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가 지수화

Search Result 73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nalysis and New Indices of Cluster Validity Indices in Summation Type (합형식의 군집 유효화 지수의 분석과 새로운 지수 개발)

  • Kim Minho;Ramakrishna R.S.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598-600
    • /
    • 2005
  • 군집 유효화 평가란 기본적으로 클래스 (Class)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다양한 입력 변수에 의해 발생되는 군집화의 결과들을 평가하여 그들 중에서 주어진 데이터 집합의 자연적인 분할 상태에 가장 적합한 결과를 찾는 기법을 말한다. 군집 유효화 평가에서 그 척도로 사용되는 것이 군집 유효화 지수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현존하는 다양한 군집 유효화 지수들 중에서 합 형식을 가지는 지수들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이 지수들의 설계 원리와 각 지수들의 부합성 (Compliance) 분석한다. 다음으로 분석을 통해 밝혀진 그들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군집 유효화 지수들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군집 유효화 지수들을 포함한 새로이 제안한 지수들의 성능을 실험 학습을 통해 평가한다.

  • PDF

Development of Drought Risk Map : Case Study For Gyengsang-do (가뭄위험지도 개발 :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 Park, Jong Yong;Yoo, Ji Young;Choi, Minha;Kim, Tae-Woo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46-46
    • /
    • 2011
  • 가뭄은 인간이 극복하기 힘든 자연재해로 사회, 경제, 환경등에 막대한 피해를 가져온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속적인 가뭄 모니터링이 필요한데, 현재 가뭄의 모니터링은 대부분 기상학적 인자를 고려한 가뭄지수의 심도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뭄모니터링 방법을 좀 더 현실적으로 개선시키고자 가뭄심도를 근거로 가뭄발생 빈도와 가뭄발생 시 취약인자의 선정을 통해 가뭄위험평가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가뭄의 위험정도를 정량화하고 가뭄발생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피해 요소들을 정량화하여 가뭄재해지수(Drought Hazard Index)와 가뭄취약성지수(Drought vulnerability Index)를 산정하고, 두 지수의 결합으로 가뭄위험지수(Drought Risk Index)를 산정하였다. 가뭄재해지수는 가뭄지수 EDI를 바탕으로 가뭄심도에 따른 발생확률을 근거로 산정하였으며, 가뭄취약성지수는 가뭄 발생 시 취약한 인자를 선정하여 이를 지수화 하였다. 가뭄위험평가의 적용을 위해 2001년의 경상도 지역의 가뭄을 평가하였다. 가뭄위험지수를 바탕으로 경상도 지역의 가뭄의 위험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가뭄위험지도를 작성한 결과 경상북도 지역이 경상남도 지역보다 가뭄발생빈도와 취약정도가 컸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경상도 내륙지방을 중심으로 가뭄의 위험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alysis and New Indices of Cluster Validity Indices in Ratio Type (비형식의 군집 유효화 지수의 분석과 새로운 지수 개발)

  • Kim Minho;Ramakrishna R.S.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601-603
    • /
    • 2005
  • 군집 유효화 평가는 군집화 알고리즘을 진정한 의미의 비감독 학습이 가능하도록 만든다는 의미에서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군집 유효화 평가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군집 유효화 지수들의 설계원리를 분석하고 기존 지수들의 부합성을 분석한다. 우리는 제 (I) 부에서 합 형식의 지수들을 다루었으며, 본 논문에서는 비 형식의 지수들을 다룬다. 합형식의 CVI에서처럼 저역 필터링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또한, 부작용 없이 비형식의 지수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법을 제시한다. 새로운 지수들의 성능은 실험 학습을 통해 제시된다.

  • PDF

Economic Evaluation Method for Marine Electric Generating Systems Using a Comprehensive Economic Index (종합 경제성 평가지수에 의한 선박 발전장치의 경제성평가법)

  • Jeong-Je Kim;Seung-Taek Cha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0 no.1
    • /
    • pp.10-19
    • /
    • 1993
  • Design optimisation generally necessitates a tool of assessing the economics of design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assessing the economics of marine electric generating systems. The pay back period(PBP) and the net present valuve(NPV) of the investment for a designed project are properly converted into a economic index. The mechanical factors dominating the easiness in operating the system are also assessed and quantified to form a index which eventually is added to the economic index producing a comprehensive economic index. The method has been tested on a design example and it's validity has been shown.

