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균기대폭

Search Result 8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Impacts of Automated Vehicles on Traffic Flow Changes (자율주행자동차 도입으로 인한 교통흐름 변화 분석)

  • Jung, Seung weon;Moon, Young jun;Lee, Sung Yeol;Hwang, Kee Y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6 no.6
    • /
    • pp.244-257
    • /
    • 2017
  • Traffic congestion occurs from drivers' human factors such as driver reaction time, reckless lane change, and inexperienced driving. When Automated Vehicles are introduced, human factors are excluded, resulting in increased average vehicle speed, stabilizing traffic flow, and increasing road capacity. This study analyzed traffic flow changes through traffic volume-speed-density plots, and increased road capacity due to Automated Vehic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hen rate of automated vehicles gests higher, the traffic flow became stable. Additionally, it was analyzed that when all vehicles were automated, the road capacity increased by about 120 %.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positive expectation in terms of traffic congestion and traffic demand management due to the introduction of Automated Vehicles.

고속파 전자가열을 시도한 KSTAR 토카막 원형 플라즈마에서의 ICRF 고주파 부하 저항

  • Wang, Seon-Jeong;Kim, Seon-Ho;Gwak, J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297-297
    • /
    • 2010
  • KSTAR 토카막의 두번째 실험 캠페인 동안 고속파 전자가열 (FWEH)을 위한 ICRF 고주파입사 실험을 실시하였다. 토로이달 자기장은 2 T, 플라즈마 전류는 200-300 kA, 주반경은 1.8 m, 부반경은 0.5 m의 원형 플라즈마가 가열 대상이 되었으며, 네개의 ICRF 안테나 전류띠 가운데 중심부의 두개의 전류띠를 최대 300 kW로 구동하기 위한 운전 주파수는 44.2 MHz가 선택 되었다. 이 주파수는 플라즈마의 모든 영역에서 이온 사이클로트론 공명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플라즈마에 흡수되는 대부분의 출력은 전자에게 전달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낮은 고주파-플라즈마 결합으로 인하여 전송선의 최대 고주파 전압이 허용치를 초과하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최대 출력만이 허용 되었으나, ECE에 의해 관측된 전자의 온도는 국지적으로 최대 150 % 까지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낮은 고주파-플라즈마 결합의 첫번째 원인은 FWEH의 효율이 이온을 가열할 때 보다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플라즈마 내에 이온 사이클로트론 공명층이 형성되면 높은 효율로 고주파를 입사 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또다른 원인은 D 형상의 플라즈마에 맞도록 만들어진 안테나와, 원형 플라즈마간의 부조화로 인하여 고속파 차단층이 (Fast Wave Cutt-off Layer) 평균적으로 넓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플라즈마 외곽에 반드시 존재하는 낮은 플라즈마 밀도의 고속파 차단층 내부에서, 중심부로 향하는 고주파의 진폭은 지수함수로 감쇠하므로 가능하면 플라즈마 밀도를 높여 차단층 자체의 폭을 줄이거나, 안테나 전류띠를 플라즈마에 바짝 접근시켜야만 한다. 고주파 진단 장치로는 송출기의 출력과 반사파 측정 장치, 공명루프의 전압 측정 장치가 있는데, 이것들을 이용하여 안테나에 전달되는 출력 및 고주파-플라즈마 결합 효율을 나타내는 플라즈마에 대한 고주파 부하 저항을 구할 수 있다. 측정 결과, 부하 저항의 최소값은 진공시 또는 ICRF만의 방전시의 값 0.25 Ohm 보다 큰 0.5 Ohm을 나타냈으며, 최대값은 플라즈마의 상태에 따라 1 Ohm에서 2 Ohm 사이에서 매우 빠르게 요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Mm 파 반사계의 측정에 의하면 플라즈마 언저리의 위치가 약 3 cm 정도의 크기로 요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부하 저항과 언저리 위치의 파형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지만 유사한 경향성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플라즈마 언저리 위치의 제어를 통하여 가열 효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표에서는 실험의 소개와 함께 부하 저항의 관점에서 가열 효율을 높일 방안을 토론하도록 한다.

