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판촉 이용성향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의류상품 소비자의 판매촉진 반응유형과 쇼핑성향

  • 김세희;이은영
    •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 /
    • v.4 no.3
    • /
    • pp.33-46
    • /
    • 2000
  • 본 연구는, 그 동안 간과되어 왔던 의류 상품의 판촉에 초점을 맞추어, 판촉의 여러 방법 별 소비자들의 반응 정도를 알아보고, 그 반응 경향이 소비자의 인구통계적 특성, 판촉에 대한 태도, 의복 쇼핑 성향, 기타 의복 구매 행동과 연관성을 가지는지를 규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수도권 거주 여성 444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이용해 분석이 이루어졌다. 실증적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판촉의 각 방법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 정도는 가격 할인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디스플레이, 쿠폰, 사은품, 백화점 패션쇼, 경품의 순서로 나타났다. 가격 할인, 디스플레이, 사은품, 쿠폰, 백화점 패션쇼 등 5가지 판촉 방법에 대한 소비자 반응 정도를 기준으로 군집분석한 결과 판촉에 대한 반응 유형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 5개 집단을 규명할 수 있었다. 각 집단의 인구통계적 특성들 중에서는 소비자 자신의 학력과 자녀의 연령만이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각 집단의 판촉 태도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각 집단은 의복 쇼핑 성향 및 의복 구매 관련 정보원 이용에서 차이를 보였다. 결론에서는, 실증적 연구의 결과 판촉에 대한 소비자 반응 유형별로 인구통계적 특성, 판촉 태도, 의복 쇼핑 성향, 기타 의복 구매 행동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므로 의류 상품의 판촉 전략 수립시 표적 집단의 특성에 따라 판촉 방법 선택이나 판촉 정보 전달 경로 등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예를 들어, 신중/경제적 쇼핑 성향을 가지며 판촉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인 소비자들에 대해서는 다양한 정보 전달 경로를 통해 가격 할인이나 쿠폰을 제공하는 것이 좋은 판촉 방법이 될 것이며, 쾌락/유행 지향적이고 상표/품질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에 대해서는 잡지, 인적 정보, 카탈로그 등을 정보 전달 경로로 하여 디스플레이나 패션쇼를 통해 판매 촉진을 할 수 있을 것이다.0.10 $h^{-1}$과 0.09$h^{-1}$h-1이었고, 반감기는 각각 6.93 및 7.70시간으로 측정되었다. 각각의 농도에서 12시간 및 8시간 이후에는 g당 0.19$\mu\textrm{g}$ 및 0.18$\mu\textrm{g}$이하로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Phosphamidon과 profenofos의 급성어독성은 profenofos가 높았고, BCF profenofos가 phosphamidon보다 약 100배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배설속도는 phosphamidon이 profenofos보다 약 2배 정도 빨랐다.

  • PDF

A study on the Impact of Consumers' Deal Proneness on Purchasing Behavior of Cosmetics (판매촉진 이용성향이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Lee, Seung-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and Beauty
    • /
    • v.2 no.2 s.2
    • /
    • pp.48-5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variables influencing consumers' deal pronenes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85 college female students living in Daegu, Korea vi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were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X^2-test$, t-test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of demographic variables between domestic and imported cosmetics' consumers. 2) Deal proneness which were Consumers' responses to sales promotion were classified into six factors which were mileage proneness, display proneness, gifts proneness, sample/coupon proneness, sweepstakes proneness, make-up show proneness. 3) Domestic cosmetics' consumers who had higher gift proneness, sample/coupon proneness, mileage proneness ha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e buying experience of promoted cosmetics. Imported cosmetics' consumers who had higher sample/coupon proneness and lower make-up show proneness ha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e buying experience of promoted cosmetics.

  • PDF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mpulsive Internet Shopping Tendency and Personality (인터넷 쇼핑 충동구매성향과 개인성향의 관계 연구)

  • Yang, Moon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5
    • /
    • pp.710-719
    • /
    • 2016
  • Impulsive buying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ajor negative shopping behavior. Indeed, it happened more easily in the Internet shopping area.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on the compulsive buying tendency of college students who are actively shopping clothing and apparels through Internet.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there are four types of compulsive buying tendency such as 'diversion', 'no-plan', 'buyer/ product-stimuli' and 'promotion-stimuli.' It seemed that personality such as sensation seeking, need-for cognition, self-esteem, and face-consciousness had influence on the impulsive buying tendency. More specifically, people with low self-esteem and high face-consciousness tend to have more impulsive buying tendency.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f the impulsive buying tendency and personality had been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