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편광측정

Search Result 40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Fiber-Optic Current Transformer for the Over Current Protection Relay (과전류 보호계전기용 광섬유 전류센서)

  • Song, Min-Ho;Yang, Chang-Soon;Ahn, Seong-Joon;Park, Byoung-Seok;Lee, Byou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21 no.5
    • /
    • pp.542-548
    • /
    • 2001
  • A robust, accurate, broad-band, alternating current sensor using fiber-optics is being developed as a part of optical over current protection relay system. The sensor uses the Faraday effect in optical fiber and polarimetric measurements tc sense electrical current. The current sensing coil consists of a length of twisted optical fiber and Faraday rotator mirror to suppress the linear birefringence effect. Due to its single-ended closed path structure, it can not only be easily installed to the target with great isolation from other fields in the vicinity, but the sensitivity can be increased by using multiple turns. This paper reports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sensor design and the preliminary experimental results.

  • PDF

Fiber vibration sensor using Sagnac interferometer based on polarization-diversity loop (편광상이 고리 기반 사냑 간섭계를 이용한 광섬유 진동 센서)

  • Jeong, Jun Hyeog;Lee, Yong Wo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261-126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PDLS 기반 사냑 간섭계를 사용하여 편광 간섭형 광섬유 진동 센서를 제안하였다. LD와 PD는 빠른 속도로 변하는 세기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PZT를 사용하여 1~3000 Hz까지의 주파수 진동측정이 이루어졌으며 차단 주파수는 ~2100 Hz 였다. 그리고 단위 길이와 단위 스트레인 당 위상 이동은 ${\sim}3.48mrad/({\mu}{\varepsilon}{\cdot}m$)였으며, 최소 검출 가능한 스트레인 섭동은 2000 Hz에서 ${\sim}460p{\varepsilon}/Hz^{1/2}$이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an all fiber optic gyroscope constructed with polarization maintaining fiber; (편광유지 광섬유 자이로스코프 제작 및 특성 측정)

  • 전민용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4 no.4
    • /
    • pp.487-492
    • /
    • 1993
  • A polarization maintaining fiber optic gyroscope was constructed having an optical loss of about 25 dB. Using the earth rotation rate as a reference, the long term stability of better than $3^{\circ}/hr$ and the rms short term noise of $0.6^{\circ}/hr/{\sqrt{Hz}}$ were obtained.

  • PDF

배면 유기 발광 소자의 각도에 따른 발광 패턴

  • Mok, Rang-Gyun;Ju, Hyeon-U;Han, Won-Geun;Song, Min-Jong;Kim, Tae-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95-196
    • /
    • 2009
  • 각도에 따른 배면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패턴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소자 내에서 발광한 빛은 등방성으로 퍼져 나가고 굴절률이 n인 매질과 공기의 계면에서 굴절하게 된다. 소자 내에서 굴절되어 퍼져 나온 빛의 각도에 따른 빛의 세기를 측정하였다. 또한 배면 유기 발광 소자에서의 시야각을 $10^{\circ},\;20^{\circ},\;30^{\circ},\;40^{\circ},\;50^{\circ},\;6^{\circ}$로 변화시켜 각도에 따른 발광 패턴을 알 수 있었다. 소자 내에서 발광한 빛이 소자 밖으로 퍼져 나올 때의 발광 패턴을 편광판을 이용하여 $0^{\circ}$$90^{\circ}$로 변화시켜 실험하였다. 소자의 구조는 ITO(170nm)/TPD(40nm)/$Alq_3$(60nm)/LiF(0.5nm)/Al(100nm)으로 하고, 유기물층과 음전극은 $2{\times}10^{-5}$Torr에서 증착하였다. 유기물의 증착 조건은 $2{\times}10^{-5}$torr의 진공도에서 $1.5{\sim}2.0{\AA}/s$ 속도로 열 증착하였다. 전극의 증착 조건은 $2{\times}10^{-5}$torr의 진공도에서 $1.5{\sim}2.0{\AA}/s$ 속도로 열 증착하였다. 발광 면적은 $3mm{\times}5mm$이다. 소자의 각도에 따른 발광 스펙트럼 측정은 USB-2000을 사용하였다. 소자 밖으로 나오는 편광되어진 빛을 측정하기 위하여 편광판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PDF

A new, hybrid, heterodyne, fiber-optic electric field sensor scheme and its applications (I/Q 변조 풀이 방식의 헤테로다인 간섭계를 이용한 미소 전기장 및 복굴절 측정)

