1974 to 1980. The local climatic conditions in the study site were also estimated by both a topoclimatological method and a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 The local climatic conditions were then correlated with and regressed on the growth factors to reveal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limatic estimates and the growth. It is found that relatively high temperatur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diameter growth. The yearly diameter growth increased when each of mean,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during the growing season was high. Height growth showed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ree climatic variable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fluencing height growth was the average of maximum temperature for 10 months from January to October. It means that the higher the average of maximum temperature for 10 months from January to October is, the more height growth of Korean white pine increases. Other climatic variables related to height growth were average of minimum temperature for 3 months in the early growing season and mean relative humidity for the growing season. Six climatic variables related to temperature had effects on basal area increment and all of them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asal area increment. Especially, temperatures from January to March we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basal area increment. In volume increment, high correlation was also recognized with most of temperature variables. This tendency was the same as the results in diameter and hight increments. This means that the volume growth increases when temperatures during the growing season are relatively high.

  • PDF

Analyzing the effect of global warming on the thermal stratification in Chungju reservoir (지구온난화가 충주호 수온 성층구조에 미치는 영향 분석)

  • Yoon, Sung-Wan;Chung, S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33-133
    • /
    • 2012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 IPCC의 4차 보고서에 의하면 지난 100년간 지구 평균 기온의 선형추세선 기울기가 $0.74^{\circ}C$/년을 보이고 있으며 21세기말 지구의 평균기온은 최대 $6.3^{\circ}C$까지 더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대기기온의 상승은 저수지 및 하천의 수온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는데, 저수지 표층 수온 및 유입 하천의 수온을 증가시켜 저수지 수온 성층형성시기를 앞당겨 성층화 기간을 증가시키고 또한 성층강도도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수온성층기간 및 강도의 증가는 심수층의 용존산소 고갈과 이에 따른 퇴적층의 영양염류 용출량을 증가시켜 저수지 수질관리에 어려움을 야기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온대기후대에 속하는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대형 인공 저수지는 여름철 뚜렷한 수온성층구조가 확인되고 있어 대기기온 상승이 수온성층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미래 기후변화에 대비한 저수지 수질관리 전략 수립을 위해 필요한 기초 연구라 판단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횡방향 평균 수치모형(CE-QUAL-W2)을 활용하여 대기 온도 변화에 따른 충주호의 수온분포를 모의하고 수온 성층구조의 변동경향을 분석하였다. 지구 온난화 영향 모의에 앞서 2010년과 2008년의 충주호 수문조건에 모형을 적용하여 수온 성층구조의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미래 대기기온 자료는 국립기상연구소에서 제공하는 한반도 기후전망 모의자료(RCM) 중 충주댐 유역의 평균 기온자료를 수집하여 사용하였으며, 모의연도는 2011, 2040, 2070, 2100으로 하였다. 또한, 대기기온과 유입수온 자료를 제외한 모든 입력자료는 보정년도인 2010년과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대기기온 변화의 영향만을 고려하였다. 2011년에 비해 2100년의 대기기온이 연평균 $2.44^{\circ}C$ 증가하였을 때 표층수온은 평균 $1.72^{\circ}C$, 최대 $4.31^{\circ}C$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층수온은 평균 $0.36^{\circ}C$, 최대 $1.33^{\circ}C$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층구조 형성기간의 비교를 위해 표층과 심층의 수온이 $5^{\circ}C$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기간을 조사한 결과 2011년에 비해 2100년에서 5일 일찍 시작되어 11일 더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Temporal Variations of Summer Temperature in Central Area of Korea during the 20th Century (20세기 한반도 중부지방의 여름철 기온 변화)

  • 최광용;최종남;김종욱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4
    • /
    • pp.519-52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세기 동안 한반도 중부 지방의 여름철 7월과 8월의 일최고기온과 일최저기온의 지역적 패턴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연구기간 동안 여름철 일최고기온의 평균 및 일정 임계치 이상의 고온 특이일의 빈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 여름철 일최저기온의 평균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결과적으로 이 지역의 여름철 일교차의 평균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최고기온의 감소 추세는 1950년대 이래로 진행되어온 조림사업으로 인한 삼림 임목 축적량의 증가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밖에도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도시화 지구온난화가 지속된다는 가정 하에 기온극값 발생빈도와 장기적인 패턴변화를 예측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Distribu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Plants and Climatic Factors (한반도 상록활엽수의 지리적 분포와 기후요소)

  • 구경아;공우석;김종규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6 no.3
    • /
    • pp.247-257
    • /
    • 2001
  •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istribution of 132 species, 61 genera evergreen broad-leaved trees and shrubs(EBTS) and climatic factors have discussed. The distributional patterns of EBTS were categorized into seven groups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distributing sites, distributional attitudes and latitudes. Out of seven group. the cold-tolerant EBTS were common at groups I and II, along tilth Empetrum nigrum var. japonicum. Diapensia lapponics subsp. obovata of group III. However, the warmth-tolerant EBTS were rich at groups III. IV V, and VI The lower distributional limits of cold-tolerant EBTS in the groups I and UU decreased as one moves toward south. The upper distributional limit of warmth-tolerant EBTS in the groups III, IV and V decreased with increasing latitude. However. no clear distributional tendency is noticed in the groups VI and VII. The range of warmth-tolerant EBTS appear to show close relationship with the January mean temperature -4 $\^{C}$ and January mean minimum temperature -9$\^{C}$ than others. On the other hand, that of the cold-tolerant EBTS seem to respond well to the August mean temperature 19$\^{C}$ and August mean maximum temperature 26$\^{C}$ than oth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