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파형

Search Result 2,910,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study on the roughness coefficient of NPE-coated corrugated steel pipes and inner flat steel pipes (NPE 피복 파형강관과 내부평활 파형강관의 조도계수 검토)

  • Jeong-Myeong Lee;Yoon-Hwan Jeong;Jin-A Jegal;Seung-Ho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11-311
    • /
    • 2023
  • 파형강관은 아연도금강판을 물결모양으로 성형하여 나선형으로 조관한 연성관으로 콘크리트 흄관을 대체하여 각종 토목공사의 우수 및 하수관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파형강관은 강판에 물결 형상을 성형하여 내하력을 부여하였기 때문에 높은 강도를 지니고 있고, 경량이고 유연성이 있어 기초공사가 쉽고 현장에서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여 그 활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파형강관의 내/외부에 기능성 고분자 복합 Polymer(다중필름)을 코팅하여 일반 파형강관 대비 더 높은 내식성 및 내마모성을 구현한 제품을 NPE 피복 파형강관이라 하며, 내부에 평판을 2중으로 결합하여 일반 파형강관 대비 통수능력을 개선한 파형강관을 내부평활 파형강관이라고 한다. 최근 파형강관의 활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파형강관에 국한된 수리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그마저도 주로 만관 혹은 만관에 가까운 상태에서의 흐름만이 고려되어 왔다. 하지만 대구경의 파형 강관이 우수 배관 및 하수 처리를 위하여 설치될 경우 개수로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NPE 피복 파형강관과 내부평활 파형강관 내에서의 개수로 흐름을 다양한 유량 및 수심 변화를 통하여 생성하였으며, 각각의 수리학적 조건에서 통수능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상수인 조도계수를 수리 실험을 실시하여 결정하였다. 이는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NPE 피복 파형강관과 내부 평활강관의 활용에 있어서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The Shear Strength Evaluation of Circularly Corrugated Steel Plates (원형 파형 강판의 전단좌굴강도 산정)

  • 한택희;임남형;김종헌;강영종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1.10a
    • /
    • pp.281-286
    • /
    • 2001
  • 최근, 경제적 이점과 전단강도의 증가효과로 인하여, 파형 Plate의 사용이 증가하여 있다. 일반 Plate에 대해서는 현재 거의 모든 시방서에 설계기준이 제시되어 있으나, 파형 Plate의 전단강도에 대한 규정은 제시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설계자가 파형 Plate의 여러 기하 조건에 따른 전단강도의 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수치해석에는 8절점 박판 쉘요소를 사용했다. 수치해석을 통하여 파형 Plate에 있어서 파형의 크기, 곡률, 파형 Plate의 두께에 따라 전단강도를 결정할 수 있는 식을 제안하였으며, 제안식은 파형 Plate가 일반 Plate에 비해 상당히 큰 전단강도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On a Waveform Coding Technique Using Pitch Searching and 3-Level Clipping (피치검색기법과 3-Level Clipping을 이용한 음성 파형부호화법에 관한 연구)

  • 김규홍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127-130
    • /
    • 1998
  • 피치검색과 3-level clipping을 이용한 새로운 파형부호화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우선 피치를 검출하여 기준피치파형과 인근피치파형을 검색한다. 그 후 유사도 측정시 기준피치파형과 인근 피치파형에 대해 3-level clippng을 수행한다. 클리핑된 기준피치파형가 인근피치파형간의 유사도를 측정하여 유사성이 크다면 피치정보와 에너지 정보만을 전송하거나 저장하여 압축을 하고, 유사성이 적다면 인근피치파형을 압축을 하지 않고 저장한다. 그 후에 저장된 ?ㅇ을 기준 피치파형으로 재정의 하여 다시 반복적으로 압축을 수행한다. 압축된 음성신호를 다시 복원할 때에는 수신 또는 저장된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PSOLA 방식으로 합성을 수행한다. 평균압축율이 약 65%일 경우에도, MOS 값이 4이상을 유지하였다.

