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션 브랜드

검색결과 564건 처리시간 0.027초

브랜드 리노 베이션을 위한 BI 개발에 관한 연구 -코오롱모드 및 5개 브랜드의 BI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Graphic and Visual Solutions of Brand Renovation for Kolon Mode and 5 Other Brands)

  • 박진숙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
    • /
    • pp.139-150
    • /
    • 1996
  • 본 연구는 국내 패션업계 중 가장 오래된 기업의 하나인 코오롱 모드의 BI와 그 아래있는 5개의 개별 브랜드 - 아더딕슨, 아르페지오, 맨스타, 쟈스트, 벨라, 등의 BI개발 작업을 통해서 급변하는 패션시장 상황과 소비자 성향에 부응하고자 기존의 이미지 틀 위에 새로운 이미지를 형성하는 리노베이션을 위한 BI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각 브랜드의 특성과 컨셉이 기존 BI에 어떻게 충족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대상고객의 라이프 스타일과 전체 패션시장의 경향에 맞춰 기존 이미지의 강점을 계승하고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신규브랜드의 BI와는 달리 리노베이션을 위한 BI란 기존의 고객은 유지하면서 더욱 더 많은 고객을 유도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급격한 변신은 피하는 것이 특징이다.

  • PDF

대형 오프라인 유통업체의 브랜드 신념이 신진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 제품에 대한 지각된 가치, 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진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와 대형 오프라인 유통업체 간 마케팅 협업의 맥락에서- (Effects of Brand Belief of a Mass Offline Retailer on the Perceived Valu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the Products of Emerging Fashion Designer Brands -In the Context of Marketing Collaborations between Emerging Fashion Designer Brands and a Mass Offline Retailer-)

  • 심수인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79-794
    • /
    • 2019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brand belief of a mass offline retailer on the perceived valu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the products of emerging fashion designer brands in the context of marketing collaborations between emerging fashion designer brands and a mass offline retailer. We invited 198 adults aged 20 to 59 to an online survey who were asked to read a news article and respond to a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 that brand belief of a mass offline retailer positively influences the perceived value of the products of emerging fashion designer brands. The perceived value also positively influences the attitude toward the products that subsequently enhances purchase inten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emerging fashion designer brands should strategically select a mass offline retailer as their collaboration partner by considering consumer perceptions of the retailer brand because the brand belief of the retailer may have a halo effect on a consumer evaluation of the products of emerging fashion designer brands.

스마트폰 이용 동기와 패션 브랜드 앱 내용이 패션 브랜드 앱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mart phone usage motive and fashion brand app factors upon the intention to accept fashion brand applications)

  • 최예슬;김미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17권4호
    • /
    • pp.149-163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mart phone usage motives and fashion brand app factors upon the intention to accept fashion brand applica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250 female college studen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220 reliabl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ANOVA,, Duncan test, paired t-test, chi-square analysis,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information acquisition' and the'use of time' were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motive factors driving consumer's smart phone usage. Secondly, the motives underpinning smart phone user's intention to accept a fashion brand application were 'social relationships', 'entertainment', and 'information acquisition'. Thirdly, the frequently used factors during the usage of fashion brand application could be classified in order of frequency as follows: 'product information provision', 'store information provision', 'coordinated information provision', 'fashion information provision', 'entertainment provision', 'hobbies and life information provision', virtual wearing provision', 'SNS provision', and, 'events and coupons provision'. Fourthly, a factor analysis of these nine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basic information type', and 'additional information type'. The influences of basic information type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type upon the intention to accept the fashion brand application showed the following significant result: The basic information type had a greater influence upon the intention to accept the fashion brand app.

캐주얼 의류 브랜드에서 브랜드와 광고 모델의 개성요인과 개성 일치성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Personality Factors of Brand and Advertising Model and Personality Congruence on Brand Equity in Casual Apparel Brands)

  • 전형진;신상무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4호
    • /
    • pp.16-27
    • /
    • 2011
  • Consumers fill up not only their needs but also their own identity through apparel product and company. From this point of view, Brand personality is essential to convey customer's personality through advertizing influencing on buying behavior. This study investigates how personality factors of brand and advertising model and personality congruence influenced upon brand equity in casual apparel brands. The research methodology was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individuals who used to buy casual apparel brand. A total of 58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internal validity,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asual apparel brands, personality factors of brand and advertising model influence on personality congruence. Personality congruence influences on brand recognition and brand loyalty among brand equity.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넥타이 문양디자인 선호 (Preference of Neck-tie Pattern Designs according to Male Consumers' Fashion Life Style)