  • PDF

Reduction of NPS pollution in the No-till field (무경운을 적용한 밭에서의 비점오염원 저감효과)

  • Lee, Su In;Won, Chul Hee;Shin, Min Hwan;Jeon, Je hong;Choi, Joong 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26-426
    • /
    • 2015
  • 무경운 농법은 경작지의 토양을 교란시키지 않고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으로, 토양의 물리성 개선과 토양 침식 예방, 생산비 절감 등의 효과가 있어 전 세계적인 인정을 받고 있는 농업기술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무경운의 재배 지속 기간 등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국내 환경조건에 맞는 실험적인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적관리기법의 하나인 무경운(No-till)을 적용한 밭의 오염물질 저감효과를 장기적으로 살펴보고자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간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무경운 농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동계피복작물(밀, 보리)을 재배작물 정식하기 전해 겨울에 파종하여 이듬해 6월 말 수확하였다. 이후 7월에서 8월 사이 재배작물(들깨, 무)을 정식하였다. 시비는 2011년에는 축산퇴비, 2012년에는 축산액비 그리고 2013년과 2014년에는 화학비료를 시비하였으며, 매년 경운과 무경운의 시비량은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유출 시험포의 면적은 $150m^2$(폭 5 m, 경사장 30 m)이며, 8개(경사도 3% 4개, 경사도 8% 4개)의 시험포를 조성하여 각각 2개씩 경운(관행)과 무경운을 적용하였다. 모니터링은 재배작물(들깨, 무) 정식 이후부터 작물 수확 전까지 강우사상에 대하여 이루어졌으며, 연구기간동안 총 13회의 강우 사상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경운대비 무경운 시험포의 평균 오염부하 삭감율을 분석한 결과 경사도 3% 시험포의 경우 BOD는 35.1%, $COD_{Cr}$은 37.4% 그리고 영양염류인 TN과 TP는 각각 36.9%와 33.5%가 삭감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경사도 8% 시험포의 경우 BOD가 36.4%, $COD_{Cr}$은 45.8%, TN과 TP는 각각 45.5%와 40.6%가 삭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는 경운(관행) 농법이 영농관리 차원에서 대부분 이용되고 있으나,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할 때 무경운 농법으로 영농할 경우 강우유출수 및 하천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부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Comparative Evaluation of Application of Software Reliability Model Dependent on Various Hazard Functions (다양한 위험함수에 의존한 소프트웨어 신뢰모형의 적용에 대한 비교 평가에 관한 연구)

  • Yang, Tae-Jin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1 no.6
    • /
    • pp.800-806
    • /
    • 2018
  • Software efficiency is the probability of failure free use in operating environments, and is the most fundamental factor affecting software system stability. The malfunction of the computer system used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field may cause a significant loss in the related industry.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attributes of software reliability models that depend on various hazard functions based on finite fault NHPP model with software failure time data. The hazard function pattern of proposed model is constant for the Goel-Okumoto model, and the Minimax and Rayleigh models follow the incremental pattern, but the hazard function increase value of the Minimax model is smaller than that of the Rayleigh model and the Goel-Okumoto model. Also, the Minimax model was relatively efficient because the true value error of the mean value function m(t) and the mean square error (MSE) of the Minimax model were smaller than those of the Rayleigh and Goel-Okumoto mod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software developers as basic information about the hazard function.

Study of Velocity Measurement in River using moving UAV Images (드론 이동영상을 이용한 하천 표면유속 측정 연구)

  • Lee, Jun Hyeong;Yoon, Byung Man;Kim, Seo Jun;Lee, Yun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6-16
    • /
    • 2022
  • 영상유속계는 영상을 이용한 비접촉식 유속계로 하천과 같은 넓은 범위의 유속 및 유량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현재 국내외에서 영상유속계의 실용화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유속 및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카메라 외에 별도의 측정 장비가 필요없기 때문에 드론에 장착하여 표면유속을 측정하는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 드론 영상을 이용한 표면유속 측정 연구에서는 드론을 측정하고자 하는 하천 영역 위에서 정지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표면유속을 측정하고 있다. 이때 한 화면에 하폭이 다 담기지 않는 넓은 하천의 경우 촬영 위치를 옮겨서 다시 영상을 촬영하거나 하폭이 담길 때까지 비행 고도를 높여 촬영하고 있다. 하지만 촬영 위치를 옮겨 촬영하는 방식의 경우 넓은 하천을 다 담기 위해 여러 번의 촬영을 하고 이를 정합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비행 고도를 높여 촬영하는 방식의 경우 촬영 품질 저하로 인해 측정한 유속의 불확도가 크게 산정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드론을 이동하며 촬영한 연속적인 영상을 이용하여 하천의 표면유속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하천을 가로질러 비행하며 촬영한 드론 이동영상을 활용하면 폭이 넓은 하천의 경우도 간편하게 유속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동영상을 이용하여 유속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연속된 이동영상 내에서 지표면의 공통된 특징점을 찾아 흔들림 보정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유속을 산정하는 방법과 드론의 이동 속도를 이용하여 영상의 수표면 이동속도와 벡터연산을 적용하는 두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두가지 방법 중 영상 분석에 필요한 전처리 과정이 적고 지표면의 고정점이 필요 없는 드론의 이동속도를 이용한 벡터 연산을 적용하는 방법을 실제 흐름에 적용하였다. 측정한 수표면의 유속을 전자파표면유속계로 측정한 유속과 비교한 결과 평균 5 % 이내의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다양한 흐름 조건과 드론의 비행속도를 변경하여 측정하는 등의 유속 측정 적용성을 검토하는 연구가 수행된다면 하폭이 넓은 하천 등 다양한 조건에서 드론 영상을 이용한 유속 측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Analysis about Discharge Coefficient of Sharp-crested Side Weir (횡월류예연위어 유량계수에 관한 실험 비교 연구)