  • 윤신영;조규만;이용산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8 no.2
    • /
    • pp.161-164
    • /
    • 1997
  • A new hybrid, heterodyne, fiber-optic electric field sensor scheme is presented. In this scheme, a dual polarization, dual frequency, stabilized He-Ne laser is used for the light source of the interferometer, Probe beam is delivered to the sensor head using polarization maintaining fiber. In the sensor head, $LiTaO_3$ electro-optic crystal is used for sensing element. Phase retardation is induced on the dual frquency, dual polarization probe beam due to applied electric field across the crystal. Induced phase retardation is demodulated by in-phase and quadrature demodulation technique. In this way, we can obtain optimum sensitivity for electric field measurement regardless a quasi-static phase difference between two polarization components.

  • PDF

표준기용 Spectroscopic Ellipsometer 제작

  • 조용재;조현모;김현종;신동주;이윤우;이인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Crystallographic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38-39
    • /
    • 2002
  • Spectroscopic ellipsometer(SE)는 박막의 두께, 굴절률, 흡수율, 에너지 갭, 결정상태, 밀도, 표면 및 계면의 거칠기 등에 관한 유용한 정보들을 제공한다. (1-3) SE는 빛을 탐침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비파괴적이고 비접촉식 박막물성 측정방법이며 편광변화에 대한 상대적 물리량을 측정함으로써 정밀도와 재연성이 매우 높은 장점들을 갖고 있다. 따라서 SE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평판 디스플레이, DVD와 CD와 같은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제작하는 공정에서 박막에 관련된 공정계측장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차세대 반도체 소자 개발에 관한 연구 등(4-6)에서는 수 nm 두께의 다양한 초박막들에 관한 물성연구가 주관심사이기 때문에 최고의 성능을 갖는 계측장비와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림과 같은 편광자(polarizer)-시료(sample)-검광자(analyzer)로 구성된 PSA구조의 표준기용 rotating-analyzer SE를 제작하게 되었다. 현재까지 개발된 ellipsometer의 수많은 종류들 중에서 null 형, rotating element 형, 그리고 phase modulation 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element란 polarizer, analyzer, 또는 compensator와 같은 광 부품들을 지칭하는데 이 중 하나 또는 둘을 회전시키기 때문에 그 종류 또한 매우 많다. 이들 중에서 회전검광자형 ellipsometer는 입사각 정렬이 우수하고, 파장에 무관한 편광기만 사용하므로 비교적 넓은 광량자 에너지영역에서 정확도 높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박막 상수의 정밀측정에 가장 적합하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작된 ellipsometer에는 간섭계 장치, polarizer tracking,(2) zone average,(1) 그리고 low-pass filter 등을 사용함으로써 측정오차를 최대한 줄이는 노력을 하였다.

  • PDF

Characteristics on Polarimetric Radar Responses of Vegetation Areas Using Polarimetric SAR Image Data (Polarimetric SAR 영상자료를 이용한 식생지역의 산란특성 고찰)

  • Kang Moon-Kyung;Yoon Wang-Jung;Kim Kwang-Eun;Choi Hyun-Seok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257-26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SIR-C MLC 영상자료와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중분류 토지피복도 자료를 참조하여 식생피복지역으로 예상되는 논, 밭 지역으로 분류된 농업지역과 활엽수림, 침엽수림, 혼효림 지역으로 분류된 산림지역에 대한 산란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편광 반응특성을 측정하였다. 편광반응특성분석결과 농업지역과 산림지역의 거동형태는 구형 산란체나 편평한 면에서의 거동특성을 나타냈으며, 측정된 HH, VV, HV 편광매개변수의 후방산란계수 값들은 각각의 지역에서 다른 경향을 보였다.

  • PDF

Simulation of Leggett-Garg Inequalities Using a Heralded-single-photon Source (예고된 단일 광자 광원을 이용한 레겟-가르그 부등식 모사)

  • Kim, Su Hyun;Moon, Han Seb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32 no.1
    • /
    • pp.29-33
    • /
    • 2021
  • We have experimentally simulated the violation of the Leggett-Garg inequality (LGI) using a heralded-single-photon source via spontaneous parametric down-conversion (SPDC) in a periodically poled potassium titanyl phosphate (PPKTP) crystal. We measured the polarization fringe as a function of the angle of the linear polarization of the photons, and analyzed the LGI according to n measurement. Simulation results for LGI based on the polarization of the heralded single photon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oretical calc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