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펌프효율

Search Result 615, Processing Time 0.05 seconds

Integrated Control Algorithm of Hydraulic Pump with Electric Motor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of Electric Excavator (전기굴삭기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유압펌프-전동기 통합 제어 알고리즘)

  • Lee, Jeeho;Lee, Jihye;Lee, Hyeongcheol;Oh, Chang Eu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9 no.2
    • /
    • pp.195-201
    • /
    • 2015
  • An electric excavator consumes battery energy to drive an electric motor attached to a hydraulic pump to generate hydraulic power. In a conventional hydraulic excavator, the hydraulic pump is controlled by regulators, which are used to optimize the diesel engine efficiency. Because of a lack of battery energy capacity, an electric excavator controller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electric motor efficiency but also the hydraulic pump efficiency. Thus, electric motor and hydraulic pump efficiency maps were constructed. An optimal operating map (OOM) was created based on the most efficient operating points under each input condition. An integrated control algorithm controlled the speed of the electric motor and displacement of the hydraulic pump according to the OOM. To confirm the utility of this algorithm, a model-in-the-loop simulator for the algorithm with an electric excavator was established.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integrated control algorithm improved the energy efficiency of an electric excavator.

건식진공펌프 개발 국내외 동향

  • No, Myeong-Geun;Hwang, Tae-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91-91
    • /
    • 2012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분야 뿐만 아니라 일반 산업분야에도 건식진공펌프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펌핑 성능은 물론 펌프의 특성 역시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건식진공펌프의 두 축을 이루어 온 다단루츠형과 스크류형 진공펌프는 각각 고유의 장단점에 바탕하여 응용분야에 따라 선호되며 기술적으로 발전하여 왔다. 최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사용되는 건식진공펌프들은 작은 크기, 큰 펌핑성능, 높은 신뢰성 및 낮은 소비전력 등과 같이 서로 동시에 실현되기 어려운 특성들을 요구받고 있다. 더욱이 에너지 효율에 대한 중요성이 획기적으로 증대되어 제품개발 과정에서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부상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이러한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국내외 건식진공펌프 업체들의 접근 방향과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PDF

반도체 제조라인의 냉수 시스템 효율성 증대에 관한 연구

  • 김기운;김광선;곽승기;박만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conductor Equipment Technology
    • /
    • 2004.05a
    • /
    • pp.253-258
    • /
    • 2004
  • 21C 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반도체 산업이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컴퓨터를 활용한 효율성이 높은 유틸리티 관리 시스템(New Utility Management System) 기술이 중요시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틸리티 관리시스템의 한 부분인 냉수 시스템에 대해 정상상태 유동해석을 통하여 각 구성 요소에서의 유량 및 압력, 온도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해석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효율성 증대를 위해 펌프 위치에 따른 시스템 변화를 파악하여 시스템에 영향을 크게 미칠 수 있는 펌프 즉, 가동하면 효율적인 펌프를 결정하였으며 최적의 리턴라인(Return Line) 위치를 설계하였다. 이 결과는 운전 및 관리의 효율성 증대와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매우 유익한 활용이 가능하다.

  • PDF

Real-time Optimal Pump Operation for Water Transmission Network (송·배수시스템의 실시간 최적 펌프운영)