  • Rhee, Dong-Sop;Kim, Chang-Wan;Lee, D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295-1299
    • /
    • 2006
  • 횡월류위어는 홍수 피해 경감을 위해 계획되는 방수로나 저류지의 유입부에 주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횡월류위어를 통해 방수로나 저류지로 월류되는 월류량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이러한 시설의 홍수 피해 경감 능력을 예측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횡월류위어를 통해 흐르는 흐름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러한 흐름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대부분의 횡월류위어 유량계수 공식은 De Marchi의 해석해와 다양한 실험 자료에 근거하여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횡월류위어 유량계수에 대하여 많은 공식이 제안되어 왔지만, 대부분의 공식이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횡월류위어의 상류에서의 프루드수$(Fr_1)$를 제일 중요한 설계 인자로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횡월류위어에 대한 연구가 점차 발전됨에 따라 횡월류위어 상류에서의 프루드수 외에도 위어높이와 횡월류위어 상류 수심의 비(h/y), 그리고 횡월류위어의 길이와 본류 폭의 비(L/B) 등이 고려되고 있다. 그 중에서 L/B 의 효과는 점차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사용한 실험 장비들은 상 대적으로 높은 L/B 조건을 가지는데 반하여, 현재 국내에서 계획되고 있는 천변저류지 등에 설계된 횡월류위어의 설계 범위는 대체로 $1/10{\sim}1/200$이므로 기존 연구자들의 실험 범위와 매우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실험 수로를 이용하여 횡월류예연위어의 유량 계수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지금까지의 실험 결과에 의하면 동일한 실험 조건에 대해서 기존 연구자들에 의해서 제안된 공식으로 계산한 유량계수 보다 측정된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유량계수의 값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 으로 나타났다. 통해 배수될 때 암석이 머금고 있는 물로 인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중력은 다른 재료가 가지지 못한 화산석의 또 다른 장점이라 할 수 있다.서는 자료변환 및 가공이 필요하다. 즉, 각 상습침수지구에 필요한 지형도는 국립지리원에서 제작된 1:5,000 수치지형도가 있으나 이는 자료가 방대하고 상습침수지구에 필요하지 않은 자료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습침수지구의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많은 불필요한 레이어의 삭제, 서비스 속도를 고려한 데이터의 일반화작업, 지도의 축소.확대 등 자료제공 방식에 따른 작업 그리고 가시성을 고려한 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 PDF

Characteristics of Leaf Morphology and Genetic Variation of the Rare Woody Plant, Berchemia racemosa var. magna (희귀수종 먹넌출 엽의 형태적 특성과 유전변이)

  • Song, Jeong-Ho;Lim, Hyo-In;Jang, Kyung-Hwan;Han, Jingyu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6 no.5
    • /
    • pp.613-618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f and the genetic diversity of Berchemia racemosa var. magna which is only found in Anmyeon Island of South Korea. ANOVA test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individuals within population in all 10 leaf characteristics. Average characteristics of 39 individuals were 11.8 cm in leaf length, 7.1 cm in leaf width, 1.67 in leaf index, 5.4 cm in upper 1/3 width, 6.2 cm in lower 1/3 width, 3.6 cm in petiole length, 0.19 mm in leaf thickness, 11.5 ea. in number of veins (left), 11.4 ea. in number of veins (right) and 61.7 $cm^2$ in leaf area, respectively. Except for leaf thickness (18.8%), petiole length (21.7%) and leaf area (22.0%), the coefficients of variation of most leaf characteristics were relatively low (<15.0%). A total of 50 bands was generated from 8 selected I-SSR primers. The estimates of genetic variation were 1.719 in effective number of alleles ($A_e$), 26.0% in proportion of polymorphic bands (P), 0.410 in expected heterozygosity ($H_e$) and 0.598 in Shannon's diversity index (S.I.), respectively. In spite of the small number and the limited distribution, the B. racemosa var. magna population in Anmyeon Island showed high genetic diversity.