  • PDF

Development of Vegetation Indicator for Assessment of Naturalness in Stream Environment (하천환경의 자연성 평가를 위한 식생지표의 개발)

  • Chun, Seung-Hoon;Chae, Soo-Kw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5 no.6
    • /
    • pp.384-401
    • /
    • 2016
  • The vegetation assessment indicator has been developed recently as a biological part of the integrated assessment system for river environmen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iver restoration projects. This study carried out to test the vegetation assessment indicator and to reset its grade criteria on experimental streams. We classified and mapped vegetation communities at the level of physiognomic-floristic composition by each assessment unit. A total of 204 sampling quadrats were set up on the 68 assessment units at 5 experimental streams. By analyzing the vegetation data collected, we examined the appropriate numbers of sampling quadrats, the criteria of vegetation index score, classification of vegetation community, and grade criteria for vegetation assessment. The developed vegetation assessment indicator composed with the vegetation complexity index (VCI), the vegetation diversity index (VDI), and the vegetation naturalness index (VNI) was proved to reflect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streams sufficiently. The contribution of vegetation naturalness index to grading by vegetation assessment indicator was larger, but three indexes were closely correlated to each other. Also there was more clearer discrimination of grading with the application of adjusted criteria of vegetation assessment indicator and the standardized classification of vegetation community, but the stream segment type did not influence the vegetation assessment grade significantly.

Modification of Seawater Intrusion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Coastal Aquifer of Jeju Island, Korea (제주도 지하수 해수침투 취약성 평가 개선)

  • Chang, Sun Woo;Kim, Min-Gyu;Chung, Il-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2
    • /
    • 2020
  • 해안 지역은 종종 도시화, 인구 증가 및 환경 오염으로 인해 해안대수층의 지하수의 염도가 증가하는 현상인 해수침투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국내 제주도 해안대수층을 대상으로 GIS 기법을 이용한 수리지질학적 변수의 지수화 방식으로 해안대수층의 해수침투 취약성 평가를 적용하였고 국내 해수침투 특성을 더욱 명확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취약성 평가 방식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대수층 특성, 수리전도도 특성, 지하수위, 해안으로부터의 거리, 염도분포, 대수층 깊이 등의 자료를 확보하여 취약성 평가의 주요 인자로 활용하였으며 특히 다년간에 걸친 국내 해수침투 관측망 관측 자료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취약성 평가 인자 중 지하수위를 지수화 하는 과정에서 지하수위의 평가 구간 범위를 개선하였고, 염도 적용 방식을 해수침투 관측망 데이터 유형인 전기전도도를 이용한 새로운 평가 구간 범위를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에 해수침투가 발생했던 지역에서의 취약성 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취약성 평가의 개선 작업 결과에 의해 지속적인 지하수위 하강이 발생하고 계절적 요인으로 해수침투가 발생하는 지역에서 취약 지수의 증가세를 더욱 선명하게 구분할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Flood Control Effect Index by Using Fuzzy Set Theory (Fuzzy Set 이론을 이용한 홍수조절효과 정량화 지표 개발)

  • Kim, Ju-Uk;Choi, Chang-Wo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312-316
    • /
    • 2010
  • 현재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홍수기 다목적 댐의 홍수조절효과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지표로는 유량조절률, 저수지 방류율, 저수지 저류율, 저수지 이용률 등이 있다. 이러한 평가지표들은 유입량, 방류량, 저류량 등의 자료를 단순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홍수조절효과 평가지표 산정식에 사용되는 자료들이 가지는 불확실성이 평가에 고려되지 못하고 있으며, 다목적댐에서 얻을 수 있는 자료만을 사용함으로써 댐 하류 지점에서의 홍수조절효과를 평가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수자원 시스템의 설계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부분적인 실패를 고려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므로, 홍수조절효과를 정량화 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종 변수들이 가지는 불확실성, 댐 하류지점에서의 홍수조절효과, 수자원 시스템에서 허용 가능한 부분적 실패를 고려하기 위하여 홍수조절효과 정량화 지표 개발에 퍼지집합 이론을 적용하였고, 충주댐 유역을 시험 유역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홍수사상으로는 2006년도 7월의 홍수사상을 적용하였으며 그에 따른 인자들을 퍼지화하고 시스템의 상태로부터 허용 가능한 부분적인 실패 영역을 구분하였고, 통합 신뢰도-취약도 지수를 적용하여 홍수조절효과 정량화 지표를 개발하였다. 적용 결과,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통합 신뢰도-취약도 지수는 저수지의 홍수조절효과를 보다 구체적이고 객관화하여 나타낼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Vehicle Ride Index Using Measured Acceleration (차량승차감 평가지수 개발에 대한 연구)

