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펙티나제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면/키토산 혼방섬유의 펙티나제 처리시 계면활성제의 영향 (Effects of Surfactants on Pectinase Treatment of Cotton/Chitosan Blends)

  • 송유선;김혜림;송화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965-1970
    • /
    • 2009
  • 본 연구는 면/키토산 혼방섬유에 펙티나제 처리시 계면활성제 전처리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감량률, 흡수속도, 염색성, 인장강도, 필링성 및 표면형태를 살펴보았다. 계면활성제 전처리 후 펙티나제 처리시 감량률은 약 1.5%였으며, 흡수속도는 계면활성제 전처리에 의해 크게 향상되었다. 인장강도와 필링성 측정결과 계면활성제 전처리에 따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표면관찰 결과, LAS 전처리 후 펙티나제 처리한 면/키토산 혼방섬유의 표면에 계면활성제가 흡착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면/키토산 혼방섬유의 펙티나제 처리시 계면활성제 전처리는 면/키토산 혼방섬유의 흡수성과 염색성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펙티나제 효소의 면섬유 정련 공정에의 응용 (Bioscouring of Cotton with Pectinase Enzyme)

  • 김재원;홍현필;최은경;김성동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82-385
    • /
    • 2001
  • 일반적으로 호발, 정련, 표백으로 이루어지는 전처리(preparation) 공정은 섬유자체의 불순물 및 제사시의 유제, 제직시의 호를 제거하여 섬유의 흡수성과 백도를 높이고 그 화학조성을 균일하게 하여 염색 및 가공이 최적의 조건에서 균일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공정을 말하며, 전처리 공정을 거친 원단 상태의 품질이 다음 단계의 염색을 성공적으로 마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실제로 전처리 결과의 미습함이 염색불량 원인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중략)

  • PDF

저마직물의 펙티나제 정련 시 황산나트륨의 영향 (Effect of Sodium Sulfate on Ramie Fabrics Treated with Pectinase)

  • 박소영;송화순;김인영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0-228
    • /
    • 2010
  • This study examines the scouring effect of pectinase on ramie fabric and influence of sodium sulfate as an activator for pectinase. The scouring effects were measured by the weight loss and pectin contents. SEM, weight loss, stiffness, moisture regain and dye ability of ramie fabric teated with pectinase/sodium sulfate were also measured. When ramie fabrics were desized with $\alpha$-amylase, the optimum conditions were pH 6.5 at $60^{\circ}C$ for 80 min with 1%(o.w.f) $\alpha$-amylase concentration. When ramie fabrics were scoured with pectinase, the optimum conditions were pH 8.5 at $55^{\circ}C$ for 30 min with 10%(o.w.f) pectinase concentration. Addition of sodium sulfate improved enzyme activity significantly, which increased proportionally with increasing sodium sulfate concentration. When 50 g/l of sodium sulfate was added, the surface became cleaner compared to the enzyme treatment without salt: weight and tensile loss, moisture regain and dyeability of the treated fabrics increased, while pectin contents and stiffness decreased. Therfore, sodium sulfate was effective activator for the pectinase treatment of flax fi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