Optimal Production Management Strategy for Non-timber Forest Products using Portfolio Approach - A case study on major fruit trees - (포트포트폴리오 기법을 이용한 단기소득임산물의 최적 생산관리 전략 - 주요 유실수를 중심으로 -)

  • Won, Hyun-Kyu;Jeon, Jun-Heon;Lee, Seong-Youn;Joo, Rin-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4 no.2
    • /
    • pp.248-253
    • /
    • 2015
  • This study applied the portfolio approach as a means to provide decision-making inform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optimal production plan for non-timber products. The target items of non-timber forest product were Chestnut, Jujube, Walnut and Astringent Persimmon.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the annual report of forestry production cost survey which contains the annual production, annual gross income, and annual product cost from 2008 to 2013. These data were used to calculate the expected return of non-timber forest product. The objective function in the portfolio models was to minimize the expected return volatility, called risk and the constrain was to achieve the minimum expected return rat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duction ratio of the nuts and fruits in 2013 was 7% for Chestnut, 20% for Jujube, 5% for Walnut and 68% for Astringent Persimmon. Furthermore, portfolio presented that the production ratio was 10% for Chestnut, 9% for Jujube, 3% for Walnut and 78% for Astringent Persimmon in the near future. The cause was analyzed due to maintain stable production and income of Astringent Persimmon and Chestnut. Meanwhile, the revenue of Walnuts and Jujube was in great variation with relatively higher revenues.

Factors contributing to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by food manufacture and cooking venues according to the national sodium reduction policies (국가 나트륨 저감화 정책에 따른 생산 및 조리 주체별 나트륨 섭취 감소 기여 요인 분석)

  • Kim, Kirang;Park, Sohyun;Kim, Jee Young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3 no.6
    • /
    • pp.648-662
    • /
    • 2020
  • Purpose: Sodium intake is persistently decreasing because of the government's sodium reduction polic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oods and dishes that contributed to the reduction of sodium intake and evaluate the effects of the sodium reduction policy. Methods: The subjects were 57,809 participants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from 2010 to 2017. To identify food and dish sources of sodium intake, the food and dish groups were classified into 23 and 21 groups, respectively. Foods and dishes that contributed to sodium intake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production and cooking venues: production by manufacturers, home cooking, cooking at catering service, and restaurant cooking. Results: Sodium intake was 4,876 mg in 2010 to 3,477 mg in 2017, showing a 29.7% decrease in intake in 2010. Sodium intake was decreased mainly in foods produced by manufacturers and home-cooked foods. The main contributory factors to sodium from the food and dish groups differed according to the food manufacturer and cooking venue. The kimchi produced by manufacturers, cooked soup/tang/jjigae/hotpot at home and catering services, and cooked noodles/dumplings in restaurants were the main contributors to the sodium intake. Conclusion: The type of foods and dishes that contribute to sodium intake tended to expand over the years from specific foods and dishes to various groups of foods and dishes.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low-salt foods and dietary education related to low-salt intake.

Groundwater Recharge Evaluation on Yangok-ri Area of Hongseong Using a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VELAS) (분포형 수문모형(VELAS)을 이용한 홍성 양곡리 일대 지하수 함양량 평가)

  • Ha, Kyoochul;Park, Changhui;Kim, Sunghyun;Shin, Esther;Lee, Eunhee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4 no.2
    • /
    • pp.161-176
    • /
    • 2021
  • In this study, one of the distributed hydrologic models, VELAS, was used to analyze the variation of hydrologic elements based on water balance analysis to evaluate the groundwater recharge in more detail than the annual time scale for the past and future. The study area is located in Yanggok-ri, Seobu-myeon, Hongseong-gun, Chungnam-do, which is very vulnerable to drought. To implement the VELAS model, spatial characteristic data such as digital elevation model (DEM), vegetation, and slope were established, and GIS data were constructed through spatial interpolation on the daily air temperature, precipitation, average wind speed, and relative humidity of the Korea Meteorological Sta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annual precipitation was 799.1-1750.8 mm, average 1210.7 mm, groundwater recharge of 28.8-492.9 mm, and average 196.9 mm over the past 18 years from 2001 to 2018 in the study area. Annual groundwater recharge rate compared to annual precipitation was from 3.6 to 28.2% with a very large variation and average 14.9%. By the climate change RCP 8.5 scenario, the annual precipitation from 2019 to 2100 was 572.8-1996.5 mm (average 1078.4 mm) and groundwater recharge of 26.7-432.5 mm (average precipitation 16.2%). The annual groundwater recharge rates in the future were projected from 2.8% to 45.1%, 18.2% on average. The components that make up the water balance were well correlated with precipitation, especially in the annual data rather than the daily data. However, the amount of evapotranspiration seems to be more affected by other climatic factors such as temperature. Groundwater recharge in more detailed time scale rather than annual scale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groundwater development and management if precipitation are severely varied by time, such as droughts or flo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