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파종심도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26초

고추에서 Napropamide 및 Pendimethalin에 대한 약해요인(藥害要因) 구명(究明) (Determination of Factors Affecting Injury of Pepper Cultivars to Napropamide and Pendimethalin)

  • 김만호;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21-328
    • /
    • 1987
  • 토양처리(土壤處理) 제초제(除草劑)인 Napropamide와 Pendimethalin을 고추재배(栽培)에 사용(使用)할 때 약해(藥害) 발생요인(發生要因)을 구명(究明)하여 약해(藥害)를 감소(減少)시키는데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조사(調査)하고자 근부침지(根部浸漬)에 따른 고추 품종간(品種間) 생장반응(生長反應)과 토성(土性),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 토양온도(土壤溫度) 및 파종심도(播種深度)에 따른 고추 품종간(品種間) 약해정도(藥害程度)를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1. Napropamide는 근부침지(根部浸漬)에서 월계관 피만과 오리엔탈 피만의 최상위엽(最上位葉) 생장(生長)이 크게 억제(抑制)되지 않았다. 2. Pendimethalin은 근부침지(根部浸漬)에서 최상위엽(最上位葉) 억제(抑制)가 월계관 피만과 오리엔탈 피만에서 현저히 심했다. 3. Napropamide와 Pendimethalin의 약해(藥害)는 사토(砂土)에서 심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피만계통(系統) 품종(品種)에서 더욱 심하였고 양통(壤土)에서 약해(藥害)는 적었다. 4.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이 높을수록 Napropamide와 Pendimethalin의 약해(藥害)는 적은 경향(傾向)이었으며 월계관 피만과 오리엔탈 피만에서는 그 경향(傾向)이 현저하였다. 5 파종심도(播種深度)가 깊으면 Napropamide와 Pendimethalin의 약해(藥害)는 다소(多少) 적은 경향(傾向)이었으며 월계관 피만과 오리엔탈 피만의 고농도(高濃度)에서 그 경향(傾向)은 더욱 뚜렷하였다.

  • PDF

벼 무논골뿌림 재배에서 파종전 논 굳힘 일수 및 골깊이가 입모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ainage Duration before Seeding and Furrow Depth on Seedling Establishment and Growth in Direct Drill Seeding Culture of Rice on Puddled Soil)

  • 김상수;백남현;석순종;이선용;김종호;조동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31-536
    • /
    • 1994
  • 벼 무논골뿌림재배에 알맞는 파종 전 논 굳힘정도와 파종골깊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1993년에 전 북통(미사질토양)에서 동진벼를 공시하고 논 굳힘 일수와 파종골깊이를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모율은 논 굳힘 일수가 길수록 골깊이가 얕을수록 높았으며, 원추 관입심은 논 굳힘일수가 길수록 낮아졌는데 무논골뿌림재배에 알맞는 굳힘 일수는 4일로 이때 토양의 경도는 원추 관입심으로 6∼7cm 정도이었다. 2. 줄기 매몰심도는 논 굳힘일수가 짧을수록, 골이 깊을수록 깊어졌는데 줄기 매몰정도가 낮았던 4일 또는 6일 굳히고 골깊이를 2cm로 한 처리에서는 도복이 발생하였다. 3. 출수기는 입모수가 적었던 골깊이 6cm처리에서 4cm처리보다 1∼2일이 지연되었다. 4. 쌀 수량은 2일 굳힘에서는 골깊이 2cm에서, 4일 굳힘에서는 골깊이 4cm에서, 6일 굳힘에서는 골깊이 6cm에서 가장 많았다. 5. 이상에서와 같이 미사질토양에서 벼 무논골뿌림 재배시 입모율, 도복, 및 수량을 고려한 파종 전 논 굳힘 일수는 4일로써 토양경도는 원추 관입심으로 6∼7cm이며 이때 파종골의 깊이는 4cm로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하대두(Glycine max)의 파종기 및 비닐 멀칭재배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ethylene Film Mulching and Planting Dates on Growth and Yield of Summer Type of Soybean (Glycine max))

  • 정길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0-54
    • /
    • 1984
  • 하대두형 품종에 대하여 파종기를 달리하고 비닐멀칭을 했을 때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코져 다마미도리 지두를 4월 13일부터 10일 간격으로 4파종기로 하고, 비닐로 멀칭과 무멀칭으로 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기는 멀칭을 할 경우 무멀칭에 비하여 촉진되어 4월 13일 파종구는 11일 축진되었다. 개화일수도 멀칭을 할 경우 평균 6일이 단축되었고, 4월 13일 파종구는 12일이 단축되었다. 2. 멀칭구는 무멀칭에 비하여 주경장이 컸으며, 주경절수 및 분지수도 많았을 뿐 아니라. l0a당 건경중도 많았다. 평균 100립중은 차가 없었다. 멀칭의 경우 늦게 파종한 구에서 주경장이 컸고, 주경절수 및 분지수도 많았을 뿐 아니라 건경중도 높았으며, 100립중도 무거웠다. 이러한 현상은 일찍 파종한구에서 미이라병의 리병입률이 높았기 때문이다. 무멀칭의 경우는 멀칭구와 같은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3. 멀칭구에서 미이라병의 리병입율이 높으면 자반병 리병입율은 낮아졌다. 무멀칭구는 멀칭구에서와 같은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4. 멀칭구에서는 무멀칭구보다 평균 20%가 증수되었고, 파종기별로 보면 일찍 파종한 구에서 미이라병에 대한 리병정도가 심하여 수량이 낮았고, 늦게 파종한 구에서 수량이 높았다.

