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편평 세포암

Search Result 32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pplication of a Split-thickness Skin Graft after the Removal of Huge 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 on the Right Lower Posterior Neck and Right Shoulder: Case Report (목과 오른쪽 어깨 부위에 발생한 거대 편평세포암에 대해 피부이식술로 치험한 증례보고)

  • Kim, Jong Chan;Hong, In Pyo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32 no.1
    • /
    • pp.45-48
    • /
    • 2016
  • 거대한 피부편평세포암은 드문 피부 종양이다. 편평세포암은 모든 피부 악성 종양 중 20%을 차지한다. 피부편평세포암은 주로 햇빛의 노출되는 것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때때로 피하층을 침범을 하는 경향이 있다. 편평세포암이 흔한 종양인 것과는 다르게, 5cm 이상의 거대 편평세포암은 보고된 바가 드물다. 이에 저자는 경부에 발생한 $14.5cm{\times}11.5cm{\times}9.5cm$ 크기의 거대한 피부편평세포암을 피부이식술을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하여 이에 대해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Overexpression of EFGR as Prognostic Factor and Effect of EGF in the Progression of Hypopharyngeal Cancer (하인두암에서 예후인자로서의 표피성장인자수용체(EGFR) 과발현과 하인두암의 진행에 있어 표피성장인자(EGF)의 역할 분석)

  • Lim, Young Chang;Choi, Eun Chang;Kim, Yoon Tae;Kim, Jang Hee;Hwang, Hye Sook;Kang, Sung Un;Chang, Jae Won;Shin, Yoo Seob;Kim, Chul-Ho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29 no.1
    • /
    • pp.1-10
    • /
    • 2013
  • 연구배경 및 목적 표피성장인자수용체(EGFR)는 HER2/neu(erbB2), HER3(erbB3), HER4(erbB4)를 포함하는 receptor tyrosine ki-nase의 erbB 그룹에 속하는 수용체이다.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과발현은 다양한 종류의 암, 특히 두경부편평세포암에서 예후를 악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하인두편평세포암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 및 분포를 확인하고, 하인두암에서 표피성장인자(EGF)가 암세포의 증식과 침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57명의 하인두편평세포암 환자의 조직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을 면역화학적염색을 통해 확인하고, 이에 대해 임상병리학적 요인과 생존율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고, 일부 환자의 정상 및 암조직에서 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하인두편평세포암 세포주인 FaDu에서 proliferative assay, colony dispersion, wound healing assay, invasion assay를 시행하여, 하인두암의 진행에서 표피성장인자의 역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RT-PCR과 Zymography를 통하여 Matrix metalloproteinase(MMP)-2, 9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결 과 63.2%의 하인두편평세포암 조직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이 확인되었다.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은 정상조직에서 비하여 하인두암 조직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며, 병리학적 병기(p=0.022)가 올라갈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증례수의 제한으로 생존율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얻지는 못했다(p=0.053). in vitro의 결과로 표피성장인자를 FaDu 세포주에 처리하였을 때, FaDu 세포주의 증식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p<0.05), Transwell invasion chamber상 침습의 증가가 확인되었다(p<0.05). RT-PCR과 zymogram 실험상 표피성장인자처리시 FaDu 세포주의 MMP-2, 9이 발현이 증가되고 활성화되는 것이 확인하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과발현이 하인두암의 예후 인자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표피성장인자가 하인두편평세포암의 증식과 침습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MAKING IN VIVO MODEL TO STUDY ABOUT HUMAN ORAL CANCER (I) (구강암 연구를 위한 동물실험모델의 개발(I))

  • Park, Hyung-Kook;Kim, Yong-Kack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v.19 no.3
    • /
    • pp.300-310
    • /
    • 1997
  • In order to make in vivo model of human oral squamous cell cancer, we brought up BALB/C nude mice in specially designed housystem, and maintained some kind of human oral squamous cancer cell lines ; KB, SCC-4, SCC-9, SCC-15, SCC-25. Various concentration of cancer cells were inoculated subcutaneouly into flank area of nude mice. We observed each nude mouse more than 5 weeks after tumor inoculation. We appraised the results, measured the tumor size, and calculated the growing tumor volumes after tumor inoculation according to cancer cell line and concentration of cancer cells in media. Some cancer cell lines were rapidly growing in nude mice, but some cancer cell line couldn't grow in nude mice and resorbed completely. And in some cancer cell line, some nude mice showed continuously growing tumor, but other didn't show any tumor growing. And as a new try, we implanted specially disigned caps on the back of nude mice, and cancer cell lines were brought into the caps with media. We removed the cap after 1 week, and observed over 4 weeks. The shape and size of growing tumor were observed.

