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펙틴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2초

펙틴의 곁사슬에 의한 유변학적 성질에 대한 모델 (Modeling of Rheological Properties of Pectins by Side Branches)

  • 신해헌;황재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83-589
    • /
    • 2002
  • 펙틴에서 곁사슬의 정도가 다르게 제조된 사과펙틴과 토마토펙틴을 이용하여, 낮은 층밀림속도에서부터 높은 층밀림속도까지 적용이 가능한 유변학적 모델을 구하고자 하였다. 지수법칙모델, Cross 모델, Carreau 모델을 실험값에 비교하여 본 결과, Carreau 모델이 가장 적합하였다. 모델식에서 얻어진 층밀림속도 0에서의 점도$({\eta}_0)$는 곁사슬의 정도가 큰 사과펙틴의 경우에는 곁사슬이 많은 sample II가 적은 sample I보다 크게 나은 반면에 곁사슬이 적은 토마토 펙틴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그 값은 사과펙틴보다 크게 나타났다. 모델식의 계수를 펙틴농도에 대한 지수함수로 표현하여 펙틴에서 곁사슬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즉, 곁사슬이 많은 사과펙틴은 토마토펙틴에 비해 유변학적 성질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모델로 설명할 수 있다.

한국산 사과의 품종별 펙틴물질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ctic Substances of Korean Apple Varieties)

  • 임화재;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5-70
    • /
    • 1986
  • 수확적기의 한국산 사과품종별 총펙틴함량과 각 펙틴 fraction 함량을 알아보고 2% Sodium hexa metaphosphate (SHMP)로 추출한 펙틴의 품종간 그리고 시판 펙틴과의 성분을 비교하였다. Nitta 방법에 의해 정량한 사과의 품종별 펙틴함량은 건조중량으로 1.76∼4.0%로 품종간에 차이를 보여 국광이 4.0%로 가장 높았으며 스퍼 얼리 브래이스 골덴 딜리셔스, 후지, 홍옥의 순이었다. 각 펙틴 fraction을 보면 용해성 펙틴함량은 국광이 가장 낮았고 스퍼 얼리 브레이스와 골덴 딜리셔스가 가장 높았다. 한편 스퍼 얼리 브레이스와 골덴 딜리셔스의 불용성 펙틴함량이 낮은 것으로 보아 이 두 사과는 숙성초기에 펙틴물질이 많이 변하는 것 같다. 2% SHMP로 추출한 총펙틴질의 성분 분석에서 회분함량은 사과품종간에 차이를 보이며 시판 펙틴보다 높았다. Anhydrogalacturonic acid (AUA) 함량은 시판 펙틴보다 낮으며 품종간에 범위가 다양했다. 메톡실함량은 시판펙틴보다 높으며 모든 사과품종이 70% 이상의 에스터화정도를 가졌다.

  • PDF

한국산 감귤류 폐과피 내의 펙틴함량과 펙틴의 특성에 관한 연구 (The Content and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Pectin in Tangerine Peel)

  • 문수재;손경희;윤선;이명해;이명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3-66
    • /
    • 1982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감귤류 폐과피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온주 밀감의 과피에서 펙틴을 추출하여 펙틴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추출한 펙틴과 펙틴 겔의 특성에 대해 검토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온주밀감의 과피와 albedo 내의 펙틴함량은 건물중량으로 각각 11.52%, 9.3%이었다. 과피에서 추출한 펙틴의 equivalent weight, 메톡실 함량, DE는 각각 596, 13.41%, 82.18%로 고메톡실 펙틴이었다. 아세틸함량은 0.125%로 겔 형성을 방해하는 범위는 아니었다. 점도와 분자량은 본 실험에 사용한 상품 펙틴에 비하여 높았으며, anhydrouronic acid함량은 98.4%로 매우 순도가 높았다. 추출한 펙틴의 젤리 등급은 138.1로 상품 펙틴에 비해 높아 우수한 겔 형성능력을 지닐 것으로 예측되었다. 겔의 텍스쳐는 강도, 응집성, 접착성 및 gumminess 모두 추출한 펙틴이 낮았다.

  • PDF

유자로부터 펙틴의 추출 및 이화학적 특성 (Extrac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Pectin in Citron Peel)

  • 박수미;이현희;장해춘;김인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69-573
    • /
    • 2001
  • 본 연구는 유자 과즙 제조시 부산물로 생기는 유자박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펙틴 물질을 추출하여 그 수율을 측정하였고, 추출된 펙틴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추출용매로서 무기산은 HCl을, 그리고 유기산은 citrate 와 tartrate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용매에 대하여 추출비율을 달리하여 펙틴을 추출한 결과 1:20이 가장 좋은 비율(건조 유자박: 용매, w/v)로 나타났으며, 사용한 추출용액의 최적 농도는 무기산인 경우는 0.05N, 유기산인 경우는 0.1N이었다. 펙틴 추출과정에서 펙틴에 잔존하는 당을 제거하기 위해 95% ethanol로 1차 펙틴을 침전시킨 후, 65% ethanol로 6회 세척하였다. 펙틴의 추출 수율은 0.05N HCl은 18.7%, 0.1N citrate는 15.5%, 그리고 0.1N tartrate는 11.4%이였다. 추출한 펙틴의 DE는 42.97~47.55%로 low methoxyl pectin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intrinsic viscosity는 0.94~2.63의 범위였다. 분리한 펙틴의 당조성은 무기산으로 추출된 펙틴(4.2~4.7%)이 유기산으로 추출된 펙틴(15~19%)에 비하여 arabinose가 적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rhamnose, xylose, glucuronic acid, galacturonic acid, galactose 그리고 glucose의 당 함량은 추출된 세 종류의 펙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효소에 의한 사과 세포벽 펙틴 추출 (A Study on Pectin Extraction from Apple Cell Wall by Enzyme)

