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패턴자료

Search Result 1,99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Tags in Digitized Cultural Heritage (디지털화 문화유산 태그의 패턴 및 특성 분석)

  • Kim, Seong-Hee;Lee, Hyung-Mi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0 no.3
    • /
    • pp.171-185
    • /
    • 2009
  •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tags in cultural heritage collections. Works of art were assembled to be tagged, 100 taggers were deployed, and tagging encourged. The gathered tags were analyzed in terms of general patterns, tagging's functions, and usefulness for information access. The results can be used to improve the access of works of art.

Compatibility of MODIS Vegetation Indices and Their Sensitivity to Sensor Geometry (MODIS 식생지수에 미치는 센서 geometry의 영향과 센서 간 자료 호환성 검토)

  • Park, Sunyurp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9 no.1
    • /
    • pp.45-56
    • /
    • 2014
  • Data composite methods have been typically applied to satellite-based vegetation index(VI) data to continuously acquire vegetation greenness over the land surface. Data composites are useful for construction of long-term archives of vegetation indices by minimizing missing data or contamination from noise. In addition, if multi-sensor vegetation indices that are acquired during the same composite periods are used interchangeably, data stability and continuity may be significantly enhanced. This study evaluated the influences of sensor geometry on MODIS vegetation indices and investigated data compatibility of two difference vegetation indices,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 and the Enhanced Vegetation Index(EVI), for potential improvement of long-term data construction. Relationships between NDVI and EVI turned ou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variations among vegetation covers. Due to their curvilinear relationships, NDVI became saturated and leveled off as EVI reached high range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erra- and Aqua-based vegetation indices ranged from 0.747 to 0.963 for EVI, and from 0.641 to 0.880 for NDVI, showing better compatibility for EVI compared to NDVI. In-depth analyses of VI outliers that deviated from regression equations constructed from the two different sensors remain as a future study to improve their compatibility.

  • PDF

A Path-based Traffic Flow Simulation Model for Large Scale Network (기종점 기반 대규모 가로망 교통류 시뮬레이션 모형)

  • 조중래;홍영석;손영태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9 no.3
    • /
    • pp.115-13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imulation model for large-scale network with interrupted flow as well as uninterrupted flow. The Cell Transmission(CT) theory is used to simulate traffic flow. Flow transition rules have been newly developed to simulate traffic flows at merging and diverging sections, and signalized intersections. In the model, it is assumed that dynamic OD table is exogenously given. Simulation results for toy network shows that the model can explain queue dynamics not only in signalized intersections of urban arterials, but also in merging and diverging sections of freeway. In case study, the model successfully simulated traffic flows of 145,000 vehicles on CBD network of city of Seoul with 74 traffic zones, 133 signalized intersections among 395 nodes and 1110 links.

  • PDF

A Study on Fire Origin Determination Methods by Fire Patterns (화재패턴에 의한 발화부판단 방법에 관한 연구)

  • Kim, Young Chul;Lee, Su Kyu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63-63
    • /
    • 2011
  • 화재란 사람의 의도에 반하거나 고의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현상으로서 소화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할 필요가 있는 것을 말한다. 사람의 의도에 반한다고 하는 것은 과실에 의한 화재를 의미하며 화기취급 중 발생하는 실화뿐만 아니라 부작위에 의한 자연발화도 포함하며, 고의에 의한다고 하는 것은 일정한 대상에 대하여 피해발생을 목적으로 화재발생을 유도하였거나 직접 방화한 경우를 말한다. 연소현상이라 함은 가연성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여 열과 빛을 내며 급속히 산화되어 형질이 변경되는 화학반응을 말한다. 소화시설 등을 사용하여 소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은 화재란 연소현상으로서 소화의 필요성이 있어야 하며 소화의 필요성의 정도는 소화시설이나 그와 유사한 정도의 시설을 사용할 수준 이상이어야 한다. 화재원인조사란 발화부를 판단하고 화재에 이르게 된 발화원을 규명하며, 발화부로부터 연소확대된 경과를 조사하는 일련의 행위로서 화재원인조사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발화부 판단인 바, 이는 화재원인이 발화부에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소재의 사용으로 인해 일단 화재로 진행될 경우 인명 및 재산상 피해가 증가하게 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화재조사시 화학, 물리, 전기, 건축, 기계, 소방 등 다양한 지식과 화재현장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화재현장 조사시 발화부 판단의 과학적 접근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서, 화재원인의 명쾌한 규명으로 책임한계 구분은 물론, 유사사고의 재발방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 발생한 화재사례에서 얻은 화재패턴을 분석하여 얻은 자료를 통해 발화부를 판단할 수 있는 조사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화재시 열전달과 화염확산 과정에서 건축구조물, 내장재, 집적물 및 각종 설치물의 구조, 재질 등에 따라 다양한 화재패턴을 형성하게 됨을 알 수 있다. 2) 화재패턴의 종류로는 화재플럼에 의한 삼각형, 주상, V, U 패턴 등이 있으며, 연소 생성물인 화염, 연기, 열 등에 의해 다양한 형태를 보임을 알 수 있다. 3)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연소의 상승성, 불꽃 및 연기 흔적, 열에 의한 흔적 등에 의해 연소의 방향성을 알 수 있다. 4) 결국 화재현장에서 명확한 화재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화재패턴에 의해 연소확대과정을 역으로 추적하여 발화부를 결정한 다음, 발화부내에서 화재원인을 찾아내야 할 것이다.

