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판매종사자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해선어 양식업이 첨단산업으로 가는 길

  • 조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5-16
    • /
    • 2003
  • 이제 바다로부터 식량을 얻는 방법이 어선을 통해 포획하는데서 점점 연근해에서 양식을 통해 생산하는 쪽으로 선회를 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가 되어가고 있다. 이와 같은 양식업의 점진적 발전은 해수 환경을 보전하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먹이(사료)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물고기의 먹이로 적합한 어분 및 잡어의 생산과 공급은 해마다 어족 자원의 고갈로 감소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양식어종의 사료로 어분이나 잡어를 대체할 수 있는 단백질 공급원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역사적으로 대두는 약 5000년 전 중국에서 재배되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본격적으로 19세기 초부터 대두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여 대두가 사람에게 중요한 단백질과 기름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1950년대 초반에 이르러 대두박이 값싸지만 단백질이 풍부한 사료원료로서의 가치가 입증되면서, 축산업이 오늘의 전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그렇지만 바다에서 식량을 생산하는데 있어서도 육지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두류작물인 대두와 대두제품을 활용하기 시작한 것은 먼 오래전의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담수어종인 잉어, 뱀장어 및 틸라피아등에서 대두박의 영양학적 우수성이나 경제성이 이미 입증된 바 있다. 앞으로 해산어 양식기술의 발달은 해산어용 전문 배합사료의 개발과 보급 없이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미국, 일본, 노르웨이등 해산어 양식 선진국들일수록 이 부문에 대한 연구 개발 노력이 특히 활발하다. 식생활은 물론이고 심지어는 친환경적 산업 제품에 이르기까지 대두와 대두제품이 우리의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은 결코 콩이 지닌 물리적 성상, 영양학적 및 경제적 가치의 우수성 때문만은 아니다. 미국은 자국의 대두 생산자들이 생산해 낸 대두를 판매하면서 조성한 자조금을 모아 대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 개발과 국내외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마케팅 활동에 쓰고 있다. 이런 자조 노력은 비단 미국의 대두 농민들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가깝게는 일본의 수산업과 해산어 양식산업의 발전은 중앙 및 지방 정부, 수협과 같은 어민 조합 및 연근해 수산업 종사자들이 출연한 기금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난 8월 북해도의 양식산업을 시찰했을 때 확인할 수 있었던 사실이다. 이제 우리나라도 국민소득 1만불 시대를 넘어 2만불 시대를 열기 위한 청사진을 그릴 만큼 모든 경제의 규모가 확대되었을 뿐 아니라 질적으로 고도화되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성숙된 산업사회에 걸맞는 각 산업 주체들의 의식이다. 한국의 양식산업도 자조 정신을 갖추어 생산성 향상에 초점을 맞춘 양식기술의 개발, 환경 보전을 고려한 양식장 관리 및 소비를 확대하기 위한 유통시스템의 선진화에 스스로 투자를 해야 할 시기에 와 있다.

  • PDF

Factors Associated with Self-Assessment of Halitosis in Adult (일부 성인에서 자가 구취 인식도와의 관련요인 분석)

  • Han, Ji-Seon;Hong, Ju-Hee;Choi, Jun-S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12
    • /
    • pp.347-356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self-assessment halitosis and to offer the basic information that establishes a strategy of effective health promotion and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performed a questionnaire survey. The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the 362 adults, who liv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from May to July, 2010.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Chi-square test in the SPSS version 12.0 program. The prevalence rate of self-assessment halitosis was 24.3%. Hypertension, diabetes, medication and inadequate oral hygiene practic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lf-assessment halitosis. Other factors of self-assessment halitosis were older age and occupation. As a result, dental professionals have to investigate a systemic disease history thoroughly. And they have to educate regular checkup of oral health and to perform a continuous feedback. The self-assessment halitosis has a negative influence on mental health and social life, so dental professionals must take into consideration about the halitosis.

