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파종율

Search Result 77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velopment of Vacuum Nozzle Seeder for Cucuribitaceous Seeds - Optimum Operating Conditions of Vacuum Nozzle Seeder - (박과 종자용 진공노즐식 파종기 개발 -진공노즐식 파종기의 최적 작동조건-)

  • 김동억;장유섭;김승희;이공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236-241
    • /
    • 2002
  • 진공노즐방식의 파종기로 파종작업할 경우 박과채소의 대목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립종자들의 최대파종율을 얻기위하여 참박, 특토좌, 흑종호박 종자에 대한 파종시험을 실시하였다. 1) 적정한 노즐구경과 홉착부압은 참박종자가 1.5mm, 7.97kPa, 특토좌종자가 1.5mm, 10.63kPa, 흑종호박종자가 2.0mm, 5.31kPa과 1.5mm, 13.28kPa로 나타났다. 2) 최적작동조건에서 참박종자, 특토좌종자 및 흑종호박 종자의 최대 파종율은 97.6%, 98.8% 및 97.6%로 나타났다. 3) 종자가 커지고 무거워짐에 따라 노즐의 구경이 큰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목으로 사용되는 종자에서는 1.5mm노즐을 범용으로 사용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4) 노즐개수가 많아지면 부착압력이 낮을 경우에는 파종율에 차이가 있었지만 부착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파종율의 차이는 약간 낮아졌다. 5) 참박, 특토좌, 흑종호박 종자의 최대파종율을 나타내는 흡착부압 P = η.4W/$\pi$d$^2$로 나타낼 수 있고 여유계수 η ≒ 10으로 나타났다.

  • PDF

The growth measurement of garlic for upright seed planter (직립마늘 파종기의 생육측정)

  • Lee, Choong Ho;Jang, Ji Un;Lee, In Beom;Kim, Hyun G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84-84
    • /
    • 2017
  • 직립식 마늘파종기는 마늘 종구를 한 알씩 집어 올려 중간이송컵으로 이송하는 자세교정컵과 배종부와 자세교정컵에서 낙하된 마늘종구를 땅속으로 파종하는 구조로 설계 제작되었으며,전라북도 익산시에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기계파종을 통한 파종기의 성능개선연구를 수행하였다. 기계파종은 1차년도 기존 파종기의 성능을 개선한 7조식 시제품과, 국내산과 스페인산 마늘을 파종하였으며, 11조용 참여기업의 기존 파종기를 이용하여 테스트베드에서 수행하였다. 비가 온 뒤의 땅에 파종한 라인의 샘플링 자료조사 결과(5m 구간 기준으로 체크) 결주율이 각각 17.81%, 35.6%로 평균적인 결주율이 0.57%인 일반 기상상태와 비교하면 매우 높은 결주율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마늘 파종법에 대한 결과로, 총 4가지의 파종법을 사용하였으며, 사용한 파종방법에는 2조 병목식 스페인식 파종법, 11조식 트랙터용 파종법, 7조식 트랙터용 파종법, 6조식 이양기용 파종법이다. 이 4가지 파종법 중에서 3가지 파종법에 대한 성장률에 대해서 조사를 해보았다. 11조식의 경우에는 제주도식 파종을 하여 비닐 멀칭이 되어있지 않으며, 7조식의 경우에는 비닐 멀칭이 되어있는 파종방식을 사용하였고, 2조식 병목식 스페인식 파종법의 경우에는 자유낙하 방식으로 비닐 멀칭의 유무에 따라 성장률에 대해서 조사를 하였다. 결주율은 파종된 마늘 중 샘플링한 데이터에 대해서 얼마나 파종이 잘되었는지에 퍼센트로 나타낸 것으로 11조식의 경우 비닐멀칭도 없고 비온 뒤에 파종 되어 파종시기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사료됨. 비가오지 않은 날씨에서 측정한 7조식 1차년도 성능개선 시작품의 결주율은 0.57%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발아율은 파종된 마늘 중 샘플링한 데이터에 대해서 다립파종 되어서 미성장된 것과 결주율을 합하여 퍼센트로 나타낸 것으로 시제품으로 개발한 7조식 파종기는 스페인산과 국내산 마늘의 발아율이 모두 9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차이점은 파종시기의 차이에 따라 발아율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사료(토양, 재배환경 및 기후에 따른 변동요인이 많음)되며, 이는 파종법의 종류뿐만 아니라 비닐멀칭의 온도유지가 마늘 성장률에 얼마나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병행연구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의 성장률에 대해서는 아직 표준화, 정형화 되어있는 측정방법이 없기 때문에 이를 표준화, 정형화를 할 필요가 있다. 향후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직립식 마늘파종기의 성능을 더욱 개선시키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 PDF

