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션디자인요소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7초

마스크 매력 탐구: 아이트래킹을 활용한 수직 접이형 대 수평 접이형 마스크 비교 분석 (Exploring Mask Appeal: Vertical vs. Horizontal Fold Flat Masks Using Eye-Tracking)

  • 이준식;정난희;윤지찬;박도형;박세범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4호
    • /
    • pp.271-286
    • /
    • 2023
  • COVID-19 팬데믹의 확산은 마스크를 일상생활에서의 필수품으로 변화시켰으며, 마스크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행동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 마스크 착용 의무의 완화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마스크 착용을 유지하며, 마스크를 개인의 개성과 정체성을 표현하는 패션 수단으로 활용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마스크와 관련된 기존 연구는 주로 마스크의 감염 예방 효과나 팬데믹 상황에서의 채택 태도를 탐구하는 등 제한된 분야에 국한되어 있어, 마스크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를 이해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마스크의 접이 방식에 따라 마스크 디자인을 수평 접이형 마스크와 수직 접이형 마스크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지각과 선호도를 설문 및 시선 추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소비자 설문에 대한 T 검정을 수행한 결과, 수직 접이형 마스크가 수평 접이형 마스크 대비 소비자에게 선호되며, 독특성, 세련미, 입체감, 생동감이 높게 평가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후, 수직 접이형 마스크가 매력적으로 인식되는 원인을 실증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각 마스크 디자인에 대한 아이트래킹 분석을 수행하고, 마스크 디자인 별 시선 패턴의 차이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마스크 관련 연구의 범위를 감염 예방 효과 검증 등의 제한적인 영역에서 나아가, 소비자의 디자인 지각 및 평가 영역까지 확장한 점, 마스크의 접이 방식이라는 디자인 요소가 소비자의 지각, 태도 및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력을 설명하고자 한 점에서 이론적인 공헌이 있으며, 소비자에게 선호되는 마스크 디자인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실무적인 함의가 있다.

아르누보양식의 조형적 특성연구 - 르네랄리크.에밀갈레.루이스 컴포트 티파니.빅토르오르타의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f formative character of Art Nouveau Through the works of $Ren{\acute{e}}$ Lalique, Emile Galle, Louis Comfort Tiffany, Victor Horta)

  • 김은정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11권
    • /
    • pp.5-35
    • /
    • 2007
  • 예술을 논함에 있어 '과학의 진보'와 '인간의 정서'라는 두 가지 문제의 상충은 끊임없이 대두되었다. 과학의 편리성, 그 이면에 존재하는 인간본연의 감성인 '자연'은 점차 크게 자리잡아갔다. 20세기말부터 성행하던 다소 삭막하게 느껴지는 미니멀리즘을 벗어나 점점 인간과 자연이 하나가 될 수 있는 자연주의가 강조되었고, '자연'은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주어진 가장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 기계와 과학에 의해 삶이 양적으로 향상되어질수록,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자연'에 대한 향수가 인간에게 더욱 절실하게 되었다. 이에 '자연'을 좀 더 효과적으로 나타내고자 아르누보양식의 표현요소를 도입하여, '자연'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조형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아르누보는 자연물의 유기적인 형태로부터 모티브를 찾아 이것을 양식화하여 장식미술로 적용하였다. 이는 과거의 양식에서 인용과 절충을 반복하는, 역사주의적 전통을 과감히 개혁함으로써 현대디자인의 문을 열었고, 더불어 미술을 모든 생활에 실용화하려는 점에서 커다란 역사적 의미를 갖는 양식이다. 신예술을 의미하는, 19세기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번성했던 아르누보는 한 세기가 지난 현재에 와서 재평가되고 수용되어 다양하고 새롭게 나타나고 있다. '자연주의'를 근본으로 하는 아르누보 양식은 현대에 오면서 내추럴리즘이 주류를 이루고, 여성스런 로맨티시즘이 유행하면서 패션, 가구, 유리 공예, 보석 공예 등의 다양한 장르의 예술에서 모티브로 부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르누보에서 나타난 식물모티브를 적용한 다양한 분야의 아르누보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형태적 요소와 표현요소의 특성을 다양하게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나타난 공통된 조형미를 분석하고자하였다. 아르누보양식에서 나타나는 섬세하고 화려한 곡선의 장식미와 형태의 부드럽고 유려한 곡선표현의 효과적인 디자인적용가능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창의적으로 분석된 조형이미지로의 아르누보 식물모티브를 디자인에 새롭게 시도하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 PDF

고부가가치 패션제품개발을 위한 오뜨꾸뛰르 디자이너 복고적 재킷디자인 분석 (An Analysis on Retro Jacket Designs of Haute Couture Designers for the Development of High-Value Added Fashion Products)

