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파찰음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coustic analysis of Korean affricates produced by dysarthric speakers with cerebral palsy (뇌성마비 마비말장애 성인의 파찰음 실현 양상 분석)

  • Mun, Jihyun;Kim, Sunhee;Chung, Minhwa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3 no.2
    • /
    • pp.45-55
    • /
    • 2021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ffricates produced by dysarthric speakers with cerebral palsy. Korean fricatives and affricates are the consonants that are prone to errors in dysarthric speech, but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ly on fricatives. For this study, three affricates /tɕ, tɕh, ͈tɕ/ appearing at word initial and intervocalic positions produced by six mild-moderate male speakers of spastic dysarthria are selected from a QOLT database constructed in 2014. The parameters represent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ffricates were extracted by using Praat: frication duration, closure duration, center of gravity, variance, skewness, kurtosis, and central mo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rication duration of the intervocalic affricates produced by dysarthric speakers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the non-disordered speakers; 2) the closure duration of dysarthric speakers was significantly longer; 3) in the case of the center of grav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4) the skewness of the dysarthric speakers was significantly larger; and 5) the central moment of dysarthric speakers was significantly larg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ffricates produced by dysarthric speakers and differences with non-disordered speakers.

Perceptual Ques of Korean Affricate vs. Fricative Distinction (한국어 마찰음과 파찰음의 지각 단서)

  • 박순복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371-374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마찰음과 파찰음을 변별적으로 지각하게 해 주는 결정적 단서를 찾아보려는 것이다. 마찰음의 마찰 소음 구간 길이를 감소시키고, 파찰음의 마찰 소음 구간 길이를 증가시키는 두 가지 실험을 통해 소음 구간의 길이 변화가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았다. 실험 결과, 소음 구간 길이의 변화가 주된 지각적 단서임을 확인하였다.

  • PDF

Analysis and Recognition of Korean Fricatives and Affricates (한국어 마찰음 및 파찰음의 분석과 인식)

  • 정석재;정현열;이무영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0 no.5
    • /
    • pp.27-35
    • /
    • 1991
  • 음소를 인식의 기본 단위로 하는 소규모 음성 인식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마 찰음(/ㅅ, ㅆ, ㅎ/) 과 파찰음(/ㅈ, ㅉ, ㅊ/) 에 대하여 지속시간, 평균패턴, 분산비를 이용하여 각 음소 의 특징을 분석하고 각 음소군 내에서의 식별에 유효한 parameter들을 추출하여 인식 실험을 실시하 였다. 지속시간의 분포, 평균패턴의 분포, 분산비의 분포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6차원 정도의 cepstrum 계수만으로 마찰음 및 파찰음의 식별이 가능하고, 시간 방향의 정보는 음성의 시단으로부터 14 frame 정도의 특징을 인식 파라미터로 할 경우가 최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이용한 인식실험 결과에서는 조음방법별로 분류된 음소군내의 각 음소에 대한 인식실험의 인식률 보다는 발음방법별 인식실험시의 인식률이 높게 나타나 동일 음소군 내에서의 각 음소에 대한 식별이 더 어려움을 알 수 있었고, 특징 파라미터의 길이를 음성의 시단으로부터 14 frame 정도로 했을 때 조음방법별 인식률은 평균 81.1%, 발음방법별 인식률은 평균 97.9%로 최고의 인식률을 나타내었다. 특징 파라미터의 길이 를 14 frame 이상으로 증가시켜도 인식률은 큰 변화가 없어 분석 결과를 잘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n spatio-temporal study on Kroean affricates (한국어 파찰음의 조음에 대한 시간적.공간적 연구)

  • 신지영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375-378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존재하는 세 종류 파찰음/ㅈ,ㅊ, ㅉ/의 시간적.공간적 조음 특성을 전자구개도와 스펙트로그램 분석을 통하여 면밀히 검토해 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두 실험이 행해 졌는데, 조음 음성학적인 실험(전자구개도를 이용한 실험)에는 한 명의 피험자가, 그리고 음향 음성학적인 실험(음향 자료의 스펙트로그램 분석)에는 세 명의 피험자가 발화한 자료가 이용되었다. 대상이 되는 세 자음들은 /ㅏ_ㅏ/, /ㅡ_ㅡ/, /ㅣ_ㅣ/ 등 세 모음 사이에서 발화되었으나, 모음이 자음의 조음에 미치는 영향, 즉 모음_자음 동시조음은 본 연구의 범위에서 제외되었다.

