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페놀수지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2초

유리분말 및 고무 충진 페놀수지의 열안정성 및 Glass Braid/페놀수지 복합재료의 동역학적 열특성 (Thermal Stability of Glass Powder and Rubber-Filled Phenolic Resins and Dynamic Mechanical Properties of Glass Braid/Phenolic Composites)

  • 윤성봉;조동환;이건웅
    • 접착 및 계면
    • /
    • 제8권4호
    • /
    • pp.14-2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페놀수지의 열안정성 그리고 glass braid/페놀수지 복합재료의 동역학적 열특성에 미치는 유리분말 및 액상 니트릴고무(NBR)의 영향을 열중량분석기와 동역학적 열분석기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용성 페놀수지에 충진된 유리분말과 NBR은 페놀수지의 열안정성과 복합재료의 저장탄성률 그리고 tan ${\delta}$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유리분말의 충진은 페놀수지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반면, NBR의 존재는 특정 온도영역에서 페놀수지의 중량감소를 초래하였다. 충진제의 유 무에 따른 페놀수지의 열안정성은 경화온도뿐만 아니라 경화시간에도 의존하였다. 스트립형태의 glass braid/페놀수지 복합재료의 저장탄성률과 tan ${\delta}$의 변화는 유리분말과 NBR이 혼합된 매트릭스의 도입과 경화조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다.

  • PDF

철도차량 내장재료용 페놀수지의 내열특성 (Fire Characteristics of Phenolic Resin for Interial Materials of Passenger Train)

  • 이철규;이덕희;정우성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29-34
    • /
    • 2004
  • 철도차량의 내장재료로 사용되는 페놀수지의 laminate Panel과 sandwich panel의 화재특성을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착화시간, 열방출율과 일산화탄소방출량을 비교, 조사하였다. 또한 기존 철도차량용 내장재료로 사용된 불포화 폴리에스터와 페놀수지와의 화재특성을 비교하였다. 페놀수지의 중량감소 및 열분해능을 DSC & TG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콘칼로미터 실험결과 착화시간, 열방출율 및 일산화탄소 생성량은 50kW 복사조건에서 더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동일한 복사열소건 하에서는 sandwich-페놀수지가 laminate-페놀수지보다 더 빨리 착화되었다. 기존 철도차량에 적용되었던 불포화 폴리에스터와 페놀수지와의 비교시험 결과 페놀수치의 화재성능이 발열량 및 일산화탄소 방출 모두에서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세역학시험법과 전기저항 측정을 이용한 탄소섬유/페놀수지 및 탄소나노튜브-페놀수지 복합재료의 계면특성 평가 (Interfacial Evaluation of Single-Carbon Fiber/Phenolic and Carbon Nanotube-Phenolic Composites Using Micromechanical Tests and Electrical Resistance Measurements)

  • 왕작가;권동준;구가영;박종규;이우일;박종만
    • 접착 및 계면
    • /
    • 제11권4호
    • /
    • pp.149-154
    • /
    • 2010
  • 단일 탄소섬유/페놀수지 및 탄소나노튜브-페놀수지 복합재료의 계면적 특성을 젖음성과 함께 전기저항 측정 및 미세역학시험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순수 페놀수지 및 탄소나노튜브-페놀수지 복합재료의 Broutman시편을 사용한 압축강도는 인장강도와 비교하였다. 탄소나노튜브-페놀수지 복합재료의 접촉저항은 2점 및 4점법에 의한 경사형 시편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동적접촉각에 의한 표면에너지와 젖음성은 Wilhelmy 플레이트 법으로 측정하였다. 표면에서 탄소나노튜브가 불균일한 미세구조로 형성되므로, 동적접촉각은 90도 이상의 소수성을 나타내었다. 탄소나노튜브-페놀수지 복합재료는 보다 나은 응력전달 효과에 기인하여 순수 페놀수지보다 더 큰 겉보기 강성도를 보여주었다. 단일 탄소섬유와 탄소나노튜브-페놀수지 복합재료간의 접착일, $W_a$은 탄소나노튜브 첨가로 인한 점도 증가 때문에, 순수 페놀수지 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마이크로 풀 아웃 시험에서 단일 탄소섬유의 미세파손 형태와 일치함을 보여 주었다.

