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편측성대마비

Search Result 31,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rytenoid adduction on 8 cases of unilateral vocal cord paralysis (편측 성대마비 8례에 대한 피열연골 내전술)

  • 김광현;변성완;고태용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3.12a
    • /
    • pp.19-19
    • /
    • 1993
  • 편측 성대마비에 대해서 Teflon 삽입술, 갑상연골성형술, 피열연골내전술 등 여러 술식이 사용되고 있다. 1993년 3월부터 1993년 10월까지 서올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에서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한 8례의 편측 성대마비에 대해서 피열연골 성형술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원인으로는 특발성이 3례, 갑상선 수술에 후발한 것이 2례, 경부종괴절제수술에 후발한 것이 2례, 흉부수술에 후발한 것이 1례, 디프테리아가 1례였고, 좌측 성대마비가 5례, 우측 성대마비가 3례였다.(중략)

  • PDF

편측 성대마비와 성대폴립 환자의 수술 전후 음성검사와 이미지 화상분석의 상관관계에 대한 객관적 비교연구

  • 김시찬;최홍식;홍정표;오종석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9.11a
    • /
    • pp.199-199
    • /
    • 1999
  • 각종 음성질환에 있어서 음성검사는 진단뿐 아니라 치료를 위한 중요한 방법으로 알려져 왔다. 특히 수술전후 음성질환의 평가에는 음성검사 뿐 아니라, 후두스트로보스코피를 이용하여 비교함으로써 가능하다. 이중 후두스트로보스코피는 방법이 간단하여 직접 수술전후의 변화를 알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객관적인 자료로는 이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후두스트로보스코피의 영상자료를 컴퓨터에 연결, 영상신호를 디지털화하여 후두의 움직임을 객관적으로 관찰하려고 시도되어왔다 특히 편측 성대마비 환자에서는 성대의 위치가 외전 될뿐만 아니라 피열연골의 위치가 마비 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외회전 하고 성대가 전방으로 위축되어 성대 막성부의 길이가 짧아지는 틀의 후두스트로보스코피의 영상을 보이고, 성대폴립환자에서는 수술전후에 폴립의 크기와 성문면적에 변화를 보이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편측 성대마비와 성대폴립과 같은 각기 다른 두 질병에서 음성경사와 후두스트로보스코피를 이용한 이미지 화상분석을 통해 각 성대의 길이, 각도, 성문틈의 면적과 폴립의 크기등을 측정함으로써 수술전후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미지 화상분석과 음성검사 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략)

  • PDF

재발성 흡인성 폐렴을 동반한 편측성대마비 환자의 제I형 갑상연골 성형술 1례

  • 남정권;남순열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6.11a
    • /
    • pp.85-85
    • /
    • 1996
  • 편측성대마비에 대한 치료방법으로 외측에 위치한 성대를 수술적으로 교정하려는 시도는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어 Teflon 등을 이용한 성대내 이물주입술, 제Ⅰ형 갑상연골 성형술 및 피열연골 내전술등의 시술들이 시행되어 왔다. 저자들은 최근 후두와 종양으로 개두술을 시행받은 후 발생한 재발성 흡인성 폐렴 및 애성을 주소로 내원한 49세 남자환자를 원인 미상의 우측 편측성 성대마비로 진단하고 제Ⅰ형 갑상연골 성형술을 시행한 후 흡인성 폐렴 및 애성 등의 증상의 현저한 호전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술전 Maximal comfortable phonation time(MPT)이 6.24초에서 술후 17초로 증가하는 등 좋은 결과를 얻은 1례를 치험 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Arytenoid Adduction as a Surgical Treatment for Hoarseness with Unilateral Vocal Cord Paralysis (편측성대마비환자에 대한 피열연골내전술)

  • 김광문;김영호;홍원표;최홍식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3.05a
    • /
    • pp.74-74
    • /
    • 1993
  • Unilateral vocal cord paralysis is induced by various causes and its effective treatment has been diversely searched out until now. Currently used treatment modalities are intracordal injection of exogenous materials such as Teflon or Silicone, and thyroplasty and so forth. But, with the above mentioned modalities, it has been not satisfactory to obtain a good postoperative results especially in cases when the glottal incompetence is very severe or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vocal cords is large. In such cases, vocal cord adduction can be accomplished by anteromedial traction of the muscular process of paralyzed vocal cord via surgical exposure resulting improvement of voice quality. Recently, authors performed arytenoid adduction in 3 cases of unilateral vocal cord paralysis to obtain a better improvement of voice quality, and experienced satisfiable postoperative results.

  • PDF

A CLINICAL EVALUATION OF 61 CASES VOCAL CORD PARALYSIS (성대마비 61례에 대한 임상적 분석)