  • PDF

Visual Perception Dynamics of Relative Phase Coordination Pattern with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Using a Background Grid (상대위상을 이용한 시각적 협응 패턴의 지각 역학과 격자무늬를 이용한 부가적 감각 정보에 따른 영향)

  • Ryu, Young-Uk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3 no.3
    • /
    • pp.409-424
    • /
    • 2012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if perception of visual coordination pattern is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 of the HKB model (Haken, Kelso, Bunz, 1985).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o see if an additional sensory information using a grid background stabilizes perception of coordination pattern. Participants joined one of two experimental groups, Normal background and Grid background, to participate the pattern recognition training session and the pattern judgment test session. Participants observed $0^{\circ}$, $18^{\circ}$, $36^{\circ}$, $54^{\circ}$, $72^{\circ}$, $90^{\circ}$, $108^{\circ}$, $126^{\circ}$, $144^{\circ}$, $162^{\circ}$, and $180^{\circ}$ coordination patterns characterized by two oscillating dots. The dots oscillated in 0.25 Hz for the pattern recognition training and in 0.5 Hz, 1 Hz, and 2 Hz for the pattern judgment test. Judgment score, absolute judgment error, and judgment stability out of the pattern judgment test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e landscape of pattern accuracy and stability data was "inverted-U" shape with slower oscillating frequency conditions. In the faster condition, the accuracy and stability of the judgment decreased with relative phase patterns near $180^{\circ}$. These findings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 of the HKB model. The grid as additional sensory information did not increase accuracy and stability in coordination perception.

  • PDF

Application of Spatial Autocorrelation for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Analysis of Marine Environment - Case of Gwangyang Bay - (해양환경 공간분포 패턴 분석을 위한 공간자기상관 적용 연구 - 광양만을 사례 지역으로 -)

  • Choi, Hyun-Woo;Kim, Kye-Hyun;Lee, Chul-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0 no.4
    • /
    • pp.60-74
    • /
    • 2007
  •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 on marine environment, spatial autocorrelation statistics on the both global and local aspects was applied to the observed data obtained from Gwangyang Bay in South Sea of Korea. Global indexes such as Moran's I and General G were used for understanding environmental distribution pattern in the whole study area. LISAs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such as Moran's I ($I_i$) and $G_i{^*}$ were considered to find similarity between a target feature and its neighborhood features and to detect hot spot and/or cold spot. Additionally, the significance test on clustered patterns by Z-scores was carried out. Statistical results showed variations of spatial patterns quantitatively in the whole year. Then all of general water quality, nutrients, chlorophyll-a and phytoplankton had strong clustered pattern in summer. When global indexes showed strong clustered pattern, the front region with a negative $I_i$ which means a strong spatial variation was observed. Also, when global indexes showed random pattern, hot spot and/or cold spot were/was found in the small local region with a local index $G_i{^*}$. Therefore, global indexes were useful for observing the strength and time series variations of clustered patterns in the whole study area, and local indexes were useful for tracing the location of hot spot and/or cold spot. Quantification of both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and clustering characteristics may play an important role to understand marine environment in depth and to find the reasons for spatial pattern.

