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션전문가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2초

패션 트렌드의 주기적 순환성에 관한 빅데이터 융합 분석 (The Analysis of Fashion Trend Cycle using Big Data)

  • 김기현;변혜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13-123
    • /
    • 2020
  • 본 논문은 과거와 현재의 패션 트렌드와 패션 유행 주기에 관한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패션 전문가나 패션쇼가 아닌 일반 사람들의 데일리룩을 위한 패션 트렌드를 분석하는데 집중하였다. 소셜 매트릭스 도구인 텍스톰을 활용하여 빈도수 분석, N-gram 분석, 네트워크 분석 및 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패션 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람들의 데일리 룩을 대상으로 과거(1980년대, 1990년대)와 현재(2019년, 2020년)의 패션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둘째, 과거의 패션이 현재의 패션으로 재현되는 순환성과 순환 주기가 30-40년 정도로 짧아졌음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과학적으로 검증하였다. 셋째, 도출된 패션 키워드들의 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과거 패션에서는 청바지 패션, 레트로 코디, 애슬레저룩, 연예인 복고패션의 4개의 군집으로, 현재 패션에서는 레트로 청바지, 뉴트로, 레이디 쉬크, 레트로 퓨처리즘의 4개의 군집을 확인하였다. 넷째, 과거의 패션이 현재의 패션으로 재현되고 진화하는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확인하고 그 배경에 관한 이슈를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과거와 현재의 패션 키워드를 도출하고 이로부터 패션 유행의 순환 주기를 확인함으로써 과거를 통해 미래 패션을 예측하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역량으로서의 '패션 감각'의 개념적 정의를 위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Defining the Concept of 'Fashion Sense' to Identify Competencies)

  • 이고은;이윤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639-656
    • /
    • 2018
  • The term fashion sense is used in everyday conversations by consumers to refer to the ability of people who dress well in attractive ways or to refer to the competencies or expertise of fashion professionals. Despite the frequent use of the term, its concept has rarely been explored systematically. In this study, we performed in-depth interviews with 14 fashion experts to clarify the concept of fashion sense. The core elements of fashion sense were explored based on the interview results. As a result, twelve core elements were identified that included visual ability, aesthetic experience, aesthetic recognition ability, intuition, self-consciousness, self-efficacy, fashion experience, involvement in fashion, creativity, innate sense, environmental support, and development due to education. In addition to these twelve core elements, 42 supplementary elements were identified. This study is to help initiate an academic discussion of the concept of fashion sense as a competency that fashion experts should develop.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provide pract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fashion industry and academia.

동대문 패션상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제안 (A Study on the Policies for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DongDeaMoon fashion market)

  • 이지현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5권5호
    • /
    • pp.257-272
    • /
    • 2010
  • 동대문 패션상권은 전국의 소매상을 위한 도매의 기능과 함께 현대화된 대형 쇼핑몰을 중심으로 소매의 기능까지 도맡고 있다. 또한 동대문 패션상권은 동대문 1km 반경 내에서 원부자재와 봉제공장, 패션상가 등 관련 산업이 집적되어있어 패션상품의 기획과 생산, 판매 및 유통이 완결되는 매우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동대문 패션상권은 보유하고 있는 경쟁력에 비해 급변하는 시장환경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해 위기를 맞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였으나 그 효과가 지속적이지 못하고 일회성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정책들을 살펴보고 그 정책들이 간과하고 있는 동대문 패션상권의 활성화에 대한 정책을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도출, 제안했다.

  • PDF

패션스타일리스트 분야와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eld Fashion Styling and Fashion Stylists' Roles)

  • 노효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531-537
    • /
    • 2014
  • 패션스타일리스트의 분야와 역할중 패션 분야가 확대되어지면서 더욱 감각적이고 세련되며 특별한 것을 요구하는 시점에 이들이 각 분야마다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전문가로서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여 패션산업을 한걸음 발전시키는 단계에 이르게 하였다는 견해이다. 패션스타일리스트의 역할은, 매체를 통한 배역의 성격에 따라 이미지 스타일이 가능하도록 분위기에 맞는 패션 이미지를 연출하고 모델을 통해 특정 이미지를 형성시켜 수용자 내면의 흥미, 욕망을 유발시켜 상품의 인지도와 광고에 대한 기여도를 높이고 구매 행동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 또한 패션 테마나 컨셉에 맞춰 패션화보내의 모델에게 의상과 헤어 메이크업등의 스타일을 연출하고 빠른 트렌드를 읽기 위해서 패션에 대한 예리한 통찰력, 패션감각과 센스, 분석력, 기획력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패션스타일리스트의 분야와 역할을 살펴보고 직업적 전문성 확보와 소비자의 패션감각을 높여주는 요소로서 시대의 고성장 부가가치의 산업과 패션 전문 분야로의 활성화와 도약을 기대해 볼 수 있겠다.