  • PDF

Basaloid Squamous Carcinoma of the Esophagus - Report of a Case - (식도의 기저세포양 펀평세포암 -1례 보고-)

  • Park, Seo-Wan;Jeong, Seong-Un;Lee, Hyeong-Ryeol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29 no.9
    • /
    • pp.1050-1053
    • /
    • 1996
  • Basalold squamous carcinoma (BSC) is a rare, aggressive neoplasm of the upper aerodigestive tract or esophagus. It is characterized by a biphasic pattern in which basaloid tumor is intimately associated with a neoplastic squamous component which can be either Invasive r in situ. Despite its characteristic histologic appearance, the BSC of the esophagus has been confused with esophageal neoplasm variously reported as adenoid cystic carcinoma or carcinoma with adenoid cystic differentiation Their distinction is important because genuine adenoid cystic carcinoma is much less as- gressive than BSC. The biologic course of BSC is similar to that of the more frequent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esophagus.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BSC of the esophagus in a 60-year-old male patient. The lesion was located in the middle third of the esophagu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surgery followed by radio- therapy.

  • PDF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Expression of Oncosuppressor Gene Protein and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in Squamous Cell Carcinomas of Larynx (후두 편평세포암에서 암억제유전자 단백 및 상피성장인자 수용체 발현의 임상적 의의)

  • 정광윤;최종욱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3.05a
    • /
    • pp.85-85
    • /
    • 1993
  • The clinical staging system for laryngeal cancers is not sufficient for prognosticator due to different biologic characteristics and their microenvironment according to primary sites. For determining the prognosticators, the authors peform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o EGFR, p53 protein, and pRB in 40 cases of surgically treated squamous cell carcinomas of larynx in our institute during the past 5 year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1. The positive expression rate of p53 protein and negative expression rate of pRB showed correlations with clinical parameters. 2. The three-year survival rate for p53 protein positive cases was worse than the p53 protein negative cases. 3. Expression rate of EGFR was not correlated with the clinical parameters. As a conclusion, expression rates of p53 protein and pRB not only reflect well the biologic behavior of laryngeal cancer, but correlate closely with the tumor factors. Therefore they may be useful as the prognosticator to predict the malignant potency of l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s.

  • PDF

The National Survey of Lung Cancer in Korea (폐암의 전국 실태 조사)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학술위원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46 no.4
    • /
    • pp.455-465
    • /
    • 1999
  • Background: Even though lung cancer has become a major cancer in Korea, national survey for lung cancer has not been available except several reports from individual hospitals. Methods: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lung cancer diagnosed from January 1997 to December 1997 at general hospitals over 400 beds. Results: Among 3,794 patients, 76.8% are smokers and 89.8% of male patients are smokers. Squamous cell carcinoma is the leading type of lung cancer(44.7%) followed by adenocarcinoma(27.9%). Smoking rate in adenocarcinoma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squamous cell carcinoma and small cell cancer. Cough is the most common symptom, however, 7.2% are asymptomatic. Bronchoscopic biopsy has a main role in the diagnosis of squamous cell carcinoma and small cell cancer but percutaneous needle biopsy has more important role in adenocarcinoma. Two-thirds of NSCLC patients were found in unresectable advanced stages. Conclusion: In contrast to other countries, squamous cell carcinoma is still the most frequent type of lung cancer. High proportions of smoker and advanced, unresectable lung cancer urge us to develop the program for cessation of smoking and early detection.

  • PDF

The Effect of Cancer Associated Fibroblasts(CAFs) and CD44 of CAFs on the Motility of Cancer Cells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두경부편평세포암에서 암-연관 섬유아세포가 암세포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과 암-연관 섬유아세포에서 과발현되는 CD44의 역할)

  • Shim, Seon-Hui;Hah, J. Hun;Cho, Soo Youn;Kim, Tae-Min;Koh, Young-Il;Kim, Dong-Wan;Lee, Choon-Taek;Heo, Dae Seog;Sung, Myung-Whun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30 no.2
    • /
    • pp.43-52
    • /
    • 2014
  • 배경 및 목적 암-연관 섬유아세포(Cancer-associated fibroblasts, CAF)는 종양미세환경의 가장 중요한 요소의 하나다. 그래서 두경부편평세포암에 대해 CAF가 암세포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CAF에 과발현되는 CD44의 역할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두경부암환자의 종양조직에서 CAF를 분리하고, 비종양성 조직으로부터 정상 섬유아세포(NHF)를 분리하였다. 창상치유분석과 상하 챔버를 이용한 3차원 세포 이동 분석을 이용하여, CAF가 암세포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CAF에서 과발현되는 CD44를 중화항체로 CAF를 차단했을 때 암세포 이동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NHF에 비해 CAF에서 CD44가 과발현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창상치유분석에서 CAF와 같이 배양된 암세포는 NHF와 같이 배양된 암세포에 비해 더 빠른 이동을 보였다. CD44 중화 항체를 처리했을 때는 암세포의 이동성이 저해되었다. 결론 CAF는 종양미세환경에서 암세포의 운동성을 조절하는 중요한 인자의 하나일 것으로 사료된다. CD44는 CAF의 기능을 매개하는 중요한 표지자 중 하나로 생각된다.