  • PDF

AC-PDP에서 VDS를 이용한 구동파형 최적화 연구

  • 고재준;김영권;이춘우;조광섭;최은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00.02a
    • /
    • pp.196-19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다용도 구동 모사 장치인 VDS(versatile driving simulator)를 이용하여 기존에 상용되고 있는 AC-PDP의 파형 분석 및 구동 파형 최적화를 위한 기초 연구 결과들을 소개한다. 일반적으로 PDP, FED, LCD 등의 평판 표시장치들은 패널 자체의 특성 뿐만 아니라 패널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과 구동 방법에 따라 효율 및 화질을 포함한 전체 성능이 크게 좌우된다. 따라서 각 표시장치에 가장 적합한 파형과 구동법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특히 PDP의 경우 구동 파형이 효율과 화질에 미치는 영향은 절대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이들 평판 표시장치를 구동하는 상용회로들은 스위칭 회로를 이용한 것이 대부분으로 한 개의 파형 당 한 부분의 회로가 담당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즉 자유도가 매우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파형 변화에 따른, 그리고 구동법의 변화에 따른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새로운 개념의 구동모사 장치 VDS(versatile driving simulator)를 개발하였다. VDS 시스템은 디지털 기술과 아날로그 기술을 통합하여 제작된 구동 모사장치로써 평판 표시 장치에 인가되는 실제 파형 및 구동법을 손쉽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의 결과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 PDF

ECG based user identification method using neural networks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심전도(ECG)기반의 생체인식)

  • Min, Chul-Hong;Kim, Tae-Seon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6.06a
    • /
    • pp.791-792
    • /
    • 2006
  • 본 논문은 심전도의 리드III 파형을 이용하여 신원확인이 가능한 생체인식 기술을 제안한다. 인식을 위한 심전도의 리드III파형을 특징추출하기 위해 $4{\sim}30Hz$의 대역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피크(peak)점만 남겨놓고 모든 잡음을 제거한 후, AAV(absolute amplitude value)를 이용하여 피크점의 값을 추출한다. 추출된 피크 점은 원신호의 피크점과 같으므로 이를 기준으로 전체파형을 특징추출을 위한 단위 파형으로 분리한다. 분리된 신호는 정의된 4가지 형태(type)의 파형 중 가장 유사한 파형타입으로 분류되며, 분류된 형태를 기준으로 꼭지점, 최대 피크점, 최소 피크점, 최대.최소 피크점 비, 파형 간격(interval) 및 파형의 세부 모양 등 총22가지의 특징들을 추출한다. 추출된 특징들은 오류역전파 신경회로망(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의 입력으로 사용되었으며, 성인남녀 31명을 대상으로 제한된 파형 내에서 실험한 결과 100%의 인식률을 보였다.

  • PDF

Estimation of Flood Wave for Non-Stationary Seepage Analysis (비정상 침투해석을 위한 설계홍수파형 산정)

  • Seo, Lynn;Yoon,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03-703
    • /
    • 2012
  • 대규모 하천이 많은 미국과 유럽 등은 정상 침투해석을 실시하여 제방을 설계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상류 지역은 하천경사가 급하여 홍수지속시간이 짧고, 하류 지역은 하천경사가 완만하여 홍수지속시간이 길어 비정상 침투해석을 통해 제방을 설계한다. 설계 홍수파형을 정상상태로 해석하면 대상지점의 홍수파형이 갖는 홍수지속시간과 감수부 경사가 고려되지 않아, 상류 지역은 과대한 외력이 설정될 수 있으며, 하류 지역은 과소한 외력조건으로 과소 설계될 우려가 있어 시간에 따른 수위 변화를 고려한 비정상 침투해석이 필요하다. 비정상 침투해석을 위해서는 제방에 대한 외력조건으로 적용될 하천의 홍수파형이 필요하지만 국내에서는 홍수위와 지속시간 등 홍수파형의 시간분포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서 실무에서는 설계하고자하는 대상지점의 계획홍수량에 사용된 홍수파형의 계획홍수위와 홍수지속시간을 이용하여 설계홍수파형을 결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제방에 대한 부정류 침투해석을 위해 사용되는 설계홍수파형을 결정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우리나라 5대강 유역에 위치한 수위관측소 중 수위자료가 충분히 구축된 지점을 대상으로 과거 홍수사상 기간의 수위수문곡선과 계획홍수량 산정에 사용되었던 설계수문곡선을 이용하여 홍수파형을 결정하였다. 제방의 비정상 침투해석을 위한 설계홍수파형은 홍수지속시간과 감수부 경사로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 산정한 설계홍수파의 홍수지속시간은 대부분의 지점에서 계획홍수파의 지속시간보다 크게 산정되었으며, 실무에서 사용되는 계획홍수파의 지속시간이 과소산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홍수파의 감수부 경사의 경우, 본 연구에서 산정한 설계홍수파의 감수부 경사가 계획홍수파의 감수부 경사보다 비교적 완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속시간이 긴 실제 홍수사상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현재 비정상 침투해석을 위해 외력으로 설정되는 홍수파형은 계획홍수량 산정시 이용한 계획 홍수파형만을 사용한다. 이 경우 과거 홍수사상의 홍수지속시간이 반영되지 않아 안정성 측면에서 계획홍수파형과 과거 홍수를 모두 고려한 본 연구의 방법이 더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TRI신기술-ASADE S/W 기술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4 no.3 s.57
    • /
    • pp.123-124
    • /
    • 1999
  • ASADE(ASIC Signal Analyzer Developed in ETRI)는 논리회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입력으로 받아서 그래픽 화면으로 논리파형으로 나타내고, 파형의 상호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분석 기능들을 제공하는 파형분석용 CAD 툴이다. 파형분석은 설계 과정 중에서 수 없이 반복되는 작업이기 때문에 파형분석기의 성능이 설계기간 단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ASADE는 상용 파형분석기보다 GUI 환경, 처리속도, 분석 기능이 뛰어난 툴이다.

