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션디자이너 역량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패션디자이너 역량모델링 구축 (Fashion Designer Competency Modeling)

  • 장남경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69-378
    • /
    • 2018
  • This study started with the need for transition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as well as the witness of fast changes in fashion industry's job environment.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1) to explore fashion designers' competencies that are necessary for a successful careers in global fashion industry, and (2) to establish fashion designer competency model.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participants who have charged for design department and moreover have shown high performance in national, licence or designer brands in Korea fashion industry. Grounded theory was adopted to analyze data. As a result of analysis, the 4 core competencies emerged: problem-solving, research, inter-personal, and self-development. Each core competency has sub-competencies. Creativity, commerciality, control, decision making were sub-competencies for the problem-solving competency. Information management, innovation understanding & application, trend analysis & forecasting were sub-competencies for the research competency. Consumer, inside company, and outside company relationships were sub-competencies for the inter-personal competency.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expertise were sub-competencies for the self-development competency. In order to acquire these competencies, knowledge (academic, practical, multi-discipline), skills (sense, analysis, synthesis, communication), and attitude (interest, enjoyment, perseverance, personality) were essential.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university fashion design education and further research areas were suggested.

패션 디자인 주체에 따른 패션디자이너 역량 및 제품 품질 지각 -Human vs. Human+AI vs. AI- (Perception of Fashion Designer's Capability and Product Quality -Human vs. Human+AI vs. AI-)

  • 정주리;장세윤;이유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743-759
    • /
    • 2023
  • Collaboration between AI and fashion designers is becoming essential. Thus, this study explored (1) 321 consumer responses to fashion designers, comparing their capabilities and product quality across different designer types, (2)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er capabilities and perceived product quality, and (3) the moderating role of AI knowledge in the effect of capabilities on perceived product quality. Data were analyzed using EFA, ANOVA, regression, and moderat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ubjects perceived human designers as having higher capabilities and perceived product quality than AI designers. All subjects' perceived creativity and empathy significantly impacted the perceived functionality, aesthetics, and symbolism-sociality of clothing. Additionally, the perceived creativity of AI and human+AI designers, and the perceived empathy of human and human+AI designer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erceived functionality and symbolism-sociality, but the perceived creativity of human designers and empathy of AI designers did not directly impact perceived functionality and symbolism-sociality. Moreover, perceptions of the designers' capabilities significantly aesthetics in all subjects. Furthermore, low levels of perceived consumer AI knowledge enhanced the positive impact of perceived human+AI designers' creativity and empathy on perceived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The study suggests that fashion companies should refrain from revealing AI designers at this time.

온라인 패션쇼핑몰의 성공적 창업에 대한 탐색적 사례연구: 소호쇼핑몰의 기업가적 과정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Case Study of a Successful Online Start-up Fashion Shopping Store: Focusing on the Entrepreneurial Process of a Soho Shopping Mall)

  • 손미영
    • 감성과학
    • /
    • 제25권3호
    • /
    • pp.91-10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패션시장에서 소호 패션쇼핑몰의 성공적 창업의 성장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현재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4개 소호 패션쇼핑몰을 대상으로 기업가 과정을 창업기회포착, 사업모델, 위기관리 및 사업성과 등 3개 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사례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S사는 짧은 경력의 창업자가 패션감각과 기업가정신으로 전자상거래를 창업한, 가격경쟁력과 디자인력, 다양한 상품구색을 갖춘 캐주얼 쇼핑몰로 데이터 관리/분석, 유통채널 다각화를 통해 성장한 사례이다. B사는 짧은 경력의 창업자가 SNS 네트워크 역량과 기업가정신으로 제조업/전자상거래를 창업한, 아이템 경쟁력과 스타트업 특성을 갖춘 컨템포러리 쇼핑몰로 브랜드 정체성 확립, 시장 확장을 통해 성장한 사례이다. M사와 C사는 보다 긴 경력의 창업자가 브랜드 인지도가 있는 소호 패션쇼핑몰 사례이다. M사는 풍부한 경력과 디자인 정신의 창업자가 감성적/감각적 패션디자이너 브랜드를 창업하여 기업 지평을 넓히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성장하였고, C사는 디자인 역량과 기업가정신의 창업자가 감성 표현에 집중한 럭셔리 패션브랜드를 창업하여 적극적인 고객관리를 통한 브랜드인지도 및 매출 확보 등을 통해 성장한 사례이다. 본 연구 결과는 소호쇼핑몰 예비창업자나 창업과정의 교육 및 연구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SDGs 지속가능한 디자인 교과목 운영 사례연구 - 패션디자인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Sustainable Design Curriculum for the implement SDGs focus on fashion design major)

  • 신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325-335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패션디자인학과에서 다양한 디자인 전공 학생들의 융합 교육에 따른 SDGs 지속가능한 디자인 교과목 운영 사례를 연구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교과목 운영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수업설계, 실행, 운영 결과로 교과목을 분석하였다. 지속가능한 디자인 교과목은 2~4학년 학생의 통합 구성으로 패션디자인 및 다양한 디자인 전공 학생이 수강하여 SDGs 과제에 따른 전공 심화와 주제 중심 통합교육에 따른 융합 역량을 강화하였다. 수업에서의 교육내용은 문제 발견과 해결을 통한 디자이너의 지속가능한 가치 추구를 위해 지역업체에서 개발된 폐페트병 섬유의 업싸이클 디자인을 통한 지속가능 발전 목표를 실현하고 다양한 업싸이클 상품 디자인을 개발하고 평가 지표 및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SDGs의 실현 가치를 이해하고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디자인적 접근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 기여와 다양한 디자인 전공과의 융합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