  • PDF

Functional clustering for electricity demand data: A case study (시간단위 전력수요자료의 함수적 군집분석: 사례연구)

  • Yoon, Sanghoo;Choi, Youngjea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6 no.4
    • /
    • pp.885-894
    • /
    • 2015
  • It is necessary to forecast the electricity demand for reliable and effective operation of the power system. In this study, we try to categorize a functional data, the mean curve in accordance with the time of daily power demand pattern.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anuary 1, 2009 and December 31, 2011. And it were converted to time series data consisting of seasonal components and error component through log transformation and removing trend. Functional clustering by Ma et al. (2006) are applied and parameters are estimated using EM algorithm and generalized cross validation. The number of clusters is determined by classifying holidays or weekdays. Monday, weekday (Tuesday to Friday), Saturday, Sunday or holiday and season are described the mean curve of daily power demand pattern.

Classification of hysteretic loop feature for runoff generation through a unsupervised machine learning algorithm (비지도 기계학습을 통한 유출 발생 내 이력 현상 구분)

  • Lee, Eunhyung;Jeon, Hangtak;Kim, Dahong;Friday, Bassey Bassey;Kim, S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60-360
    • /
    • 2022
  • 토양수분과 유출 간 관계를 정량화하는 것은 수문 기작 및 유출 발생 과정의 이해를 위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유출과정의 특성화는 수문 사상에 따른 불포화대 내 토양수 및 토사 손실 제어와 산사태 및 비점오염원 발생 예측을 위해 필수적이다. 유출과정과 관련된 비선형성과 복잡성을 확인하기 위해 토양수분과 유출 사이의 이력 거동이 조사되었다. 특히, 수문 과정 내 이력 현상 구체화를 위해 정성적인 시각적 분류 및 정량적 평가를 위한 이력 지수들이 개발되었다. 정성적인 시각적 분류는 시간에 따라 시계 및 반시계방향으로 다중 루프 형상을 나누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정량적 평가의 경우 이력 고리(Hysteretic loop) 내 상승 고리(Rising limb)와 하강 고리(Falling limb)의 차이를 기준으로 한 지수로 이력 현상을 특성화하였다. 이전에 제안된 방법론들은 연구자의 판단이 들어가기 때문에 보편적이지 않고 이력 현상을 개발된 지수에 맞춤에 따라 자료 손실이 나타나는 한계가 존재한다. 자료의 손실 없이 불포화대 내 발생 가능한 대표 이력 현상을 자동으로 추출하기 위해 적합한 비지도 학습기반 기계학습 방법론의 제안이 필요하다. 우리 연구에서는 국내 산지 사면에서 강우 사상 동안 다중 깊이(10, 30, 60cm)로 56개의 토양수분 측정지점에서 확보된 토양수분 시계열 자료와 산지 사면 내 위어를 통해 확보된 유출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였다. 먼저, 기존에 분류 방법을 기반으로 계절 및 공간특성에 따라 지배적으로 발생하는 토양수분-유출 간 이력 현상을 특성화하였다. 다음으로, 토양수분-유출 간 이력 패턴을 자료 손실 없이 형상화하여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지도 학습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된 실제 발현 이력 현상 내 확률분포를 최대한 가깝게 추정하는 은닉층을 반복적인 재구성 학습을 통해 구현함으로써 대표 이력 현상 패턴을 추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Recording and Reporting System by Image Processing (영상기반 교통사고 자동기록장치 개발)

  • Ki Yong-Kul;Kim Ji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391-394
    • /
    • 2006
  • 본 연구에서 영상 패턴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교차로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의 전과정을 동영상으로 기록하고 취득된 사고 자료를 교통관리센터에 전송하여 필요한 조치를 바로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기술에 따라 개발된 교통사고 자동기록장치가 서울시 교통사고 다발 교차로에 설치되어 운영 및 성능평가 중이다. 동 장치에서 수집된 교통사고 동영상 자료는 교통사고 조사신뢰도를 높이고 교통안전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 PDF

Error reduction by adding artificial data in SOM (인공데이터첨가를 통한 SOM의 quantization error 감소)

  • Kim, Seung-Taek;Jo, Seo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260-267
    • /
    • 2005
  • 자기조직화지도(Self Organizing Map, SOM)는 비지도 신경망으로서 고차원의 입력공간을 위상적관계를 유지시키면서 저차원으로 사영 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SOM은 패턴인 식과 자료압축/재생 등 여러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고차원 자료의 시각화 방법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OM의 quantization error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인공데이터를 생성시켜 학습에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는 특히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에서 SOM을 학습시켜야 할 때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