디지털 환경에 따른 패션분야의 디자인 교육방향 연구 I (A Study for an Educational Direction in Fashion Design Subjected to Digital Environment I)

  • 이미량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4호
    • /
    • pp.33-44
    • /
    • 1999
  • 다음시즌을 예측하는 트렌드와 유행 경향은 이미 오래 전부터 디지털 환경과 사이버 환경을 패션의 요소로 지적해왔으며 패션분야의 디지털 환경뿐 아니라 패션에서 접하게 되는 모든 디지털환경은 미래패션의 존재 상황임과 동시에 패션의 감각으로 추구해야 할 대상이며 요소가 된다. 한편 디지털 환경과 관련한 첨단기술, 사회의 변화는 미래사회를 위한 교육현장에서 교욱 방법뿐 아니라 교육의 내용까지도 변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는 디지털 환경속에서 미래사회를 대비한 패션디자인 교육의 방향은 모색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 확산에 영향 받는 패션분야의 환경변화를 패션디자인교육의 환경 차원에서 연구하고자 하며 이를 토대로 미래사회에서 패션의 중추인력으로 활동하게 될 미래패션디자인의 전문가를 위한 교육방향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미래사회를 위한 패션분야의 디자인전문가 교육은 디지털 환경이 주축을 이루는 미래사회를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디지털마인드를 포함한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CAD 프로그램을 비롯한 컴퓨터, 디지털 매체에 대한 경험이 필수적이고, 디지털매체에 대한 교육은 매체사용기능 훈련만을 위한 측면 보다는 패션분야의 교육과 연계되어 경험되는 CAI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시간적 효율성과 전문분야의 응용력을 높인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하겠다. 21세기 미래사회는 지식의 창의력이 가치 창출의 원천이 되고 국가 경쟁력의 원동력이 되는 사회 패션분야의 디자인 전문가를 위한 교육은 미래사회으 ㅣ환경적 특징을 긍정적 방향으로 수용하며 미래를 대비한 교육에 심도 깊게 반영되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있었다.하였다. 본 연구는 흰쥐 유선에서 LH subunit들과 수용체 유전자가 발현됨을 최초로 보고한 것으로서, 흰쥐 유선이 LH의 생성처이면서 동시에 작용처이며 유선에서 합성된 GnRH의 조절하에 국부적인 인자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한다.f variation)가 10% 내외로 만족할 만한 범위에 들었다. 본 실험 방법을 타액과 혈청내 testosterone 농도 측정에 응용하여 RIA의 결과와 비교하여 본 바 상관관계가 타액에서 r=0.969, 혈청에서 r=0.990으로 두 결과가 잘 일치하였다. 본 실험에서 측정된 한국인 여성의 타액내 testosterone농도는 107.7$\pm$12.0 pmol/l이었고, 남성의 타액내 농도는 274.2$\pm$22.1 pmol/l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연구에서 정립된 EIA 방법은 RIA를 대신하여 소규모의 실험실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또한 상실기 이후 배아에서 합성되며, 발생시기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고 팽창과 부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욱이, 조선의 ${\ulcorner}$구성교육${\lrcorner}$이 조선총독부의 관리하에서 실행되었다는 것을, 당시의 사범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조직을 기술한 문헌에 의해 규명시켰다.nd of letter design which represents -natural objects and was popular at the time of Yukjo Dynasty, and there are some docu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 PDF

하이테크 감성 섬유패션의 교육 방향에 대한 모색 (Search for the Education of High-Tech Emotional Textile and Fashion)

  • 김윤희;김춘정;나영주
    • 감성과학
    • /
    • 제26권3호
    • /
    • pp.69-82
    • /
    • 2023
  • 소비자의 감성과 다양한 섬유·패션 기술이 융합되는 하이테크 감성 섬유패션은 중요한 산업군이다. 섬유·패션 산업의 환경 변화로 인해 감성과학 분야에서 학제간 협업을 통해 타 분야를 이해하고 아이디어를 교류함으로써 창의적으로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학제간 연구와 협업을 통해 급변하는 미래사회에 필요한 창의적 융합형 지적 능력은 물론 타인과 공감하는 능력을 갖추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관련의 전문가 양성 방향을 수립하기 위하여 이를 모색하고자 기초 연구를 실시하였다. 국내외 감성섬유패션 산업의 현황과 교육 과정을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융복합적으로 교육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 학습내용을 구상해보았다. 섬유패션 감성과학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초과정은 섬유·패션산업 분야의 감성과학과 ICT 관련 내용 학습을 통해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심화로서는 감성을 바탕으로 한 PB방식의 아이디어 디자인의 도출부터 소비자 감성 분석 및 제품 개발까지의 과정을 스마트 키트 실습을 통해 체험할 수 있도록 하며, ICT 융합 제품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식재산권을 스타트업 및 신지식권으로 설정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다루어 감성 섬유패션 기술에 대한 지식재산권을 확보하는 방안 내용을 제안하였다.