  • Kim, Kyung Wan;Choi, Jeong Wook;Kang, Doosun;Kim, Byug Seop;Kang, Min 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58-158
    • /
    • 2015
  • 대부분의 대규모 배수지는 고지대에 위치함으로써 자연유하를 통해 배, 급수지역으로 용수를 공급한다. 이를 위해 배수지 전단에는 가압장이 위치하여 정수장에서 처리된 용수를 고지대에 위치한 배수지로 송수한다. 이때 가압장에서 발생하는 전력소비량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효율적인 펌프운영을 통해 상당한 전력비용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인 가압장의 운영은 시스템 운영자의 경험을 토대로 해당 가압장에 연결된 배수지의 수위에 따라 펌프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운영방법은 용수공급의 안전성을 우선시함으로써 배수지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자 빈번하게 펌프를 작동하게 되고 따라서 가압장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이 커서 운영효율 측면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빈번한 펌프의 작동으로 인해 펌프의 수명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배수지내 용수의 수질저하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펌프장 운영을 위해 급수지역의 24시간 용수사용량을 예측하고, 그에 따른 펌프장의 가압 유량 및 양정을 파악하여 적정용량의 펌프를 선정하고 운영함으로써 펌프의 운영비용의 최소화 및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동시에 달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시간 최적화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최적화 모형은 상수관망해석 프로그램(EPAENT)을 연계하여 수요절점의 수압조건 및 운영상황을 모의하였다. 최적화 기법으로는 유전자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실제 시스템의 운영상황를 반영하기 위한 다양한 제약조건(operational constraints)을 적용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정속펌프(혹은 On/Off 펌프) 뿐만 아니라, 최근 실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변속펌프(variable speed pump)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국내에서 실제 운영되고 있는 송, 배수 시스템에 적용하여 모형의 실무 적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 PDF

Optimal Design and Operation of Pump and Tank in Water Transmission Network (상수도 송수펌프, 배수지의 최적설계 및 운영 모형 개발)

  • Son, Won Il;Kim, Kang Min;Kang, Doo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58-158
    • /
    • 2017
  • 상수관망을 통한 용수 공급에서는 송수펌프, 배수지 등의 수리 시설물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우리나라의 송 배수 방식은 송수펌프를 통해 고지대의 배수지에 물을 확보하고, 이를 자연유하 방식으로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따라서 송 배수시스템의 운영이란 송수펌프의 가동과 그에 따른 배수지의 수위 현황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펌프의 가동을 위한 전력소모에 많은 비용이 발생되므로 효율적인 펌프 운영을 위한 최적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기존 연구를 통해 송 배수시스템의 운영을 모의하고, 펌프 가동비용을 최소화 하는 실시간 최적 펌프운영 모형이 개발되었으나, 미리 결정된 펌프와 배수지를 바탕으로 송 배수시스템을 모의하기 때문에 계획 및 설계 단계에서 이를 활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화 알고리즘 중 하나인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GA)을 사용하여, 실시간 펌프운영뿐만 아니라 송수펌프와 배수지의 효율적인 용량을 제시할 수 있는 최적화 모형을 개발하였다. 특히, 개발 모형은 펌프와 배수지의 설계/운영 시, 국내 설계기준, 시설물 비용, 시간별 전력단가 등을 제약조건으로 고려하여 현실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실제 운영 중인 S시의 광역상수도 시스템을 바탕으로 개발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또한 송 배수시스템의 계획 및 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iciency of the Water Hydraulic Piston Pump System driven by an Electric Inverter (전기 인버터 구동 수압 피스톤 펌프 시스템의 효율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Ham, Y.B.;Park, J.H.;Kim, S.D.
    • Transactions of The Korea Fluid Power Systems Society
    • /
    • v.3 no.4
    • /
    • pp.1-7
    • /
    • 2006
  • A water hydraulic pump is likely to have serious problems of high leakage, friction and low energy efficiency. A water hydraulic pump has commonly a fixed displacement type and its outlet flow is adjusted by controlling rotation speed of the pump, which can be implemented by using an electric invert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nergy efficiency of the water hydraulic pump system which is driven by an electric inverter. The study is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pump which is used in the study shows relatively good efficiency and low leakage, low friction as well. The reasons for the good performance of pump is also investigated.