  • PDF

Under standing of MR pulse suquences (MR 펄스파형의 이해)

  • 정광우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v.2 no.1
    • /
    • pp.1-13
    • /
    • 1998
  • MR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 사용하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펄스파형(pulse sequense)은 스핀반향(spin echo)과 경사자계반향(gradient echo)이며, 최근 다방면으로 응용되고 있는 고속영상기법들은 이 두가지 펄스파형을 기보능로 하고 있다. 펄스파형의 종류와 펄스파형의 변수(TR, TE TI등의 펄스 상이의 시간 간격 및 flip angle 등)에 따라서 MR영상의 특징(대조도, SNR, artifact 등)이 달라지므로 임상응용시에는 목적에 따라 적절한 펄스파혀의 선택과 함께 변수값을 결정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펄스파형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과 함게 간단한 임상응용에 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ECG based user identification method using RBF neural networks (RBF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ECG 파형기반의 생체인식)

  • Min, Chul-Hong;Kim, Hyun-Dong;Kim, Tae-Se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d
    • /
    • pp.2531-2533
    • /
    • 2004
  • 일반적으로 ECG(electrocardiogram)파형은 정상인의 경우에도 그 형태가 일정하지 않으며, 측정시간 및 측정인의 상태에 따라서도 파형이 변화하기 때문에 표준화된 ECG파형 검사로는 개인의 특성에 따른 정밀 진단이 어려웠다. 따라서 자동화된 개인별 맞춤형 진단을 위해서는 측정대상에 대한 사용자인식 기술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세 가지 잡음제거법을 이용하여 파형의 잡음성분을 제거하고, ECG Limb Lead III 파형의 다양한 신호간격(interval) 특성치와 미분변화량을 통한 꼭짓점 분석 등을 통하여 파형으로부터 특정인의 특징을 추출한 후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생체인식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동일한 연령대인 7명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하였고, 재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인위적인 변화(커피, 담배, 알코올 섭취 및 스트레스)후의 ECG파형을 측정, 특정인 인식률을 실험한 결과 실험에 이용된 제한된 변동 내에서 90.9%의 인식률을 보였다.

  • PDF

A New Improved Reset Waveform for High Dark Room Contrast Ratio and Reduction of the Reset Time in ACPDPs (높은 암실 명암비와 초기화 시간 단축을 위한 새로운 초기화 파형)

  • Lee, In-Moo;Kim, Joon-Yub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11a
    • /
    • pp.109-11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초기화 구간에서의 시간단축과 높은 암실 명암비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초기화 파형을 제시한다. 새로운 초기화 파형에서 첫 번째 subfield는 기존의 conventional 구동파형과 마찬가지로 초기화 구간에서 ramp-up구간과 ramp-down구간이 필요하지만, 두 번째 subfield부터는 단지 ramp-up구간만이 적용된다. 한 frame에 8개의 subfield를 적용할 경우, 기존의 구동파형의 배경광이 $0.40cd/m^2$로 측정되는 반면, 새로운 초기화파형을 패널에 적용할 경우 배경광이 측정되지 않는다. 이러하여 우리는 새로운 초기화파형에서 무한대의 암실 명암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초기화파형에서는 ramp-down구간을 없앰으로써 첫 번째 subfield를 제외하고는 초기화 시간을 165us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