패션유통시장에서 시장 전문가의 쇼핑 행동과 멀티채널 이용현황 분석 (An Analysis of Market Maven's Shopping Behavior and Multi-Channel Usage in the Fashion Retailing Market)

  • 성희원;성정환
    • 패션비즈니스
    • /
    • 제20권2호
    • /
    • pp.134-148
    • /
    • 2016
  •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market maven to today's fashion retailers. Market maven is defined as an individual who is highly involved in the marketplace and takes a role as an information diffuser. In order to identify market maven, a total of 415 data were collected from 30-40 consumers who purchased fashion items from the various types of retailers. The data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average score of summated market maven's scale, and the high group was referred to as "market mavens." Results suggested that the market mavens existed in the fashion retailing market and presented the differences from the other two groups. The market maven group spent more and purchased more fashion items than the other groups. With respect to shopping behavior, the market maven group was more likely to browse and bargain hunt when shopping, and showed higher mean scores on impulse buying and overall satisfaction. In addition, market maven tended to purchase fashion items from different types of retailers including online channel. Accordingly, market mavens seemed to present common characteristics with heavy browser, recreational shopper, and/or multi-channel shopper. Market mavens showed shopping enjoyment characteristics when searching for market-related information from various retailers, hence this segment should be the essential target market in the multi-channel retailing environment.

개인의 신체적 특성에 맞춘 의류 추천 방법 (A Method of Fashion Recommender in Coordination with Individual Physical Features)

  • 김정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061-1069
    • /
    • 2011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패션/코디 쇼핑몰은 그 시장이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자신의 신체나 패션스타일에 맞는 의류를 온라인 쇼핑몰에서 검색하는 것은 쉽지 않다. 본 논문은 여성 의류의 패션/코디 추천시스템에 대하여 특히, 개인의 신체적 특성에 가장 잘 맞추어진 의류 추천기능에 대하여 논한다. 또한, 계절별 유행에 대한 전문가의 추천도 고려할 수 있고, 자신의 좋아하는 의류스타일도 미리 등록해 둔 후에, 다양한 방법의 선택을 통하여 등록된 상품 중 자신이 원하는 최적의 상품을 추천받을 수 있도록 패션/코디 쇼핑몰에서의 추천방법을 제안하였다.

한국적(韓國的) 패션디자인에 대(對)한 영국(英國) 패션전문가(專門家)들의 인식(認識) 조사(調査)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Image Fashion Designs by U.K Fashion Specialists)

  • 박혜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8권2호
    • /
    • pp.69-9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cognition of Korean image fashion design by U.K fashion specialists. U.K is one of the important countries in design field including fashion design since 1960.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search and focus individual interview research were carried. First, through the researches precedent, it was found that a national image is related with it's design industry and what is Korean image fashion design, were studied. Second, for individual interviews to 13 U.K fashion specialists, who are teaching and researching in University that has postgraduate course over M.A and had industrial experiences from 7years to 22years, were progressed using open questions and visual image stimulus. The open questions were consisted with four parts : personal educational and industrial background, recognitions about oriental fashion, recognitions about Korean image and Korean fashion design before seeing the visual stimulus, recognition about Korean image fashion design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fter seeing the visual stimulu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12 U.K specialists have recognized 'oriental fashion' is one of important fashion trends now a days. Japan and Japanese designers are recognized as a represented nation and designer in oriental fashion by them. Two of the specialists referred to need changing the term 'oriental' because the term has been used in the sights of western from colonial age and Japanese is not included the oriental any more. Secondly, 11 interviews have recognized nothing about the Korean national image some of them has negative image due to political situation in Korean Peninsula. However 2 interviews who had been Korea before has positive image. In the questions about Korean fashion and Korean fashion designers, 10 of 13 interviews have nothing and negative recognitions. So it was founded that Korean fashion design was recognized as a lower level by U. K. fashion specialists. Thirdly, in the questions about Korean fashion image and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Korean fashion after seeing the visual stimulus, the response was represented two directions. One is about over decorative image through ethnic design and the other is about simple image differ from Japanese. The 13 interviews felt the Korean Image fashion design such like traditional, decorative, opulent, flat cutting, fresh proportion, loose, layering, natural, simplicity, complicate, adventure, easy, stylish, soft, feminine, young image, adult sexy image. The images were analyzed five image groups : adult sexy image, adult ethnic image, natural image, young avant-garde image, young simple casual image. No one preferred the adult sexy image, adult ethnic image and natural image. However 10 interviews preferred young avant-garde group and 13 interviews preferred the young simple casual image. So this group can be understanded and useful informed as one of competitive power in global fashion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