RVOTO Caused by Pulmonary Artery Sarcoma Originating from Pulmonary Valve -Two case report- (식도와 폐의 동시성 중복암 -2예 보고 -)

  • 김대현;이인호;윤효철;김수철;김범식;조규석;박주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7 no.2
    • /
    • pp.184-187
    • /
    • 2004
  • The synchronous double cancer of the esophagus and lung is rare. Right lower lobectomy and Ivor Lewis procedure were performed simultaneously in a 75 year-old male patient who had synchronous double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thoracic esophagus and right lower lobe of the lung, Left upper lobectomy was performed in a 69 year-old male patient who ha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eft upper lobe of the lung, and four months later we performed Ivor Lewis procedure for the squamous cell carcinoma that occurred in the thoracic esophagus. The above two patients were doing well 10 months and 24 months after the operation respectively without recurrence. We treated the two cases of synchronous double cancer of the esophagus and lung with complete resection, and report this with review of literature.

Basaloid-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Esophagus -A case report- (식도에서 발생한 기저양 편평세포암종 -1예 보고-)

  • 박훈;박남희;박창권;금동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7 no.10
    • /
    • pp.888-891
    • /
    • 2004
  • Basaloid-squamous cell carcinoma, a biologically high-grade variant of squamous cell carcinoma, is predominantly located at upper aerodigestive tract but it is extremely rare in the esophagus.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basaloid-squamous cell carcinoma of esophagus. A 64 year-old man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because of mucosal nodularity at 35 cm apart from the incisor in endoscopic examination. Result of Biopsy was squamous cell carcinoma. Left transthoracic esophagectomy was performed. Histologically, the lesion of tumor was basaloid-squamous cell carcinoma and no lymph node metastasis was found.

Beta-4 Integrin Transfection, Cloning and Functional Assay in Squamous Cell Carcinoma (Beta-4 Integrin 유전자 주입, 클로닝과 편평상피암에서의 Beta-4 Integrin 기능에 관한 연구)

  • Kim Young-Min;Carey Tomas E.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13 no.2
    • /
    • pp.169-179
    • /
    • 1997
  • 서론 : Laminin의 수용기로 알려진 Integrin $\alpha6\beta4$의 세포내 표현 정도는 편평상피암을 위시한 여러 악성종양의 전이능력 및 예후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없다고 알려져 있다. 이 Integrin은 Laminin과 같은 세포와 리간드와 결합하면 상피세포의 기저막 지주 구조물인 hemidesmosome의 세포체질 요소(cytoskeletal element)와 연관되어 그 결과 세포의 기저막과 세포내 케라틴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Integrin $\alpha6\beta4$는 구조적으로 다른 많은 integrin들과 달리 $\beta$4의 세포질내 영역(cytoplasmic domain)이 특징적으로 크다. 이 세포질내 영역 $\beta$4 integrin의 기능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아마 세포 성장의 신호전달 및 악성종양의 특징인 침윤 전이에 관련할 것으로 보아지고 있다. 재료 및 방법: 저자들은 우선 $\beta$4 integrin의 wild type s-DNA와 $\beta$4 세포질내 영역(cytoplasmic domain) 및 $\beta$4의 tyrosine 인산화 반응 부위가 각각 결손된 c-DNA를 PCR을 통하여 합성하여 pRc/CMV 벡터에 삽입한 후 원래 $\beta$4 integrin의 발현이 결집된 인간 방광암 세포에 Calcium phosphate precipitation 방법으로 주입(transfection)시켜 형질변환된 세포를 면역형광법, Flow cytometry 및 Immunoprecipitation 방법으로 클로닝하여 wild type $\beta$4-full length(Clone FL), truncated $\beta$4-cytoplasmic domain(C1one CD), 및 mutated $\beta$4-tyrosine phosphorylation site (Clone M)을 얻었다. 암 세포의 부착 및 침투 능력의 기능적 연구로 모노 클로날 항체와 fibronectin, laminin, Matrigel을 단백질 기질로 사용하였으며 결과 비교를 위하여 pRc/CMV 벡터만 주입시켰던 클로운과 방광암 세포주를 $\beta$4 integrin 음성 대조군으로 또한 이 Integrin의 높은 발현을 보이는 두경부 편평상피암 세포주를 양성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결과 : 세포부착능력에 있어서 온전한 $\beta$4 cytoplasmic domain이 존재하는 클로운이 laminin에 강한 부착능력을 보였으나 fibronectin의 부착정도는 $\beta$4 integrin의 표현정도와 관계없이 모든 클로운에서 비슷하였다. Matrigel을 투과하는 암세포 침윤 능력에서는 $\beta$4 integrin의 표현이 존재하는 클로운들이 투과 능력이 높았으나 세포외 리간드가 없는 control membrane을 사용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투과능력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유전자 주입(transfection) 방법으로 integrin의 다양한 클로운의 합성이 가능하여 이 Integrin의 암 세포의 부착 및 침투 능력에서의 기능을 규명 할 수 있게 한다. $\beta$4 integrin은 편평상피 암세포의 부착에 있어서 세포외 리간드 laminin과 특이 결합하여 부착 능력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편평상피 암세포의 침투에 있어서는 $\beta$4 integrin의 표현이 침투 능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나 이때에는 laminin과 같은 리간드와의 특이 결합에 의존하지는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