  • 김언정;유영선
    • 복식
    • /
    • 제64권3호
    • /
    • pp.77-9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xpression methods of Haute Couture designers' high value-added jacket designs,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positions and sizes of the design component items of tailored jackets designed by Haute Couture designers from the 1940s to the 1970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ilhouette changed while leading the contemporaneous fashions, and such changes could be confirmed by the width and length of the jacket's shoulder, chest, waist, and hem that determine the silhouette. Particularly, the length of the chest changed which signifies that the depth of the armhole wa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production of high value-added jackets in relation to the sleeves and the fit of jackets. Second, the position and the size of the dart are the components that can express the fit of a jacket and the designer's creativity, The starting point position of the dart and the position passing by waist, and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dart were placed in the position beyond B.P. depending on the designer's creativity and techniques, deriving the changes of the silhouette and creating high value-added jackets. Third, the tailored collar, which was a three-dimensional component made up of the upper collar, gorge line, lapel, and break line, was an important component that could express high value-added jackets. Changes in the width and the height of the break line position of the sides of the neck were represented as changes in the neck size of the collar, and changes in the vertex locations of the upper collar corner-point, the gorge line (the corner-point of the lapel and V zone) were also represented as diverse tailored collar designs. And the differences in the width and the length of each component of the collar were related to each other and represented as changes in the slope and angle of the collar outline. Fourth, the changes in sleeve designs of the jacket were in such items as the width of the sleeve opening, the width of the sleeve hem, and the length of the sleeve, and were represented as diverse sleeve designs such as widened sleeve opening types, and straight line types.

다문화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텍스타일디자인 콘텐츠 개발 연구 - 중국, 베트남, 일본의 민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 Contents Reflect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Society - Focused on Folk Paintings in China, Vietnam and Japan -)

  • 박상오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0권
    • /
    • pp.119-127
    • /
    • 2017
  • 세계화시대에 따른 다민족, 다문화사회는 이제 전세계가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현상이다. 우리나라도 이미 다문화사회로 진입하였기에 더 이상은 단일민족이라는 이데올로기에 머무를 수만은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 다문화사회관련 국가정책과 연구들은 제도적 측면과 한국문화의 일방적 교육에 국한되어 있기에 본 연구는 이러한 실질적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하는데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각국의 문화가 함축적으로 반영된 민화에서 디자인 리소스를 확보하고 생활 속 의식주에 가장 밀접한 섬유제품에 접목시킬 수 있는 텍스타일디자인 콘텐츠를 개발함으로서, 문화적 교류에 의한 소통방안을 제시하고자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내의 결혼 이민자 현황을 기반으로 빈도수 상위 3개국인 중국·베트남·일본의 민화의 특성 분석결과를 통하여 배색 및 텍스타일패턴디자인콘텐츠로 개발함으로써 다양한 섬유상품들에 즉각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도록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다문화사회는 국제결혼을 통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은 결혼이민자 국가는 중국, 베트남, 일본, 필리핀, 캄보디아, 타이, 몽골,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화는 각국의 차별화된 문화가 함축적으로 내제되어 있는 중요한 요소로서 텍스타일디자인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적합하였다. 셋째, 중국, 베트남, 일본의 민화를 활용하여 문양 및 배색 DB구축 및 텍스타일 패턴디자인콘텐츠를 개발한 결과 각국의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콘텐츠의 활용도와 상품화의 가능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사회 구성원 간의 문화를 자연스럽게 공유하고 접하는 정서적·예술적 측면의 화합과 차별화된 관련 상품개발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2000년대 여성패션에 나타난 재킷유형분석 (Analysis on the Types of Jacket in 2000 Women's fashion)

  • 송정아;박미경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08-619
    • /
    • 2017
  • In this research, we analyze jackets from the Paris Haute Couture Collection from 2000 S/S~2015 F/W to investigate how shape, tailoring component, and design of jackets have changed. Our analysis of 2,493 jackets from the collection shows that the hour-glass silhouette was the most popular among silhouettes and that standard-length was the most popular jacket length. Such jacket shape expresses the natural beauty of human body. Regarding Tailoring Components, our analysis shows that tight sleeve and natural shoulder line, which is neither too wide, padded, nor low, were prevalent. The analysis also shows that tailored collar and button closure were the most common. Tight sleeve and natural shoulder line, which fit the body outline, allow the silhouette to show natural curves of the human body. As for jacket design, popular colors differed by season, but single-colored jackets prevailed, and woven was the most used material. Since 2000, the most favored form of jacket in women's fashion was a standard-length jacket with an hour-glass silhouette, tight sleeve, natural shoulder line, and tailored collar. This suggests that jackets emphasizing natural curves of the body were favored. Overall, silhouette, length, sleeve, and shoulder line remained consistent while collar and closure varied. This indicates that collar and closure method play a significant role in changes in fashion. Seasonally, elements of shape, tailoring component, and design coexist, but once the shape is determined, the tailoring component and design change in relation to each other.