  • Jang, Han-Kee;Kim, Seung-Han;Cho,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0.06a
    • /
    • pp.132-137
    • /
    • 2000
  • 차량 개발에 있어서 승차감(Ride)과 조향성능(Handling)의 평가는 차량의 동적 성능을 판단하는 주 인자인데, 차량업계에서는 이들 평가의 대부분을 주관적인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최근에는 주관평가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차량의 동적 거동을 직접 측정함으로써 평가를 객관화하려는 시도가 많이 행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숭차감 평가를 위한 정량화 지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저해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측정된 물리량을 이용하여 주관평가 결과를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을 정립하고자 한다. 우선 정적, 동적 승차감에 대한 모형을 통해서 승차감 정량화의 한계와 기존의 승차감 평가지수에 대해 고찰하고, 실제 차량 시험에서 얻어진 주관 평가치와 측정 가속도간의 상관관계 정립을 통해 관계식을 수립하는 방안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주행시 간헐적으로 들어오는 충격성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도 함께 논하였다.

  • PDF

Water Supply Stability Analysis using Reliability Indices for Water Distribution Network (신뢰도 지수를 활용한 상수관망의 용수공급 안정성 분석)

  • Jeong, Gimoon;Kang, Doo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65-65
    • /
    • 2017
  • 상수관망 시스템(Water Distribution System, WDS)은 원활한 용수 공급을 위해 구축된 사회기반시설물로써, 물 공급절차에 따라 그 구성요소를 공급원, 공급 경로, 수요지 등의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원활한 물 공급이란 수요지에서 요구하는 수량과 압력 수준을 충족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상수관망의 용수공급능력은 요구 수량 및 압력과 실제 공급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가늠할 수 있다. 과거에는 두 가지 기준을 별도로 산정하여 이를 평가하였으나, 유량과 압력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에너지 기반의 평가 방법이 제시되면서 시스템 내 에너지 분포를 정량화하여 시스템의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하는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자들은 시스템 내 에너지 흐름 상태를 정량화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상수관망의 신뢰도지수(Reliability Index)를 제안한 바 있다. 이 때, 대부분의 신뢰도 지수 연구에서는 수요지에 공급된 에너지를 기본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최소요구 에너지(Required Energy)와 비상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잉여 에너지(Surplus Energy)로 구분하고 있으며, 잉여 에너지를 상수관망의 공급 안정성을 나타내는 핵심 요소로 활용하고 있다. 확보된 잉여 에너지는 비상시 최소요구 에너지를 대체하는 개념에서 복원력으로 표현되어, 잘 알려진 Resilience Index(RI)를 비롯해 많은 복원력 지수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복원력 지수를 포함한 세 가지의 신뢰도 지수를 적용하여 상수관망의 용수공급 상황 변화에 따른 시스템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절점별 복원력 지수를 산정하고 그 분포를 공간적으로 도시하여 파악함으로써, 비상시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판단기준으로써 신뢰도 지수를 폭 넓게 활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Sustainable Water Resources Planning for Rehabilitation of Hydrologic Cycle in the Anyangcheon Watershed: (안양천 유역의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지속가능한 수자원 관리계획)

  • Chung, Eun-Sung;Kong, Ki-Seo;Lee, Kil-Seong;Yoo, Jin-Ch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40-164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안양천 유역에 대해 왜곡된 물순환을 건전화시키기 위한 유역통합관리 계획을 수립하였다. 대안의 효과분석은 HSPF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평가지수는 건천화 방지와 수질개선 효과 요소로 구성되며 각각은 유역통합관리 6단계 결과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복합계획법과 지속가능성 개념(압력-상태-반응)을 활용하여 개발되었다. 특히 수량과 수질에 대한 가중치는 유역주민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실험선택법으로 정량화하여 유역의 속성별로 달리 적용하였다. 대안은 평가지수에 따라 세 등급(Good, Acceptable, Poor)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