Changing Industrial Structure and Employment of Older Males in the United States: 1880~1940 (미국 산업구조의 변화가 고령 남성의 고용에 미친 영향: 1880~1940)

  • Lee, Chulhee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26 no.3
    • /
    • pp.1-28
    • /
    • 2003
  • This article examines the employment status of older male workers in the era of industrialization, focusing on the questions of how the extent of pressure toward retirement varied across different occupations, and how it changed over time. A comparison of hazard of retirement across occupations shows that men who had better occupations in terms of economic status and work conditions were less likely to retire than were those with poorer jobs. This result tends to reject the recent view that retirement was more voluntary than forced as early as a century ago. The difficulty faced by older workers in the labor market, as measured by the relative incidence of long-term unemployment, was relatively severe among craftsmen, operatives, and salesmen. In contrast, aged farmers, professionals, managers, and proprietors appear to have fared well in the labor market. The pattern of shifts in the occupational structure that occurred between 1880 and 1940 suggests that industrialization had brought a growth of the sectors in which the pressure toward departure from employment at older ages was relatively strong.

  • PDF

여성의 이중부담과 유급노동시간의 주변화 맞벌이부부를 중심으로

  • Son, Mun-Geum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8 no.1
    • /
    • pp.277-311
    • /
    • 2005
  • 본 연구는 여성이 가족과 일을 병행하려 할 때 안게 되는 이중부담의 양과 유급노동시간과 무급노동시간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의 차이를 통해 남성과 여성의 시간사용구조를 살펴보고, 이중부담이 노동시간양${\cdot}$노동시간대${\cdot}$노동장소로 나타나는 여성 유급노동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자료는 통계청의 1999년 생활시간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맞벌이 가구의 여성은 남성보다 하루 평균 1시간 51분 많은 총노동시간을 가지면서 주당 약 13시간의 이중부담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만성과 여성의 노동시간사용구조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었다. 즉, 여성은 경제활동에 참여한다할지라도 무급노동시간의 89%를 책임지고 있었으며 여성의 노동시간은 가족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젠더화된 생활시간사용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기존연구결과와 다르게 가내하청/재택근무, 자영, 무급가족종사와 같은 종사상지위와 미취학자녀의 존재는 여성에게 유급노동시간을 조절하는 기재가 되지 못했고 무급노동시간을 늘리는 역할을 할 뿐이라는 점이 한국사회 여성의 이중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맞벌이가구 여성은 무급노동에의 일차적 책임으로 남성보다 야간유급노동이나 휴일유급노동시간을 줄이고, 단시간노동을 선택하며, 집안에서의 유급노동시간을 길게 하면서 가족생활시간을 확보하는 유급노동시간 조절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노동방식은 노동시장에서 여성노동의 불안정성을 만들어내고 주변화시키는 요인이다. 그러나 또 한편으로 서구사회와 비교하면 한국사회에서 여성이 경제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야간노동과 휴일노동, 장시간노동이라는 남성적 노동조건을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판매/서비스직의 자영자와 무급가족종사자 여성들, 가내하청이나 재택근무를 하는 임금근로자 여성들, 학력이 낮은 기능/조립직과 단순노무직 여성들은 야간노동이나 휴일노동, 집안에서의 유급노동시간이 길뿐 아니라 절대적인 유급노동시간과 무급노동시간도 길게 나타났다. 그러나 미취학자녀의 존재가 이러한 여성적 유급노동시간의 특징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었다.