석유계 피치가 첨가된 고온 탄소복합재용 페놀수지의 열 유변학적 거동 연구 (Thermo-rheological behaviors of Phenolic Resins Blended with Petroleum-based Pitches for High Temperature Carbon Composites)

  • 양재연;국윤수;서민강;김병석
    • Composites Research
    • /
    • 제33권6호
    • /
    • pp.329-33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각각에 다른 연화점을 갖는 석유계 피치의 열 유변학적 특성을 연구하였으며, 이를 함침용 페놀수지에 석유계 피치를 첨가하여 B-stage 형태의 페놀수지/석유계 피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연화점이 다른 석유계 피치는 QI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피치의 유동성이 감소하였고, 고체의 점탄성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다른 연화점을 갖는 석유계 피치를 페놀수지에 첨가함으로써, 페놀수지의 경화거동과 열 유변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을 때, 다른 연화점의 석유계 피치를 첨가함에 따라 페놀수지의 경화속도 및 경화거동을 조절할 수 있었으며, 이 중 P-Pitch 2가 첨가된 페놀수지 혼합물의 경우 동일한 경화 온도조건에서 다른 혼합물에 비해 유동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폴리우레탄으로 강인화한 페놀수지와 목분 복합체의 물성 (The Properties of Polyurethane Toughened-Phenolic Resin and Wood Powder Composites)

  • 손원근;박수길;김영철;신동근
    • 공업화학
    • /
    • 제9권2호
    • /
    • pp.238-242
    • /
    • 1998
  • 복합체 제조의 최적조건을 얻기 위해 페놀수지와 목분의 함량을 변화시켜 제조하고 그들의 기계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페놀수지의 함량이 45 wt%일 때 가장 높은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페놀수지와 목분 복합체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 페놀수지의 개질제로서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였다. Isocyanate 작용기를 갖는 폴리우레탄은 페놀수지와 잘 혼합되지 않기 때문에 상용성을 개선하기 위해 페놀 blocked 폴리우레탄을 합성하였다. 이들을 첨가한 복합체는 개질제 함량이 5 wt%에서 최대의 기계적 강도를 나타냈다. 또한 $210^{\circ}C$에서 경화된 복합체의 기계적 강도가 $150^{\circ}C$에서 경화된 것보다 우수하였다.

  • PDF

테르펜 개질 페놀 수지 구조에 따른 배합고무 물성 변화 (Change of Physical Property of Rubber Compound by Terpene Modified Phenolic Resin Structure)

  • 김건옥;김도형;송요순
    • 공업화학
    • /
    • 제31권3호
    • /
    • pp.310-316
    • /
    • 2020
  • 테르펜 개질 페놀 수지는 타이어의 주행 안전성과 관련 있는 웨트 트랙션과 연비와 관련된 구름저항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 시험은 테르펜 개질 페놀 수지의 기본 구조가 각각 알파 피넨, 베타 피넨, 델타 리모넨으로 달리한 수지를 타이어 트레드 배합물에 첨가하여 알킬 페놀 수지의 배합물과 물성 차이를 비교하였다. 알킬 페놀 수지는 웨트 트랙션과 관련 있는 0 ℃에서 탄젠트 델타가 테르펜 개질 페놀 수지와 큰 차이가 없지만 구름저항과 관련 있는 80℃에서 탄젠트 델타가 높게 나타나 연비 개선 효과가 적었다. 테르펜 개질 페놀 수지 중 베타 피넨은 웨트 트랙션과 연비 개선 효과가 다른 수지에 비해 고르게 나타났으며, 델타 리모넨 수지는 웨트 트랙션 개선효과가 가장 좋았고, 인장강도 및 마모 성능은 알킬 페놀 수지가 비교적 높게 나왔다. 모든 테르펜 개질 수지는 구름저항에서 알킬 페놀수지보다 우수하여 연비 개선효과 좋다고 할 수 있으며, 블랭크에 비해 다른 특성도 나아지는 효과를 보였다. 이 시험에서 사용된 페놀 수지의 특성을 참고하여 타이어 컴파운드를 배합할 때 개질된 테르펜 페놀 수지를 선택하면 웨트 트랙션, 구름저항 등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한 컴파운드를 만들 수 있다.