  • 송하영;고영림;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11권4호
    • /
    • pp.489-500
    • /
    • 2008
  • 본 연구는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넥타이 문양디자인 선호도와 구매 의도를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 유형은 '유행 지향', '보수 전통지향', '과시적 브랜드 지향', '개성 지향', '실용 지향', '패션 무관심' 형으로 분류되었다. 각각의 패션 라이프스타일 요인들을 군집 분석하여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집단을 '개성 추구', '실용 & 브랜드 추구', '보수 전통 & 개성 추구', '유행 추구', '패션 무관심'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남성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라 넥타이 문양 선호와 구매 의사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 지향'형은 '무지단색', '원', '페이즐리'의 넥타이 문양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꽃' 문양은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 전통지향', '과시적 브랜드지향', '실용 지향'형은 '줄', '체크'의 넥타이 문양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유행 지향', '과시적 브랜드지향', '개성 지향'형은 '무지단색', '꽃', '동물'의 넥타이 문양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 지향'형은 '무지단색', '꽃', '동물'의 넥타이 문양에 대한 구매 의사가 있는 반면, '실용 지향'형은 '원' 문양에 대한 구매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지향'형은 '원' 문양에 대한 선호 및 구매 의사가 동시에 있었고, '유행 지향'형 역시 '무지단색', '꽃', '동물' 문양에 대한 선호 및 구매 의사가 동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수 전통지향' 및 '과시적 브랜드 지향'형이 '줄', '체크' 문양에 대한 선호가 높았으나, 구매 의사는 '페이즐리' 문양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선호하는 넥타이 문양과 구매하고자 하는 문양 간에 차이를 보였다.

  • PDF

명품과 비명품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디자인 민감도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Consumers' Design Sensitivity of Luxury Brand Products and non-Luxury Brand Products and Its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 방정혜;김민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574-1584
    • /
    • 2012
  •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서 패션 제품군에서 명품 브랜드와 비명품 브랜드에 따라 디자인 민감도가 차이가 날 것인가를 검토하고 디자인 민감도가 브랜드 동일시와 함께 제품의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칠 것인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디자인 민감도는 명품과 비명품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차이가 있었다. 우선 전체 데이타를 살펴본 결과, 브랜드의 디자인 가치와 디자인 추구노력, 추구성향이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미지가 일치하는 것보다는 해당 브랜드의 디자인에 대해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좋은 디자인의 제품을 구매하려는 노력을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패션제품의 구매의도가 높다는 것이다. 명품과 비명품으로 구분하여 브랜드 동일시와 디자인 민감도의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본 결과, 명품의 경우 루이비통 패션제품의 디자인 추구성향이 높은 사람이 구매의도가 높음이 나타났고, 비명품의 경우 쌈지의 디자인이 가치가 있다고 느끼는 사람일수록 쌈지 제품의 구매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명품일 경우에는 이미 디자인의 가치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 사이에서 인정되고 인식되어 있으므로 해당 제품의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비명품의 경우에는 브랜드 제품의 디자인이 가치가 있다는 사실부터 인지되어야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혀졌다.

패션 소비자들의 브랜드 민감성과 공적 자기의식에 관한 연구 (Brand Sensitivity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among Fashion Consumers)

  • 이승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14권4호
    • /
    • pp.102-110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sensitivity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the effects of gender and age on brand sensitivity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The subject used for this study were three hundred and thirty-five college students (118 male students and 217 female student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multiple regression, and t-test were used. As the results, first,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on brand sensitivity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Female students had higher scores on brand sensitivity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than male students as expected. Second,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younger college students and older college students on brand sensitivity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Older college students had higher scores on brand sensitivity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than younger college students. Finally, public self-consciousness influenced on brand sensitivity the most significantly, followed by age variable. Based on these results, brand management marketing strategy of fashion products would be provided.

글로벌 패션 소비자의 진 브랜드 구매행동 - 미국, 중국, 프랑스 소비자를 대상으로 - (Global Fashion Consumers' Purchase Behavior of the Jean Brands - Focused on USA, Chinese, and French Consumers -)

  • 박진아;고은주
    • 복식
    • /
    • 제61권10호
    • /
    • pp.119-134
    • /
    • 2011
  • The present study proposes and tests an integrative model for global consumers to examine the relation among fashion marketing mix, brand attitude, brand loyalty, and purchase intention in the jeans market. The questionnaire surveys 692 consumers in the United States, China, and France.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that are used are as follow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SEM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fashionability, perceived quality, and advertising have a direct and also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 however, advertising didn't have a direc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SEM analysis show that brand attitude leads to brand loyalty, while also showing a direct and indirect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Furthermore, the multi-group analysis reveal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M among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China, and Fr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