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편중확산

Search Result 3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ffects of Lewis number on hydrogen diffusion flame structure (수소 확산화염의 구조에 미치는 Lewis 수의 영향)

  • Kim, Hu-Jung;Kim,Yong-Mo;An, Guk-Yeo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21 no.9
    • /
    • pp.1126-1138
    • /
    • 1997
  • An axisymmetric laminar jet diffusion flame has been numerically modelled. The present study employs the refined physical submodels to account for the detailed chemical kinetics and the variable transport properties. It is found that preferential diffusion resulting from variable transport properties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hydrogen diffusion flame structure in term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for temperature, species concentration, thermal and mass diffusivity, Lewis number, and NO concentration. The preferential diffusion effects on the diffusion flame in the high-pressure environment are also discussed in detail.

Analysis for Local Structure of Gaseous Hydrogen/liquid Oxygen Flame at Supercritical Pressures (초임계 압력상태에서 기체수소/액체산소 국소화염구조 해석)

  • Kim, Tae-Hoon;Kim, Seong-Ku;Kim, Yong-Mo
    • Journal of ILASS-Korea
    • /
    • v.15 no.4
    • /
    • pp.182-188
    • /
    • 2010
  • Significant real fluid behaviors including rapid property changes take place where high pressure combustion devices such as rocket engines. The flamelet model is the reliable approach to account for the real fluid effects. In the present study, the flamelet equations are extended to treat the general fluids over transcritical and supercritical states. The real fluid flamelet model is carried out for the gaseous hydrogen and cryogenic liquid oxygen flames at the wide range of thermodynamic conditions. Based on numerical results, the precise discussions are made for effects of real fluid, pressure, and differential diffusion on the local flame structure.

D2D Advertisement Dissemination Algorism based on User Proximity and Density (인접성과 사용자 밀집도 정보 기반 D2D 광고 확산 알고리즘)

  • Kim, JunSeon;Lee, How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8 no.10
    • /
    • pp.2403-2408
    • /
    • 2014
  • We designate multiple target areas for the advertisement disseminations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of advertisement transmission efficiency degradation due to overlapped device-to-device (D2D) transmissions and unnecessary advertisement transmissions. We here propose an efficient advertisement dissemination algorithm based on pre-selected target areas considering user density. In our proposed algorithm, relay nodes are gradua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locations of the target areas. We mathematically analyze D2D advertisement coverages of our proposed algorithm, and compare the various simulation results of the proposed algorithm with those of the conventional algorithm according to the several simulation scenarios via intensive simulations.

대규모 공개 온라인수업 MOOC 기반의 앙트러프러너십 교육 활성화 방안 고찰 및 제언

  • Han, Min-Jeong;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1a
    • /
    • pp.27-30
    • /
    • 2017
  • 2010년 이후 대학을 중심으로 앙트러프러너십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그동안 창업과 기업가정신 관련 프로그램이 양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여 왔다. 또한, 부처들이 모여 '대학창업교육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며 그 확산은 더욱 빠르게 진행되었다. 하지만 현실은, 앙트러프러너십 전문교수자의 부족, 창업인프라 편중현상으로 인한 교육혜택의 지역편차 심화, 천편일률적이고 파편적인 교육커리큘럼, 그리고 빠른 변화의 스타트업 환경과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는 대학 내부체계 등 앙트러프러너십 교육의 전반적인 문제점이 심각하게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을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온라인플랫폼을 바탕으로 하는 앙트러프러너십 교육의 질적향상과 양적확산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이미 해외에서는 대중을 대상으로 온라인플랫폼을 통한 대규모공개수업 MOOC(이하 '무크')가 확산되고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온라인플랫폼 기반의 앙트러프러너십 교육 또한 비즈니스 범주에서 주요한 위치에 자리를 잡고 있으며, 효과성에도 좋은 결과를 내며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대규모 개방 온라인교육 수업과정인 무크에 대한 정확한 개념과 구조적 배경의 이해를 통해, 무크 현상의 본질적 가치와 의미를 발견하고 앙트러프러너십 교육에의 적용방법과 기대효과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목적한 연구의 진행을 위해 질적연구방법론을 사용하여 최신문헌 검토 및 참여관찰, 심층면담, 이해당사자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핵심키워드를 도출하여 연구의 전체적인 맥락을 구성하였다.