  • PDF

Acoustics of Speech Production (발성의 음향학)

  • 안상철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5.11a
    • /
    • pp.88-102
    • /
    • 1995
  • 이 글의 목적은 조음기관의 구조와 그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음향학적 원리를 소개하는 데 있다. 이 글에서 논의되는 부분은 모음, 마찰음, 비음, 파찰음, 유음, 이중모음, 활음 등이 모두 포함되지만 상세한 논의는 주로 모음, 마찰음, 비음에 한정하여 진행된다. 왜냐하면 이들에 대한 논의가 다른 소리의 분석에 비슷하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활음(glide)은 모음의 생성에 관한 설명을, 파찰음의 경우는 마찰음의 것을 수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중략)

  • PDF

Acoustic Analysis of the Differences of Fricatives and Affricates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left Palate Children (구개파열 아동과 정상 아동의 마찰음과 파찰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비교)

  • You, Young-Sin;Jang, Seung-Jin;Bak, Seung-Jae;Choi, Yae-L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5
    • /
    • pp.285-295
    • /
    • 2010
  • The frequency in which noise energy is generated, that is, the point where the preceding vowel ends is the cut-off frequency. Thereupon,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cut-off frequencies, cut-off frequencies changed by the following vowel, and cut-off frequencies and nasalance score, of fricatives and affricates with the subjects of children with the cleft palate and normal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otal 12 children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 Six are the children diagnosed to have the cleft palate and whose chronological age are more than six, and another six are the normal children who are also more than six and whose chronological age and sex correspond to those of the former. Each subject was presented with nonsyllable environment and sentence environment(50 environment) of fricatives and affricates. Regarding meaningless syllable environment and sentence environment of fricatives and affricates, children with the cleft palate had lower cut-off frequencies than normal children. As a result of comparative study on correlations between cut-off frequencies and nasalance score of children with the cleft palate and normal children, it does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both meaningless syllable environment and sentence environment of normal children, but it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sentence environment of children with the cleft palate.

A Study on Multi-Pulse Speech Coding Method by using Selected Information in a Frequency Domain (주파수 영역의 선택정보를 이용한 멀티펄스 음성부호화 방식에 관한 연구)

  • Lee See-Woo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7 no.4
    • /
    • pp.57-66
    • /
    • 2006
  • In this paper, I propose a new method of Multi-Pulse Speech Coding(FBD-MPC: Frequency Band Division MPC) by using TSIUVC(Transition Segment Including UnVoiced Consonant) searching, extraction and approximation-synthesis method in a frequency domain. As, a result. the extraction rates of TSIUVC are 84.8%(plosive), 94.9%(fricative) and 92.3%(affricative) in female voice, 88%(plosive), 94.9%(fricative) and 92.3%(affricative) in male voice respectively. Also, I obtain a high quality approximation-synthesis waveforms within TSIUVC by using frequency information of 0.547kHz below and 2.813kHz above. I evaluate MPC by using switching information of voiced/unvoiced and FBD-MPC by using switching information of voiced/Silence/TSIUVC. As, a result, I knew that synthesis speech of FBD-MPC was better in speech quality than synthesis speech of the MPC.

  • PDF

An EPG Study of the Articulatory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English Affricates (한국어 파찰음과 영어 파찰음의 조음적 차이에 관한 연구)

  • Baik, Woon-Il
    • Speech Sciences
    • /
    • v.10 no.4
    • /
    • pp.57-62
    • /
    • 2003
  • Using EPG, the stop and fricative portions of the Korean and English afficates were examined to find out whether the stop and fricative portions of Korean affricates are the same as those of English ones in articulation, as generally assumed in the literature. The English affricate in the word 'choose' is classified as alveopalatal just like the Korean affricate in the word 'cam'. The results of the EPG data showed that Korean affricates were not articulated the same as those in English, especially in the stop portion. In English, the stop portion of 'choose' was quite similar to /t/ as 'tooth', but in Korean, the stop portion of 'cam' was somewhat different from /t/ in 'tam'. More specifically, the stop portion of /t/ in 'tam' was articulated with the contact at the upper teeth and the alveolar ridge, but the stop portion of /t/ in 'cam' was articulated with the contact in the alveopalatal region. This shifting in the place of articulation of the stop portions of the Korean affricate (from dental and alveolar to alveopalatal) can be explained. Unlike English affricates, the stop portions of Korean affricates and the fricative portions of Korean affricates are co-articulated at the same place of articulation.

  • PDF

Korean Phoneme Recognition Using Self-Organizing Feature Map (SOFM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한국어 음소 인식)

  • 전용구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3.06a
    • /
    • pp.233-237
    • /
    • 1993
  • 본 논문에서는 패턴 매칭 방법에 근거하여 인식 단위가 음소인 음소 기반 인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선택한 신경망 구조는 생물학적 신경망인 코호넨(T. Kohonen)의 SOFM(Self-Organizing Feature Map)으로 패턴 매칭 과정 중 cluster로 사용하였다. SOFM 신경망은 신호 공간에 대해서 최적의 국소(局所) 해부적 사사에 의한 자기 조직화 과정을 수행하며, 그 결과 인식 문제에 있어서 상당히 높은 정확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SOFM 신경망은 음소 인식에도 효과적으로 응용될 수 있다. 또한 음소 인식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해 K-means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이 결합된 학습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음소 인식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먼저, 우리말 음소들을 모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유음 및 비음, 종성의 6개 음소군으로 분류하고 각 음소군에 대한 특징 지도를 구성하여 labeler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였다. 화자 종속 인식실험 결과 87.2%의 인식률을 보였으며 제안한 학습법의 빠른 수렴성과 인식률 향상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