Evaluate Adaptability of Automatic Potato Planter (전자동 감자 파종기 현장 적응성 평가)

  • Choi, Il Soo;Oh, Jong-woo;Yu, Hong Seob;Lee, D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88-88
    • /
    • 2017
  • 감자 재배 기계화를 위한 전자동 감자 파종기의 기구적인 개념 설계를 수행하고, 시작기를 제작하였다. 시작기의 성능평가를 통해 기계화에 적합한 감자 재배양식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감자 재배 양식에 따른 주요 감자의 생육 사항, 수량성, 상품성 및 품질, 주요 생리 장애등을 측정하여 기계파종 후 재배상의 문제점 파악과 파종 시 기계적인 미비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기존의 국내 관행적 감자 재배 작형별 재배방식은 1줄 재배의 경우 재배 형식이 둥근두둑 방식이며, 2줄 재배의 경우 평두둑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감자 파종기를 이용한 기계화 재배의 경우 평두둑으로 2줄 재배 방법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는 공시품종인 수미를 이용하여 봄 재배 형식으로 강릉 재배단지에서 실시하였다. 감자 파종은 2016년 3월 31일에 실시하였으며, 재배기간 92일을 소요하여 수확은 2016년 6월 30일에 하였다. 기계파종의 경우 두둑형식은 평두둑 2줄 재배양식 흑색비닐(파종구 세절) 파종 방법으로 전자동 기계파종을 실시하였고, 인력 파종의 경우 기계 파종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력으로 실시하였다. 기존의 재래적 방식인 관행파종은 두둑형식은 외줄 1줄 흑색비닐(유공) 파종 방법으로 인력파종을 실시하였다. 관행 파종 방법은 이랑사이 75-80cm, 주간거리 20-25cm, 흙덮기 8-12cm로 재식밀도는 5,000-5,300주/10a로 씨감자 160kg/10a 소요하여 파종하였다. 실험 결과 감자 파종방법별 출현율은 기계파종의 경우 79.9-88.4%, 인력파종의 경우 97.9-99.2%로 기계파종에서 인력파종대비 결주율이 10.0-18.5% 정도 발생되었다. 씨감자의 절단 방법은 4절에 비하여 2절에서 양호하였다. 상품 지수의 경우 관행파종을 기준(100)으로 기계 파종(90)과 인력 파종(103)은 4절로 작업한 곳에서 상품성이 높았다. 파종 전 싹틔우기 여부에 따라서는 생육 초기(30일 이전)에는 싹틔운 파종 방법이 양호하였으나, 생육 후기(30일 이후)에는 싹을 틔우지 않은 파종 방법이 양호하였다. 기계 파종을 이용한 4절 씨감자 파종은 부패율이 12.2%로 다른 대비군에 비해 높았다(1.9-7.6%). 수확량(kg/10a)은 기계파종에서 2,748-3,503 kg 으로 관행 3,883 kg 대비 71-90% 수준으로 나타났다. 싹틔우지 않은 감자 4절을 이용한 기계 파종 시 결주율이 18.5%, 부패율 12.2%으로 싹틔운 감자 2절을 이용한 기계 파종으로 할 경우 결주율 10%, 부패율 4.1% 으로 낮출 수 있다.

  • PDF

Parameter analysis of vacuum suction hole in developing garlic vacuum planter (마늘 진공파종기 개발을 위한 진공 흡입구 파라메터 분석)

  • Kim, Deok-keun;Yang, Se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92-92
    • /
    • 2017
  • 밭작물 중 마늘 재배를 위한 노동력 투입시간은 2016년 기준 10a 당 126.9시간 이었고, 파종정식의 기계화율은 2015년 기준 15.1%로 조사된다. 이는 마늘 재배에 있어서 파종정식의 기계화가 노동력 절감을 위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현재의 우리나라 마늘 파종기는 점파식으로 개발, 판매되고 있는데 집개 방식 또는 버킷 방식은 파종 속도를 올리면 파종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파종 속도를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콩, 옥수수 등의 종자에 사용되는 진공식 파종 기술을 마늘에 적용하였다. 마늘의 경우 형상이 비대칭형에다가 종구별 크기, 모양, 무게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흡입구를 설계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진공흡입구의 지름과 재질을 파라메터로 하여 변화를 주고 실험을 통하여 배종률 결과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경도 $10{\pm}2$의 실리콘 재질에 지름 14mm이상에서 90%이상의 높은 배종률을 보여주었다.