  • PDF

Efficiency comparison of charge-pumped flyback converter among the various turn ratios (차지펌프가 적용된 플라이백 셀 밸런싱 회로의 권선비에 따른 효율 변화)

  • Lee, Chun-Gu;Park, Joung-H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99-10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연속모드로 동작하는 차지펌프가 적용된 부스트 플라이백 셀 밸런싱 회로의 권선비에 따른 효율을 다룬다. 기존의 플라이백 보다 승압 시 적은 권선비를 사용하기 때문에 효율이 좋은 차지펌프가 적용된 부스트 플라이백 셀 밸런싱 회로에서 권선비에 따른 전력 손실을 예상함으로써 전력 효율을 가장 높게 하는 권선비를 선택 할 수 있다. 제안된 회로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고 82w 하드웨어로 설계를 하여서 검증하였다.

  • PDF

냉난방수 순환펌프와 조명기기 교체 에너지절약 위해서 아낌없는 시설투자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7
    • /
    • pp.26-29
    • /
    • 2000
  • 코리아나호텔은 지난해 11월 절전형 전자식 안정기를 설치하고, 냉난방수 순환펌프를 고효율 펌프로 교체하는 ESCO사업을 진행했다. 이에 앞선 5월에도 기존 백열전구를 삼파장 전구로 교체하여 조명효율을 높인 바 있다. 뿐만 아니라 녹색조명운동을 통한 조명교체사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등 정부에서 추진하는 에너지절약사업 동참에 앞장서왔다.

  • PDF

Characteristic Analysis of High Efficiency Smart BLDC Motor of Pump for Information Technology Cooling (IT 냉각을 위한 펌프용 고효율 Smart BLDC Motor 특성해석)

  • Hong, Do-Kwan;Woo, Byung-Chul;Kim, Jong-Moo;Jeong, Yeon-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836_837
    • /
    • 2009
  • PC용 냉각장치의 일환으로 CPU의 외벽에 방열판을 달고 열전냉각모듈을 설치한 후 방열판을 냉각하기 위해서 펌프를 적용한 수냉식 냉각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냉각 시 펌프의 부하를 설계하고 그 용량에 적절한 저소음, 고효율 BLDC 모터를 개발하고자, 상용화된 외국제품인 S사의 저효율 단상 BLDC 모터가 적용된 수냉식 펌프를 기준으로 하였다. S사의 단상 BLDC 모터에 대한 시뮬레이션과 테스트를 통해서 거의 비슷한 결과를 얻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단가가 다소 상승하더라도 효율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3상 BLDC 모터구조로 설계를 하였으며, 그 결과 효율이 거의 2배 향상되며 출력 또한 향상됨을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하였다.

  • PDF

Optimization of Operation for Stormwater Pumping Station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도시유역 빗물펌프장 최적운영기법 연구)

  • Hyun, Jung Hoon;Park, Heeseong;Chung, G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89-189
    • /
    • 2020
  • 최근 도시 및 산업의 발달로 인해 투수면적 보다 불투수면적이 증가하고 있으며, 기후변화로 인하여 게릴라성 집중호우로는 도심지의 홍수피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홍수피해를 방어하기 위해 빗물펌프장 및 빗물저류조와 같은 구조적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하지만 구조적 대책은 확장 및 증설하는데 많은 돈과 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가장 바람직한 피해 저감 대책은 구조적 대책 뿐만 아니라 비구조적 대책을 동시에 수립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빗물펌프장의 최적 운영수위 산정을 위해 최적화 기법인 GA(Genetic Algorithm)을 적용하여 도시유역의 유출해석모형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의 빗물펌프장 유역에 발생하는 각 시간별 펌프의 운영을 최적화였다. 목적함수는 펌프의 토출량 합을 최소화하였으며, 제약조건으로는 펌프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각 펌프가동 시간과 중단 시간의 수위를 고려하였다. 또한 대상유역의 실제 홍수가 발생한 기간의 실제 강우자료를 입력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펌프의 운영수위 결정에 있어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낼 수 있었으며, 이를 활용하면, 펌프의 효율을 증가시키며 도시유역의 내수침수 저감 및 펌프의 운영적 관점에 있어 효과적인 운영을 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판단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