패션잡지에 나타난 양성이미지의 사회적 의미변화에 관한 연구(II) -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s of Social Meaning of Androgynous Image in Fashion Magazine(II) -Focused Fashion Design Element-)

  • 유홍식;황선진
    • 복식
    • /
    • 제53권5호
    • /
    • pp.111-12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women´s fashion with the design elements(silhouette, material, color, detail and trimming) of androgynous image which has appeared on our specialized fashion magazine from 1986 through 2000. As a result of this study I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 1. The bon silhouette led the market in the first stage of mid 1980. The wool and leather with the masculine image, cotton and soft material with unisex image were used to express the androgynous image. The dark and mono tone with the masculine image were used a lot in color. In women´s fashion the minimalism style with simple image was expressed escaping from the decoration, in which the detail and trimming was not found as in men´s wear. 2. It showed that more and more feminine image was accepted in the second stage of early 1990. Women´s wear silhouette with the androgynous image has changed from masculine box silhouette boomed in the first stage to hourglass silhouette and slim silhouette. The wool and leather were used a lot as the materials in the first stage but the usage of the cotton with unisex image and soft texture were getting increased. The main colors were the black and the blue but the usage of the white and the red were on the increase showing the range of the use was extending. In the meantime, the detail and trimming were hardly used like in the first stage. 3. In the third stage of the late 1990, the silhouette has changed to slim style. The wool and leather were mainly used as the materials but the cotton and silk were on the increase showing that the materials of the feminine image were used in the women´s fashion with the androgynous image as well as the materials of masculine image. In color, the black and the white of the masculine image were used increasingly by the effect of the minimalism and the usage of the colors were various for the rising frequency of the trend colors usage.

한·중 패션디자인에 표현된 전통적 요소의 응용에 관한 연구: 이상봉과 비비안 탐을 중심으로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Elements in Korean and Chinese Fashion Design in: Lie Sang Bong and Vivienne Tam)

  • 김은영;김은정;이미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8호
    • /
    • pp.1-1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pplication of raditional elements in Lie Sang bong and Vivienne Tam's Fashion Design. The methods of research, the references to the precedents of prior research, fashion related journals, articles, and websites of designers were examined to analyze how each designer reinterpreted the respective homeland's traditions. The designs of Lie Sang bong and Vivienne Tam studied were from the 2002-03 F/W to the 2012 S/S collec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both designers use traditional marks when reinterpreting the traditional clothes of Korea and China. In the case of Lie Sang bong, traditional Korean marks were linked to the western structure. For Vivienne Tam, designs which revived realistic marks identically were displayed. Second, in terms of the modern re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clothes shapes, there were a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silhouettes of their respective country's traditional clothes were mainly brought into their arts. Lie Sang bong was influenced by the 'line' of traditional Korean design. In addition, the atmosphere of the traditional clothes helped to reanalyze the traditional clothes' figure. In Vivienne Tam's designs, unique Chinese images were produced by, keeping the original form of the Chinese dress. Third, in the use of the traditional ornament techniques, Lie Sang bong partially introduced and applied traditional ornament techniques while Vivienne Tam largely decorated the traditional. Chinese ornaments while directly utilizing the structuring designs.

고등학생의 한복 이미지, 선호 유형, 전통한복 인식 분석: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Hanbok Image, Perception and Preference Type of High School Students: Focused on Participation in Hanbok Classes and Gender)

  • 김상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1-9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한복 이미지, 한복 선호 유형, 전통한복 인식을 알아보고 성별 및 한복수업 참여 여부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 고등학생 438명의 자료를 수집한 후 SPSS를 사용하여 빈도 분석, 교차 분석, t-검정, F-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고등학생은 한복을 우아한 이미지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대중매체 및 온라인상에서 화려한 한복 디자인에 노출되어 한복에 대한 화려한 이미지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복 이미지는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서 통계적 유의미성이 확인되었다. 촌스러운 이미지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고, 한복수업 미참여 남학생 집단이 수업 참여 남학생 집단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이 선호하고 있는 한복 유형은 전통한복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퓨전한복, 생활한복, 패션한복 순으로 나타났다. 한복 선호 유형은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특히 패션한복에 대한 선호는 한복수업참여 집단이 미참여 집단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전통한복에 대한 인식도는 보통 이상이었고 하위요소별로 살펴보면 심미성, 지속가능성, 실용성 순으로 나타났다. 전통한복 인식은 한복수업 참여 여부,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그리고 한복수업 참여 학생이 미참여 학생에 비해 전통한복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 종사자의 이미지메이킹 효능감에 의한 긍정적 사고, 자아존중감 및 직무몰입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Job-Engagement, Self-Esteem, Positive Thinking on Image-Making Efficacy of Beauty Professionals)