A Comparative Study of the Local Identity among Inchon Citizens (인천시민의 특성별 지역정체성 비교)

  • 최병목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2 no.1
    • /
    • pp.93-121
    • /
    • 1999
  • 이 연구는 인천의 정체성을 알아보는 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실증적 방법과 민속학적 방법 두 가지를 병행하였다. 시민단체, 공무원, 학생을 대상으로 임의목적표본방법을 사용하여 총 613명이 분석되었다. 분석방법은 교차통계분석 및 다중분류분석을 하였다. 정체성은 한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집단결속력과 성취도를 결정하여 주며, 그 지역의 사회적 통합과도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어서, 지역의 문제나 관심사를 해결하고 발전시키는데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인천의 정체의식은 세 집단 모두 낮으며, 전체응답자의 절반 이상은 그저 그렇다는 중용의 의견이었다. 인천에 대한 정체의식을 응답집단의 특성별로 보면 여자보다는 남자가 높고, 기혼자보다는 미혼자가 높으며, 30세 이상으로 연령이 많을수록, 수입과 생활수준이 낮을수록 정체의식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전문.관리.사무직보다는 판매.서비스.생산.농업직 종사자들의 정체의식이 높았다. 전문대 정도의 교육을 받은 시민의 정체의식이 상대적으로 높고, 인천의 문화.복지.환경개선을 위한 특별기금 기부의사가 있는 시민과 인천을 마음붙이고 살 곳으로 생각하는 시민의 정체의식이 높다. 총괄적인 의미에서 본 인천의 정체성에 관한 조사를 보면, 인천은 "주인의식 없음"과 "이제부터 만들어 가야 한다"는 답변이 제일 많았고 그 다음은 "포용력", "선구적 개척정신", "긍정적인 의미의 짠물", "합중시(合衆市)적 다양성", "외세에 대한 호국정신", "세계의 관문도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응답유형으로 보아서는 인천지역에 대한 이미지를 한마디로 딱 잘라 말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인천은 서울.경기인, 충청인, 호남인, 영남인, 이북인, 외국인 등을 가리지 않고 받아드리는 "포용력이 있는 합중시적 다양성을 가진 도시"로 지역차가 서로 다른 출신성분이 공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하는 바가 크다. 이는 "세계속의 도시"와 "동북아의 거점도시"를 추구하는 미래지향적인 시각에서는 지역주의를 지양하고 지역통합이슈와 세계화 물결속에서 외국인에게도 열린 상태문화를 제공하는 관문이 될 것이라는 면에서 인천이 추구해야 할 정체성으로 시사하는 점이라고 본다.는 미래지향적인 시각에서는 지역주의를 지양하고 지역통합이슈와 세계화 물결속에서 외국인에게도 열린 상태문화를 제공하는 관문이 될 것이라는 면에서 인천이 추구해야 할 정체성으로 시사하는 점이라고 본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Hotel Corporate Culture on Service Quality and Organizational Output (호텔 기업 문화가 품질 및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ong, Ki-Ok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16 no.1
    • /
    • pp.191-208
    • /
    • 2010
  • The hotel business should enhance a service quality in order to improve management skills and profits. However, when compared the size of foodservice industry and hotel, it is show that the hotel management systems are insufficient. In this respect, this study examines how the culture of hotel business affects to service qual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ulture of hotel business affects restaurant tendency. Consequently, the hotel, which is open-minded culture, copes with the external changes in a flexible manner. Second, the culture of hotel business affects hotel management skills. Good culture of the business creates the positive result toward the employees, customers, prime cost and inventory control. Third, hotel restaurant tendency affects to efficient hotel service qual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Fourth, change of hotel management skills brings difference of service qual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Good hotel management skills will be able to raise the competitive power between hotels. In the future, various empirical researches are continuously expected. By doing so, the result of the study helps to scholars and hotel managers.