  • PDF

Effect of Planting Date on Freezing Tolerance and Winter Survival of Canola (Brassica napus L.) (파종시기가 케놀라의 내동성과 월동율에 미치는 영향)

  • Moon-Tae Song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40 no.2
    • /
    • pp.150-156
    • /
    • 1995
  • Planting dat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winter survival of Crop pla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planting date on the development of freezing tolerance and winter survival of canola. Six winter cultivars were planted at three different dates during the fall on the Michigan State University Research Farm at East Lansing, MI. Freezing tolerance was determined by ion leakage tests every 15 days after planting until middle of November. Winter survival was evaluated by counting the live plants in the fall and next spring. Planting date as well as cultivar treat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reezing tolerance and winter survival A different pattern in development of freezing tolerance was observed for different planting dates.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freezing tolerance and winter survival suggesting that freezing tolerance could be a useful predictor for winter survival.

  • PDF

Shoot yield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Pteridium spp. according to the dickness of sowed seed root (준고랭지에서 아피오스의 적정 파종시기)

  • Moon, Jung-Seob;Ahn, Song-Hee;Yang, Jin-Ho;Kim, Dong-W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83-83
    • /
    • 2019
  • 아피오스(Apios americana Medikus)는 콩과에 속하는 덩굴성 식물로 원산지는 북미대륙 중동부로 알려져 있으며 지하부의 뿌리가 변형된 괴근 부위를 식용으로 하고 있다. 아피오스의 괴근은 건물당 단백질 함량이 16.5%로 감자에 비해 3배 가량 높고 지방산 함량은 4.2~4.6% 범위로 Linoleic acid가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감자에 비해 칼슘 함량이 10배 가량 높고 철분함량은 2배 가량 높아 기능성 건강식품으로 유망시되고 있다. 아피오스는 일교차가 큰 준고랭지역에서도 재배가능성이 높지만 최근의 기후변화에 따라 파종기의 저온피해 등으로 안정적인 입모율의 확보가 문제시 되고 있다. 준고랭지 지역에서 아피오스의 파종시기별 출현양상 및 수량성을 구명하기 위해 표고 500m의 허브산채시험장 포장에서 2018년 4월 25일, 5월 9일, 5월 16일, 5월 28일 4회 걸쳐 흑색비닐을 피복한 1줄 재배양식으로 아피오스 괴근을 파종하였다. 파종 후 30일, 50일간의 누적 출현율은 5월 18일 파종이 파종 30일 후 52.5%를 보였으며 같은 기간 동안의 유효적산온도는 $276.9^{\circ}C$ 범위였고, 5월 30일 파종에서 파종 후 30일간의 누적 출현율은 80.4%롤 보였으며 유효적산 온도는 $329.2^{\circ}C$를 나타냈다. 파종시기별 유효적산온도와 누적 출현율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관계식은 $y=0.1155{\times}1.0415$의 지수함수로 표현할 수 있었으며, 준고랭지(남원시 운봉읍)에서 2007~2017년까지의 10년간 평균기온을 기준으로 관계식을 적용한 결과 평년 기준 5월 18일 파종하는 경우 50일간 유효적산온도는 $390.5^{\circ}C$를 보였고 출현율은 55.6%가 기대되었으며 6월 11일에는 $601.5^{\circ}C$의 적산온도로 85.3%의 출현이 예상되었다. 파종시기별 총 괴근수는 5월 30일 파종에서 17.5개/주로 유의하게 적었으며 상품 괴근중 및 상품률도 유의하게 적은 경향이었고, 출현율을 고려한 단위면적당 상품 괴근수량은 5월 18일 파종에서 602.5㎏/10a로 가장 높았고 4월 25일 파종에서 348.6㎏/10a로 가장 낮아 준고랭지 아피오스 재배에서 적정 파종시기는 5월 중순으로 판단되었다.

  • PDF

The effect of Sowing Dates on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Dendropanax morbifera $L_{EV}$ in Southern Area of Korea (남부 도서지역에서 황칠나무의 파종기에 따른 주요 형질변이)

  • 최성규;윤경원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4 no.1
    • /
    • pp.60-64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s of sowing dates and method on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Dendropanax morbifera $L_{EV}$. in southern area of Korea. The number of days from sowing to emergence was recognized liner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wing days. Dendropanax morbifera was sowed at seven different dates(from Dec.20 to Feb.20 at 30 days interval, from Mar, 1 to Apr. 15 at 15 days interval) in pot culture. In sowing date at Mar. 15, germination rate and early growth were good in pot. Dendropanax morbifera was sowed at five different dates(from Dec.20 to Apr.15 at 15 days interval) in field culture. In sowing date at Apr.15, germination rate and early growth were good in field culture.