  • 최동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13-418
    • /
    • 1996
  • 식물 세포벽으로부터 펙틴을 추출하는데 있어 펙틴의 중합도를 높인 고 기능의 펙틴을 추출하기 위해 펙틴의 효소추출법을 사용하여 기존의 고온 산처리 펙틴 추출법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불용성의 WAIP로부터 일련의 산 추출 공정과 hemicellulase를 이용한 일련의 효소 추출 공정을 거친 결과, 추출물의 수율은 효소 추출법이 더 높았다. 2. 효소 추출법에 있어 추출 조건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가며 수율을 검토한 결과, 최적의 추출 조건은 hemicellulase 1.5g을 24hr동안 38$^{\circ}C$에서 반응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3. 펙틴의 주요 성분인 galacturonic acid 함량으로 추출물의 펙틴 순도와 수율을 비교한 결과 산 추출물에 비해 효소 추출물은 수율은 높은 대신 순도가 낮았고 메톡실 함량은 비슷하였다. 4. 효소 추출법에서 추출한 펙틴물질은 중성당 분석, GC, HPLC 등을 통해 성분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고기능 펙틴을 추출할 수 있는 조건도 찾고, 그를 통해 정확한 식물 세포벽 모델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한국산(韓國産) 감귤과피(柑橘果皮)의 효율적(效率的)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펙틴, 헤스페리딘, 나린진의 함량(含量)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Korean Citrus Peel Waste -II. Contents of Pectin, Hesperidin and Naringin-)

  • 장호남;남경은;허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51-254
    • /
    • 1977
  • $60^{\circ}C$의 열풍으로 1시간 동안 유속 160 fpm의 속도로 건조한 감귤과피에서 펙틴, 헤스페리딘, 나린진을 추출하여 페과피의 효율적 이용을 도모하고저 하였다. (1) 추출된 펙틴의 함량은 전 펙틴질(온주밀감 26.0%, 하밀감 : 28.5%)로 가장 높았고 용해 펙틴질의 제일 낮았다(온주 : 13.5%, 하 : 15.6%). 제3의 방법(pH 1.5에서 물로 추출 후 이소푸로필 알콜로 침전)에 의한 펙틴 함량은 전 펙틴질과 용해 펙틴질의 중간 정도였다(온주 : 18.1%, 하 : 20.8%). 무수 유론산의 함량은 제3의 방법에 의한 펙틴(온주 : 92.0%, 하 : 90.3%)에 가장 높았으며 용해 펙틴질에 80%(온주및 하밀감), 외국제 (Sunkist Groups, 미국)의 경우 71.6% 및 전 펙틴질의 경우가(온주 : 58.0%. 하 : 63.4%) 제일 낮았다. (2) 전 펙틴질의 메톡실 함량이 가장 낮았고(온주 : 4.81%. 하 : 4.88%) 다른 펙틴들과 커다란 차이는 없었다(5.27%-7.20%). (3) 젤리의 강도는 제3의 방법에 의한 펙틴의 경우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외제 펙틴, 용해 펙틴질, 전 펙틴질의 순서였다. (4) 온주밀감 과피의 헤스페리딘 함량은 5.07%(건조중량비)였고 하밀감 과피의 나린진 함량은 3.03%(건조중량비)였다.

  • PDF

Exo-polygalacturonase를 이용한 사과박의 펙틴 추출 (Extraction of Pectin with Exo-polygalacturonase from Apple Pomace)

  • 이승철;육현균;배성문;황용일;최정선;조용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8-73
    • /
    • 1999
  • 사과박에서 WAIP의 함량은 32.5%로 추출되었으며, 산처리를 통한 펙틴 추출수율은 약 8%로 나타났다. EPG는 불용성의 프로토펙틴을 수용화시켜 펙틴을 생산하는 효소로 최적조건시 높은 수율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EPG를 이용하여 펙틴추출 조건을 pH, 시간, 온도, 효소 첨가량 등을 조사하였다. 먼저 최적조건을 조사한 결과 pH 7, 60시간, $45^{\circ}C$로 그 추출률은 27.1%로 측정되었다. 펙틴의 순도를 측정한 결과 산 추출 펙틴은 75.7%이었고, 효소를 이용하여 추출한 펙틴은 80.1%로 나타났다. 또한 methoxyl 함량을 측정한 결과 산 추출 펙틴은 2.44%, 효소 추출 펙틴은 6.36%로 저 methoxyl 펙틴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효소 추출물의 경우 저 methoxyl 펙틴으로 설탕을 전혀 첨가하지 않아도 2가 이상의 금속이 존재하면 겔의 망상구조를 만들 수 있으므로 저 칼로리 식품에 대한 겔화제로서 이용이 기대된다.