  • PDF

HACCP Model for Quality Control of Sushi Production in the Eine Japanese Restaurants in Korea (일본전문식당의 급식품질 개선을 위한 HACCP 시스템 적용 연구)

  • 김혜경;이복희;김인호;조경동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
    • v.13 no.1
    • /
    • pp.25-38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microbiological quality standards applying the HACCP system on sushi items of Japanese restaurant in Korea. The study evaluated hygienic conditions of kitchen and workers, pH time-temperature relationship, and microbial assessments during whole process of sushi making in 2001. Overall hygienic conditions were normal for both kitchen and for workers by 3 point scale, but hygienic controls against the cross-contamination were still needed. Each process of sushi making was performed under the risk of microbial contamination, since pH value of most of ingredients was over pH 4.6 and also production time(3.5~6 hrs) were long enough to cause problems. Microorganisms were high enough to cause foodborne illness ranged 8.0$\times$10$^2$~3.3$\times$10$^{6}$ CFU/g of TPC and 1.0$\times$10$^1$~1.6$\times$10$^3$CFU/g of coliforms, although TPC, coliforms and Staphylcoccus aureus were within the standard limits (TPC 10$^2$~10$^{6}$ CFU/g, coliforms 10$^3$CFU/g). However, Salmonella and Vibrio parahaemolyticus were not detected. High populations TPC and coliforms were also found in the cooks' hands and cooking utensils(TPC 10$^2$~10$^{6}$ CFU/100cm$^2$and Coliforms 10$^1$~10$^3$CFU/100cm$^2$). Based on the CCP decision tree analysis, the CCPs were the holding steps far six sushi production line except the tuna and the thawing step for tuna sushi. In conclusion, overall state of sushi production was fairly good but much improvement was still needed.

  • PDF

어류 초기 자어의 로티퍼 최초 섭이 일령과 포식수 분석을 위한 새로운 관찰 및 계수법

  • 정민민;민광식;지영주;위종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22-22
    • /
    • 2003
  • 로티퍼는 해산어와 담수어뿐만 아니라 식용어와 관상어에 이르기까지 모든 어류의 인공 종묘 생산 과정에서 초기 먹이생물로 이용되고 있는 중요한 동물 플랑크톤이다. 그리고 로티퍼를 초기 자어의 첫 먹이로 사용하는 것을 시작으로 알테미아, 코페포다 또는 초미립자 사료 등을 사용하는 어류 인공종묘 생산 과정에서의 먹이계열이 확립되어 있다. 그러나, 사육하고자 하는 어종에 따라 초기 자어기에서 로티퍼를 섭이하는 시기와 사육 일령별 자어의 로티퍼 포식수를 알 수 있는 정확한 방법이 없다는 이유로 지금까지는 자어의 로티퍼 최초 포식 일령 및 로티퍼 포식수를 개개의 연구자들 나름대로의 방법으로 관찰하여 왔다. 일반적으로 자어가 로티퍼를 포식하였는지의 여부 및 포식수는 자어 소화기내에 존재하는 소화가 진행되기 전의 로티퍼 몸체의 수를 계수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로티퍼의 체내에는 섬모환으로 모은 수중의 먹이 현탁액을 소화기계로 이동시키기 전에 먹이를 잘게 다지고 부수는 기능을 하는 저작기 (trophi)가 존재한다. 그리고 이 저작기는 로티퍼의 종에 따라서 다른 형태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자어가 섭이한 로티퍼는 어류의 소화기내에서 소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로티퍼의 체 구조 중 저작기가 쉽게 소화되기 어렵고 소화기관의 연동 운동에 의해서도 쉽게 그 모양이 손상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 저작기의 수를 계수하므로서 로티퍼의 최초 섭이 일령 및 일령별 로티퍼 포식수를 계수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소화기내의 잔존 로티퍼 몸체만으로 계수 관찰하던 기존 방법에 비교하여 로티퍼의 저작기를 계수하는 방법을 이용할 경우 보다 신뢰도가 높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경제적 가치의 우수성 때문만은 아니다. 미국은 자국의 대두 생산자들이 생산해 낸 대두를 판매하면서 조성한 자조금을 모아 대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 개발과 국내외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마케팅 활동에 쓰고 있다. 이런 자조 노력은 비단 미국의 대두 농민들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가깝게는 일본의 수산업과 해산어 양식산업의 발전은 중앙 및 지방 정부, 수협과 같은 어민 조합 및 연근해 수산업 종사자들이 출연한 기금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난 8월 북해도의 양식산업을 시찰했을 때 확인할 수 있었던 사실이다. 이제 우리나라도 국민소득 1만불 시대를 넘어 2만불 시대를 열기 위한 청사진을 그릴 만큼 모든 경제의 규모가 확대되었을 뿐 아니라 질적으로 고도화되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성숙된 산업사회에 걸맞는 각 산업 주체들의 의식이다. 한국의 양식산업도 자조 정신을 갖추어 생산성 향상에 초점을 맞춘 양식기술의 개발, 환경 보전을 고려한 양식장 관리 및 소비를 확대하기 위한 유통시스템의 선진화에 스스로 투자를 해야 할 시기에 와 있다.치가 완전히 익은 15일 후에는 무첨가 김치, 0.1%, 0.2% 및 0.3% 고분자 키토산 김치의 젖산균 수는 5.4X107 cfu/g, 3.3X107 cfu/g, 8.6X106 cfu/g 및 2.6X106 cfu/g로 나타났다. 5. 발효가 진행 중에 대장균 군 수가 시간과 더불어 대장균군 수가 모든 구에 있어서 6일까지는 서서히 증가하다가 그 후부터는 대장균 군 수가 감소하였다. 즉, 발효초기에는 모든 구가 2.0X104∼4.0X105 cfu/g이었고, 6일 경에는 8.9X104∼4.5X105 cfu/g로 약간 증가하였으며 15일후에는 키토산 무첨가 김치가 2.0X