  • PD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omestic COVID-19 Spread and Water Usage (국내 COVID-19 확산과 용수 사용량의 상관관계 분석)

  • Jeong, Gimoon;Kang, Doo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55-55
    • /
    • 2021
  • 지난 2019년 말부터 계속해서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는 COVID-19로 인해, 인간 생활을 둘러싼 사회 및 산업 구조가 다양하게 변모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20년 2월 발생한 1차 대유행을 기점으로, 2020년 8월 2차 대유행 및 2020년 12월 3차 대유행을 겪었으며, 그 과정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화, 개인위생 권장, 사회적 거리두기 등 강력한 예방수칙들이 도입되어 왔다. 특히 COVID-19의 심각성에 따라 단계적으로 발효되는 방역대책 및 사회적 거리두기는 개인뿐만 아니라 상업, 산업 등 대부분의 생활양식을 계속해서 변화시켰으며, 다양한 인프라 시설의 운영 및 관리에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세계 각국의 연구기관에서는 이러한 봉쇄령(Lockdown) 정책의 영향으로 물관리 분야에 위기가 닥쳐올 것으로 예견하였으며, 국내의 경우 서울시상수도사업본부 조사에 따르면 가정용수 사용량이 3.4 % 증가하고, 상업 및 공공부문 용수 사용량이 25 %까지 감소하는 등 기존 물 사용 패턴과 상이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COVID-19 확산이 용수 사용량에 미치는 대표적인 영향은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변화로 구분할 수 있다. 1) 사회적 거리두기 강도에 따른 물 사용량의 급격한 증가와 감소 등 용수 이용규모의 변화, 2) 상업 및 공공부문의 물 수요에서 생활부문 물 수요로 옮겨가는 등 용수 사용처의 변화, 3) 순간 최대 물 사용시간 등 용수 사용패턴의 시간적 변화 등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별, 수요처별 용수 사용량 등의 상세한 데이터 확보가 가능한 국내 지역을 대상으로, COVID-19의 확산 및 그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단계적 시행이 용수 사용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시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대규모 재난 발생 시 사회적 대응방안에 따른 물 사용량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는 COVID-19 확산 상황에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상수도 공급방안 마련에 기여하고, 또한 지금까지 물리적 재난 대응에 편중되었던 물 위기 관리 패러다임을 사회적 재난 대응 분야까지 확장시키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tection and spread of agricultural drought warning based on news data (뉴스 데이터 기반 농업 가뭄 전조 감지 및 확산 분석)

  • Min-Jin Kim;Won-Ho Nam;Mi-Hye Yang;Ji-Wan Lee;Seong-Jo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39-339
    • /
    • 2023
  • 2018년도 연강수량은 1,386.9 mm로 평년 수준의 비가 내렸으나, 7-8월에 발생한 폭염 및 가뭄으로 인해 강원, 전남, 경북, 충남 지역에서 밭작물 중심으로 22,767 ha 피해가 발생하였다. 2019년도 연강수량은 1,171.9 mm로 평년보다 약 10% 적은 수준의 비가 내렸으며, 동일시기에 인천, 강원, 충남 지역에서 논·밭작물 중심으로 3,112 ha 피해가 발생하였다. 기후변화로 인해 강수량이 지역별로 편중되어 국지적 가뭄이 빈발하여 지역별로 가뭄의 영향, 피해, 체감 정도가 상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가뭄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뭄 모니터링과 선제적 대응이 중요하며, 현재 가뭄의 특징, 상황 등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가뭄의 피해와 영향 정도는 지역 간의 차이가 나타나 지역별로 가뭄을 체감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결과로 나타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가뭄의 발생 시기와 확산 정도를 분석하여 특보 발효 시점과 가뭄 대응 방안에 대한 기준 마련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써 활용되고 있는 빅데이터 중 비정형 데이터로 분류되는 뉴스데이터와 논·밭의 가뭄을 나타내는 농업 가뭄과 관련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농업 가뭄의 전조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전국을 대상으로 농업 가뭄에 관한 키워드 선정 후, 웹 크롤링을 통해 뉴스데이터를 수집해 논 가뭄과 밭 가뭄을 구별하여 각 지역에서 최초로 가뭄 기사가 발행된 시기와 지역별 기사의 빈도를 산출하였다. 뉴스데이터의 농업 가뭄 전조 감지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국가가뭄정보통계집에서 논 물마름 시기와 밭 시듦 시기 자료를 활용하였다. 가뭄 피해 발생시기와 관련 기사 발행 시기 비교, 농업용수 대상 비상용수 지원 자료를 활용하여 실제 농업 가뭄확산 감지 여부를 분석하여 농업 가뭄 관련 뉴스데이터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lass homepage to cultivate the right charact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의 바른 인성 함양을 위한 학급 홈페이지 설계 및 구현)