  • PDF

가열에 의한 고구마 펙틴질의 변화 (The Changes of Pectic Substances in Sweet Potato Cultivars During Baking)

  • 이경애;신말식;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21-425
    • /
    • 1985
  • 세품종의 고구마 천미, 신미, 원기의 조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175{\sim}180^{\circ}C$에서 30분간 가열하여 가열 전후의 고구마의 수분함량, 알콜 불용성 고형분 함량, 전분함량, 경도 및 수용성펙틴, 메타인산 가용성 펙틴, 염산 가용성 펙틴을 측정하였고 polygalacturonase 활성도 비교하였다. 가열중에 고구마의 펙틴질의 조성은 염산 가용성 펙틴이 수용성펙틴과 메타인산 가용성 펙틴으로 변하였다. 분질 고구마인 원기는 수분함량이 가장 낮았으며 알콜 불용성 고형분 함량과 경도가 높았다. 또한 원기의 polygalacturonase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가열 후에 염산 가용성 펙틴 함량의 잔존율도 높았다.

  • PDF

배박에서 펙틴의 추출을 위한 Exo-polygalacturonase의 반응조건 검토 (Investigation of Reactive Conditions to Extract Pectin with Exo-polygalacturonase from Pear Pomace)

  • 육현균;최진호;조용진;하정욱;황용일;이승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971-976
    • /
    • 1999
  • WAIP에 존재하는 총 galacturonic acid의 함량은 34.6%로 측정되었으며, 산처리를 통한 펙틴 추출수율은 약6.2%로 나타났다. EPG는 불용성의 프로토펙틴을 수용화시켜 펙틴을 생산하는 효소로 최적조건시 높은 수율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EPG를 이용하여 펙틴추출 조건을 온도, 시간, pH, 효소 첨가량 등을 조사하였다. 먼저 최적조건을 조사한 결과 $60^{\circ}C$, 36시간, pH 7.8로 그 추출률은 23.2%로 측정되었다. 기질과 효소 반응 최적비를 측정한 결과 10:1(w/w)에서 23.4%로 가장 높은 추출 수율을 나타내었다. 펙틴의 순도를 측정한 결과 산 추출 펙틴은 71.7%이었고, 효소를 이용하여 추출한 펙틴은 34.7%로 나타났다. 또한 methoxyl 함량을 측정한 결과 산 추출 펙틴은 5.0%, 효소 추출 펙틴은 0.7%로 저 methoxyl 펙틴으로 나타났다. 한편, 추출된 펙틴의 평균 분자량은 효소 추출 펙틴의 경우 $2.5{\times}10^{3}$이었으며, 산 추출 펙틴의 경우 $8.4{\times}10^{3}$으로 나타나 분자량이 적은 펙틴이 추출되었다.

  • PDF

밀감 가공부산물에서 추출한 펙틴의 특성 (Properties of Pectin Extracted from By-product in Citrus Processing)

  • 박용곤;강윤한;차환수;김흥만;석호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59-664
    • /
    • 1996
  • 밀감 가공부산물에서 추출한 펙틴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알콜불용성 고형물(ASS)의 함량은 albedo층이 18.1%로 가장 높고, pulp가 5.7%로 가장 낮았다. AIS 구성 다당류 중 펙틴은 pulp와 albedo층이 각각 40.5% 및 35.2%로 구성되어 있어 펙틴 추출용으로서 좋은 소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 펙틴 함량은 부위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대체로 AIS에 대해 30% 내외 이었으나, 가용성 펙틴 중 염산 가용성 펙틴의 경우에는 flavedo층이 14.0%로 가장 높고, pulp가 4.4%로 가장 낮았으며, 염류 가용성 펙틴의 경우에는 pulp부위가 15%임 에 비해 과피는 7% 정도로서 부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0.05N-HCI을 사용하여 $85^{\circ}C의$ 열탕에서 펙틴을 추출한 결과 60분의 가열처리로 90%이상의 펙틴이 용출되었으며, microwave의 경우 5분간 2회 조사시킴에 의해 90% 정도 추출되었으나 부위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고, 이들 펙틴의 에스테르화도에 있어서는 microwave 처리구의 것이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추출 펙틴의 중성 당 조성을 조사한 결과 rhamnose, arabinose, galactose, glucose 및 xylose로 구성되고 있고, 이중 galactose가 60~78% 정도를 차지한 반면 xylose는 5% 이하이었다. 펙틴의 분자량 분포를 Sepharose CL-4B를 이용,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조사한 결과 부위별에 따른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pulp의 경우 분리 피크가 2개로 나타나 pulp를 구성하는 펙틴은 분자량이 높은 것과 이보다 낮은 두 group으로 구성되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