  • 김상현;이원상;김동환;정덕희;김춘길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1.06a
    • /
    • pp.30-30
    • /
    • 1991
  • 성대마비 이비인후과 영역에서는 비교적 빈번하게 관찰되는 질환으로 대부분은 미주신경과 그 분지인 반회신경이 경정맥공에서 후두까지의 주행중에 생긴 질환에 의하여 이차적으로 발생하거나, 드물게는 윤상갑상연골 관절의 고정에 의사여 발생하게 된다. 임상적인 진단은 간접후두경이나 화이버옵틱후두경 검사법에 의하여 간단하게 내려질 수 있으나, 그 발생원인은 다양하며, 임상적인 양상 및 그에 따른 치료 원칙도 다르게 나타난다. 이에 연자들은 1986년 1월 1일부터 1990년 12월 31일까지 5년간 국립의료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한 환자중 성대마비로 진단된 환자 61례에 대한 후향적 기록 분석에 의해 성별, 원인별, 측별, 성대의 위치, 및 그에 따른 치료방향에 대하여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1)성별은 남녀비가 3:2로 남자가 많았으며, 연령별 분포는 20대에서 70대까지 비교적 균등하였으나 50대(23.0%)에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2)원인으로는 원인불명이 16례(26.2%), 갑상선수술 8례(13.1%), 폐결핵과 기관내삽관후 각각 6례(9.8%), 폐암 5례(8.2%) 순이었다. 3)마비된 성대의 측별 분포는 편측성이 51례(83.6%), 양측성이 10례(16.4%)이며, 편측성중 좌측이 37례(60.6%)로 가장 많았다. 마비된 성대의 위치는 부정주위가 33례(54%)로 가장 많았다. 4)즉 증상은 단지 애성만 있었던 례가 31례(50.8%), 호흡곤란 혹은 기도흡인등을 동반한 애성이나, 애성을 동반하지 않은 례도 있었다(3례). 증상 발현후 병원 내원까지 기간은 2개월이내가 가장 많았다. 5)16례에서 수술적 처치가 시행되었거나(9례), 혹은 자연치유가 관찰되었는데(7례) 편측성마비때 갑상연골성형술 2례, 양측 마비때 후두외접근법에 의한 피열연골절제술 4례, 레이저를 이용한 피열연골절제술 2례, 승모판 협착증에 의한 편측성 성대마비에서 개심술후 성대마비 회복 1례, 자연 치유는 7례에서 관찰되었으며 6례에서는 증상발현후 6개월이내에 회복되었다.

  • PDF

EXPERIMENTAL STUDIES ON THE EFFECT OF RLN ANASTOMOSIS REMOVAL ON PHONATION (반회신경 문합과 후윤상피열근 절제가 발성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김영모;이영구;이정식;이준열;김광문;김기령;홍원표;최홍식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1.06a
    • /
    • pp.11-12
    • /
    • 1991
  • 편측 성대마비의 음성개선을 위하여 현재까지 알려진 치료방법은 teflon 또는 silicone 주입술, 외과적 성대 내전술, 갑상연골 성형술, 신경재식술, 등이 있으며, 근래까지는 Teflon 또는 Gelform 주입술이 제일 효과적인 방법이라 알려져 있으나, 이는 음의 높낮이 조절능력의 한계가 있고, 신경재식술의 결과 역시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저자는 발성기능의 생리학적인 측면에서, 보다 효과적인 음성개선의 방법을 찾기 위하여, 사람의 후두와 비교적 유사한 특성을 가진 개를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반회신경을 절단하여 편측 성대 마비를 유발한 뒤, 동측의 유일한 외전근인 후윤상피열근을 절제후 절단된 신경을 문합하여, 성대의 외전근 작용의 소실과, 발성시에 주로 작용하는 내전근만의 작용을 유도하여, 공동운동의 차단과, 내전운동의 향상을 기대하였다. 본 실험에 앞서, 임의적으로 신경을 자극시킬 수 있는 신경자극기와, 주위조직으로부터 신경만을 분리하여 자극할 수 있는 전극을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며, 또한 성대의 발성음을 임의대로 유발시킬 수 있는 생체 내 후두발성 모형(in vivo laryngeal phonation model)을 Moore(1987, 1988)등이 발표한 모형을 토대로 자체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은 13마리의 개를, 반회신경 절단군(3 마리), 반회신경 절단 및 후윤상피 열근 절제군(3 마리), 후윤상피열근 절제군(3 마리), 반회신경 문합 및 후윤상피 열근 절제군(4 마리)등으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3 개월 후, 현수후두경, 후두 내시경, videolaryngoscopy, 신경자극 검사 등으로 성대의 내전운동 및 위치 변화의 관찰, 발성음의 음향분석 및 갑상피열근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반회신경 절단군과 반회 신경 절단 및 후윤상피열근 절제군은, 수술후 3 개월에 성대의 움직임이나 각도의 변화가 없었으며, 음향분석 결과 발성음이 아닌 잡음만이 포착되었다. 즉, 절단된 신경의 문합 없이 후윤상피열근 절제 만으로는 음성개선은 기대할 수 없었다. 2. 후윤상피열근 절제군에서는 수술 후 3 개월에 정상적인 성대의 내전운동이 관찰되었으며, 음향분석상 기본주파수 동요율 및 발성음의 강도는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즉, 반회신경이 절단되지 않은 상태에서 후윤상피 열근 만을 절제하면, 발성음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3. 반회신경을 절단후 문합하고 후윤상피열근을 절제한군 에서는 수술후 3 개월에, 성대의 정상적인 내전운동을 보였고, 음향분석상 수술직후에는 잡음만이 포착되었으나, 3 개월 후에는 잡음이 아닌 발성음을 들을 수 있었으며, 이 발성음의 기본주파수 및 강도는 수술전보다 감소되어 있었으나, 기본주파수 동요율은 증가되어 있었다. 즉 이 술식으로 인한 뚜렷한 발성음의 향상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편측 신경 절단으로 인한 성대마비시, 절단된 신경을 봉합하고 성대의 유일한 외전근인 후윤상피열근을 절제하면, 공동운동의 차단과, 내향운동의 향상으로, 음성개선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되었으며, 이 방법이 편측 성대마비 환자의 효과적인 음성개선의 치료방법의 하나로 응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