  • Kang, Dong-Sug;Moon, Wae-Shik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362-369
    • /
    • 2004
  • 인성 교육은 창의성 교육과 더불어 교육 개혁 과제의 핵심이자 새 학교 문화 창조의 밑바탕으로 일선 교육 현장에서 최우선으로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 '인간에 의한, 인간을 위한, 인간의 교육' 임을 알고 있으면서도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한 인성 교육을 등한시하고 지식을 중시하는 지식 편중의 교육 활동을 전개하는 실정이다. 오늘날 교육은 웹의 풍부한 자원의 활용으로 새로운 교육형태, 학습모형 등이 점차 확산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학생들에게 풍부한 학습환경 제공과 비례하여 극단적인 이기풍조는 여전히 우리의 삶을 위협하고 교육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적 현실로 전통적인 학습방법에서 탈피하여 사이버 공간의 학급홈페이지를 이용한 인성교육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좀더 능동적이고 시간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는 자유로운 마음열기 대화활동을 통해서 아동들의 적성과 능력을 극대화하고 자아실현의 기쁨을 느끼게 하는 올바른 심성의 장 학급홈페이지 설계 및 구현을 통해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 등 상호작용의 장으로서 그 역할을 담당하고 쉽고 친숙한 학급홈페이지의 활용면에서 있어서도 성과가 있을 것이다.

  • PDF

The Study of Improvement of Logistics Process by VMI(Vendor Managed Inventory) (VMI 개발에 의한 물류 프로세스 개선에 관한 연구)

  • Lee, Boo-Kyong;Lee, Myong-Bok;Yang, Kwang-Mo;Kang, Kyong-Sik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5.11a
    • /
    • pp.129-134
    • /
    • 2005
  • VMI(Vendor Managed Inventory)가 사회적인 관심사로 부각되고, 전 부분으로 확산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VMI의 도입적용에 관한 연구 및 문헌자료는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부족한 실정이다. VMI에 관한 연구의 대부분이 재고기법에 관한 응용연구에 편중되고, 공급체인상의 하부기능으로 일부 언급되었을 뿐, 공급체인상의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VMI의 실증연구가 이루어진 자료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VMI의 도입 구축 프로젝트추진을 계기로 VMI의 적용에 따른 물류 프로세스 개선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 PDF

Research on the Classification and Success Factors of GIS-based Business Model (GIS 기반 비즈니스모델 분류 및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장지용;한재민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599-608
    • /
    • 2001
  • 기존의 GIS는 유무선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과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하고 있으며, GIS 는 무한한 성장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GIS 기반 비즈니스는 오프라인 기업의 지원을 위한 비즈니스모델과 지도판매와 지도 ASP 에만 편중되어 있으며, 인터넷의 4개 영역 (4C: Communication, Commerce, Contents, Community)중 Commerce 영역으로 확대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GIS 산업과 비즈니스모델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GIS 기반 비즈니스모델의 성공 요인과, 문헌고찰과 실무 인터뷰를 통하여 GIS 기반 비즈니스모델 분류체계를 도출하였고, 실제 타당성이 있는지 사례연구를 통해서 알아보았다. 사례연구결과, 실질적인 GIS 기반 비즈니스모델 체계를 탐색적인 수준에서 분류하였으며, 향후 실증연구를 위해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auses of Lack of Principal Employment System Awareness and Its Improvement Plan (교장공모제의 인식 부족 원인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Lee, Sangoh;Kim, Changmin;Kwon, Youngjoon;Sim, Jiyoung;Cho, Youngjoo;Ryu, Hojoon;Lee, Giljae
    • Kore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 /
    • v.38 no.1
    • /
    • pp.41-59
    • /
    • 2017
  • The quality of education is determined by the quality of teachers, and in particular the competence of principals is important for the desirable flow of schooling. The Principal employment system was adopted as one of the educational reforms introduced by the government. However, even though it has been 10 years since the enactment of PES, the perception of that has been low. To solve this, first, government should be more active in promoting publicity for the principal. Second, the elected principal should not be concentrated only in small areas, but should spread to urban areas. Finally, principals must increase the rate at which practitioners are able to contribute substantially to public subscrip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