단열재용 페놀폼의 물성과 열적특성 (Properties and Thermal Characteristics of Phenol Foam for Heat Insulating Materials)

  • 김동권;이수복
    • 공업화학
    • /
    • 제17권4호
    • /
    • pp.357-36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단열재로서의 페놀수지(PF) 발포폼의 물성과 응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페놀수지 발포폼의 밀도는 $0.030g/cm^3$를 나타내었고, 열전도율은 $0.026kcal/m.h.^{\circ}C$를 나타내었다. 또한 페놀수지 발포폼은 $500^{\circ}C$로 1 h 동안 열을 가했을 경우 약 71.7 wt%가 휘발되었다. 그리고 페놀수지 발포폼의 화학구조는 단열재로서의 중요 물성인 closed cell 구조형태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제조된 페놀수지 발포폼은 단열소재로서의 우수한 물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탄소섬유-페놀수지 및 안정화 PAN섬유-페놀수지 복합재료의 열주기 산화저항 (Thermal Cycling Oxidation Resistance of Carbon Fiber-Phenolic and Stabilized PAN Fiber-Phenolic Composites)

  • 조동환;안영석;이상철;윤관한;민병길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7권10호
    • /
    • pp.838-844
    • /
    • 1997
  • 폴리아크릴로나트릴(PAN)계 탄소섬유 및 안정화 PAN섬유를 사용하여 제조한 페놀수지 복합재료의 열주기 산화저항성에 섬유표면의 인산코팅 유.무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 복합재료의 열주기 산화저항성은 열중량분석기의 원리를 응용하여, 공기중에서 hot zone과 cold zone을 주기적으로 반복이동하는 열충격조건에 노출되면서 초래되는 복합재료의 중량변화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시험변수로는 hot zone에 노출된 온도, 시간 및 싸이클횟수를 선정하였다. 이 시험방법은 비교적 단순하며, 작은 크기의 시편으로도 가능하고, 중량변화가 온-라인 모니터에서 직접 감지되므로 데이타의 신뢰성이 \ulcorner다. 각 시험조건에서 인산코팅한 섬유를 사용한 복합재료가 그렇지 않은 재료보다 고온에서의 높은 산화저항성 때문에 우수한 열주기저항성을 보여 주었다. 또한 인산코팅의 존재 여부가 열주기시험 후의 탄소섬유-페놀수지 및 안정화 PAN섬유-페놀수지 복합재료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PDF

Amberlite XAD 수지에 대한 일치환 할로 페놀들의 흡착거동에 관한 연구 (Adsorption Behavior of Monosubstituted-Halophenols by Amberlite XAD Resins)

  • 이택혁;이대운
    • 대한화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67-279
    • /
    • 1990
  • Amberlite XAD-2 및 XAD-7 수지에 대한 페놀과 그 할로겐 일치환체들에 대한 흡착성을 분포계수를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XAD 수지에 대한 페놀의 흡착은 Langmuir 등온흡착으로 설명될 수 있었으며, 이 때의 흡착은 분자의 크기에 따르는, 즉 분산상호작용에 기인하는 전형적인 물리흡착임을 알았다. 고분자 합성수지에 대한 페놀류의 흡착에너지는 Lennard-Jones potential로 계산하였다. 이 때 고분자 수지의 반지름은 수지의 최소기본단위의 van der Waals 부피로부터 계산하였으며 페놀류의 분자 반지름도 같은 방법으로 구하였다. 페놀유도체들의 흡착성은 각 수지에 대한 시료의 Stacking factor (F)-고분자 수지와 페놀류사이의 van der Waals 부피로부터 구한 평형거리의 보정인자-로부터 흡착에너지를 구하고 뱃치법으로 측정한 흡착엔탈피값과 비교함으로써 설명할 수 있었다. 각 수지에 대한 페놀이온의 흡착엔탈피는 쌍극자 작용력이나 하전-쌍극자 상호작용보다 분산상호작용이 주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우레탄 수지에 의한 헤라크론/페놀수지 복합재료의 방탄특성 향상연구 (Enhanced Ballistic Property of Heracron/phenol Composites via Polyurethane Modification)

  • 윤태호;육종일;백종규;오영준
    • 접착 및 계면
    • /
    • 제12권3호
    • /
    • pp.94-98
    • /
    • 2011
  • 열경화성 및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첨가에 따른 헤라크론/페놀수지 복합재료의 방탄성능 변화를 고찰하였다. 먼저 페놀 또는 우레탄 수지를 헤라크론 직조섬유에 스프레이 코팅하여 프리프레그를 제조하고, 이들의(페놀/우레탄) 비율을 변화시켜 16층의 복합재료를 $150^{\circ}C$에서 $150kg/cm^2$의 압력으로 25 min간 성형하여 제조하였다. 방탄성능은 1.1 g 모의파편탄(22 cal)으로 분석하였으며, 우레탄 수지의 종류 및 페놀/우레탄 프리프레그의 비율에 따른 V50 변화를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