  • PDF

A Study on the Effects of Migration History on Tenure Choice : Focusing on the Determinants and Relationship between Migration Typology and Housing Choice (이주 유형이 자가소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결정요인과 이동유형 별 주거선택과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 Chun, Jin-Hong;Lee, Seong-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3 no.6
    • /
    • pp.651-673
    • /
    • 2007
  • In the studies on residential move, there has been tendency of dichotomy where short distance moves are largely caused by housing to adjust to changes in households while long distance moves are induced by shift in labor market. However, some empirical studies have proven that residential move is so complex process that the simple dichotomy should be elaborated. In this sense, the present study seeks to identify compounded course of residential move in Korea. In determining migration history, families with younger householders, renters, householders with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and smaller households show a higher probability to move. In case of mobility, women were more prone to move compared to man. Women compared to man, older age augmented the probability to own a house after migration. Families with householders following an occupation of sales and technical service showed lowest tendency to own houses while it marked the highest in the group of professionals. Higher land price of a reg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owning houses after migration.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factors in macro level as well as micro level significantly affect the move of individuals with varying effects in accordance with migration history.

  • PDF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VID-19 Pandemic Recession and Resilience: Focusing on the Urban Employment Crisis and Recovery (코로나19 팬데믹 경기침체와 회복력의 지역적 특성: 도시 고용위기와 회복을 중심으로)

  • Yim, Seokhoi;Song, Juyou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3
    • /
    • pp.281-298
    • /
    • 2022
  • The COVID-19 pandemic has so far given the world a great shock and fear that cannot be compared to other infectious diseases, and local economies are experiencing a serious economic crisis accordingly. This paper examine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conomic recession and resilienc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focusing on the employment fluctuations in 85 cities nationwide. Although the overall trend is in line with national employment indicators,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shock response and the recovery of employment in individual cities. The difference between cities is somewhat greater in the resilience of the recovery stage than the resistance, which is the shock-response stage. In terms of resilience, cities in the capital area have relatively good condition compared to cities in the non-capital area. The weak resilience of large cities such as Seoul, which has a high population density, can be explained to be the effect of the COVID-19 pandemic of infectious diseases. Regarding the economic structure of the city, the ratio of service and sales workers, wholesalers and retailers, and food and lodging businesses are analyzed as valid explanatory variables for the resilience of c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