  • 이유림;유진우;김장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377-386
    • /
    • 2020
  • 소비자와 대면의 접점이 넓은 뷰티종사자의 이미지는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하여 소비자의 만족도 및 충성도를 높여줄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뷰티종사자들의 이미지메이킹 효능감에 의해 자아존중감과 긍정적 사고 및 직무몰입의 영향력과 관계성을 파악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 및 범위는 이미지메이킹 효능감, 긍정적 사고, 자아존중감, 직무몰입에 관련된 이론적 연구와 함께 서울과 경기지역에 소재하는 뷰티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SPSS 23.0,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 문항내적합치도 계수 산출, 기술 통계분석, Pearson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한 연구모형의 직접경로계수 추정, 간접효과를 검증을 위한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뷰티종사자의 이미지메이킹 효능감은 자아존중감, 긍정적 사고, 직무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뷰티종사자의 자아존중감은 긍정적 사고 및 직무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뷰티종사자의 긍정적 사고는 직무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 및 긍정적 사고가 뷰티종사자의 이미지메이킹 효능감과 직무몰입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쇼의 트렌드 반영성(反映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 실루엣, 디테일, 색상(色相), 패션 이미지 등(等) 4가지 디자인 요소(要素)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Reflective Property of Trends in Fashion Shows - Focused on Three Designing Factor of the Silhouette, the Detail, the Color and the Fashion Image -)

  • 이명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3권4호
    • /
    • pp.147-160
    • /
    • 1999
  • This paper is intend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fashion trends that were introduced in the recent shows, held abroad and in Korea, so as to investigate how well the designers in Taegu and Kyungbuk (TK) area are keeping up with the international vogue. The research has done, analyzing Pret-a-Porter in Paris and the three events held in the TK area in 1997 -The Taegu Collection, Kyungbuk Fashion Festival and Textile & Apparel Fair and using reference pictures and documentary record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rends the research is divided by four groups which are the silhouette, the detail, the color and the Fashion image and has done with the help of three post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Silhouette The slim-line has the greatest importance in the silhouette analysis of the recent collections. Like Elongated and Fit & Flare, tight-fitting and female-line were also appeared quite a lot. Compared with foreign collection, Korean collections put the bigger importance on the slim-line. 2. The Detail The printings, using paintings and plant-logos had the large portion of the accessories in both foreign and Korean collections. Draw string and wrap style were also presented a lot. Especially, at the Korean collections, layerd, corsage, and craft accent were emphasized, too. As for the necklines the similarity was found over the four events considering. Camisole neckline and halter neck were presented the most, and bared top, Vneckline, boat and low-neck which can highlight the feminity were often appeared as well. Considering collars, tailored and peaked collars which are frequently used for the jackets, were usually shown at the collections. Like convertable, shirts, wing and Italian collar, the collars that can be applied for the sports wears were presented a lot. Virtually no variation of design was found in the sleeve analysis. While set-in-sleeve and sleeveless were found commonly, not so many ornaments were added to the sleeves. The ankle and knee length for the pants and skirts were common. Furthermore, including the micro-mini, showing extremely feminine style the mini-style had the 20% portion of the skirt-length. Unbalanced lengths, using bias-cut were presented quite a lot on the runways. Deep slit skirts, wide pants and irregular hem skirts were in vogue. On the runways of Paris, more than 21% of the design was the burmuda pants. 3. The Color Red and Blue were in vogue in the four collections considering. Sometimes, yellowish was combined in Korean collections. Black and pale tone were appeared to be in fashion also with light grayish, moderate and deep tone. 4. The Fashion image As for the fashion image, feminine-decorative trend amounted to the large percentage in korean collections. At the foreign collection feminine-decorative trend and feminine trend were predominant, then mannish trend and simple trend were apeared equally. The research shows that TK area and foreign collections are fairy similar, which means that the designers in TK area have been making their efforts to satisfy the clients who have the international minds. However, compared with foreign collections, TK collections were apprered to be strongly inclined to only a few trends. Consequently the season trends are not as diverse as the foreign trends, which cannot satisfy the fashion taste of the clients in TK area. The local designers should know the tendency and the taste of the clients and make the more efforts to read local clients' min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