  • PDF

Studies on Early Seedling Establishment and Early Growth Responses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with Different Seeding times, Application Conditions, and Green Manure Crops for Developing Organic Agriculture Relating to Cropping System (작부체계 활용 유기재배기술 개발을 위한 녹비작물, 토양투입 조건 및 파종시기에 따른 황기의 입모율과 초기생육 특성 연구)

  • Song, Beom-Heon;Lee, Kyung-A;Chang, Yoon-Kee;Kim, Young-Gook;Ahn, Tae-Jin;Ahn, Young-Sup;Park, Chung-Beom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3 no.5
    • /
    • pp.667-673
    • /
    • 2010
  • Organic agriculture of especially medicinal crops has been interested and focused in taking the qualitative and safety agricultural products in order to maintain and improve the health and happiness of people. With respect to the organic agriculture relating to cropping system,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seedling establishment after seed germination and emergence and to investigate the early seedling growths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with treating two green manure crops, hairy vetch of legume and rye of gramineae, two different conditions of green manures, fresh and dry, and different seeding times. When the seeds were planted at once after treating the green manures with the fresh condition into the soil, the ratios of seedling establishment were very poor, less than 10% in hairy vetch and 20% in rye, respectively. They were increased gradually with delaying the seeding times after the treatments. With treating the green manures of dry conditions, the ratios of seedling establishment were up more than 50% in both hairy vetch and rye crops, showing that the damages of seedling establishment were more in hairy vetch than those in rye. The early seedling growths were slower in treating the green manures than those in the control, showing slow growth with fresh green manures compared to the dry. It would be very important and considered more to evaluate and utilize well the seed germination and the seedling establishment in cultivation of the organic agriculture using the green manure crops relating to the cropping system.

Performance of direct-Seeded Rice at Different Seeding Dates (벼 건답휴립직파재배에서 파종기에 따른 생육 및 수량)

  • Lee, Suk-Soon;Back, Jun-Ho;Kim, Soon-Chul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6 no.2
    • /
    • pp.154-159
    • /
    • 1991
  •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know the feasibility of direct-seeded rice. Dry seeds of a Japonica type rice variety, Donghaebyeo, was sown from May 10 to June 20 at the 10-day intervals. The number of days from seeding to emergence decreased as planting date delayed; 13, 12, 10, 9, and 7 days at May 10, May 20. May 30. and June 10 seedings, respectively. The number of maximum tillers per ㎡ was about 700-800 at all the seeding dates and effective tiller ratio ranged 40-45%. The number of days from seeding to heading decreased as seeding date delayed; from 97 days at May 10 planting to 71 days at June 20 planting. The cumulative effective temperature (mean air temperature-15$^{\circ}C$) from seeding to heading was fairly constant having 870$^{\circ}C$ with 2.3% C.V. The number of panicles per unit area at June 10 planting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planting dates. Panicle length and the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tended to decrease as seeding date delayed. The number of spikelets per unit area, 1000-grain weight, and grain yield were similar among the seeding dates except June 20 seeding. At the June 20 seeding the number of spikelets and grain yield were much lower, but 1000-grain weight was higher compared with other seeding dates. Grain fertility and percent ripened grains was similar among all seeding dates.

  • PDF

Effect of Seed Pelleting on the Precision Planting and Seedling Emergence of Carrot Seeds (당근 펠렛종자의 파종효율과 유묘출현에 미치는 영향)

  • 강점순;조정래;임종민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3 no.4
    • /
    • pp.428-432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nd investigate integrated mechanization system for culture of carrot.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hand planting, use of a mechanical planter for pelleted seeds resulted in a saving of planting time by 225 hours. An additional saving of 460 hours was obtained for thinning the seedlings. Besides seeds could be saved by 72%, planting and thinning be done only in 35 hours per ha field when the pelleted seeds were planted with a planter. Work hour reduced by adopting the mechanical planting of pelleted seeds sharply contrasted to that of 720 hours required for hand-planting the thinning hours, resulting in a reduction of labor by more than 95%. SMP followed pelleting tended not only to increase the percentage of seedling emergence in the field but to induce an a day earlier ger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