  • PDF

호밀 적.만파시 종자성숙정도 및 파종량이 청예와 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Maturity, Seed Maturity, Seeding Rate, and Plan Planting Time on the Seed and Silage Yields of Rye(Secale Cereale L)**)

  • 강광희;류한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87-293
    • /
    • 1987
  • 호밀 적ㆍ만기 파종에서 종자성숙 및 파종량이 출아, 생육, 청예 건물수량 및 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저 경북 경산군 영남대학교 농장에서 재래종(팔당호밀)을 공시하여 파종기 10월 28 일(적기) 및 11월 11일(만기)로 하고 파종기별로 출수후 45일 및 30일에 수확한 종자를 파종량을 달리하여 ( 1$m^2$당 300입, 450입, 600입, 750입, 900입) 시험을 실시하였다. 출아수 및 분얼수는 적기파종에서 출수후 30일과 45일 종자간에 차이가 없었고, 파종량을 증가할 때 출아수가 증가하고 분얼수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고, 만기파종에서는 출수후 45일 종자에서 30일 종자보다 출아수와 분얼수가 많았으며 파종량 증가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만파에서 출수후 30일 종자는 파종량 증가로서 적정주수 확보가 어렵다. 출수기는 적ㆍ만파에서 출수후 30일 종자가 2~3 일 늦었다. 청예수양은 만파에서 크게 감소하였고 적ㆍ만파모두 파종량을 높일 때 청예수량도 증대되어 적기파종에서 750립 / $m^2$( 15kg/ 10a)의 파종량에서 최대가 되었고, 출수후 30일 종자는 만파에서 현저하게 낮았다. 수수 및 1000입중은 적기파종에서 만기파종보다, 그리고 만기파종에서는 출수후 45일 종자로서 파종량 750립/$m^2$ ( 15kg/10a) 이상에서는 적기파종의 종실수량 수준까지 접근할 수 있었다. 출수후 30일 종자는 만기파종에서 파종량을 증가하여도 출아율이 낮고 청예 및 종실수량이 심하게 감소되어 종자로 이용하기는 불안정하다.

  • PDF

흑조위축병이 심한 지역에서 파종기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와 수수의 건물생산성 (Forage productivity of Silage Corn and Sorghum at Differnet Planting Dates in Rice Black-Streaked Dwart Virus Prevalent Area)

  • 최상집;이석순;백준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9-136
    • /
    • 1991
  • 옥수수의 흑조위축병 발생이 심한 경화 경산에서, 흑조위축병 내병성이 다른 사일리지용 옥수수 2품종과 생육기간이 다른 사일리지용 수수 2품종을 6개 파종기(4월 l일, 4월 15일, 4월 29일, 5월 13일, 5월 27일,6월 10일)에 재배하여 옥수수는 황숙기에 1회, 수수는 유숙기에 1차 수확하고, 재생한 것은 10월 1일에 2차 수확하여 건물생산성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입묘솔은 옥수수가 수수보다 높았다 옥수수는 품종간 및 파종기간에 입묘솔의 차이없이 91% 이상이었으나 수수는 37. 2~80.3%로서 퍼종기간에 차이가 컸다.2 파종에서 출아까지 소요일수는 작물간, 품종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이 지연될수록 감소하였다. 출아에서 출사기(옥수수) 혹은 출수기(수수)까지 소요일수는 옥수수 두 품과 수수 P 956은 파종이 지연될수록 감소하였으나 수수P 931은 5웰 13일 이전 파종에서는 비슷하였고, 그 이후에는 파종이 늦을수록 소요일수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3 . 옥수수의 흑조위축병 이병솔은 4월 1일 파종에서 가장 높았고(광안옥 24. 8%,진내옥 63.0%), 4윌 2 29일까지는 파종이 지연될수록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였으며, 수수는 이병되지 않았다 4 . 전식물체 중 이삭비율은 옥수수(30.6~47.9%) 가 수수(3.1~30.7%) 보다 높았고, 품종간.파종기간 차이는 옥수수에서 보다 수수에서 더 컸다. 옥수수와 수수 P 956은 수정에 지장이 없었으나 수수 P 9 931은 5월 13일 이후의 파종에서는 수정불량으로 이삭이 잘 발달하지 못하였다 5 . 조단백질과 조회분은 작물간, 품질간, 파종기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이삭발육이 나빴던 수수 P 931은 옥수수와 P 956 보다 조섬유는 높고, 가용성 무질소물은 낮았다. 옥수수와 1차수확한 수수는 파종기간에 조섬유, 가용성 무질소물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재생한 수수는 파종이 늦을수록 조섬유와 가용성 무질소물은 감소하고 단백질 함량은 증가하였다 6 . 옥수수와 수수 모두 파종이 지연될수록 건물수량이 감소하였으나 진내옥은 4월 29일 파종에서 보다 그 이전의 파종에 서 수량이 더 낮았다. 옥수수의 건물수량은 수수의 1차수량과 비슷하였지만 재생한 2차수확을 합하면 재생량이 많은 4월 파종에서는 수수가 옥수수보다 건물수량이 현저히 많았다.

  • PDF

흑조위축병이 심한 남부지방에서 옥수수를 중심으로 한 사료작물 작부체계 (Corn-Based Forage Cropping Systems in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Prevalent Area)

  • 이석순;이진모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0-39
    • /
    • 1989
  • 옥수수 흑조위축병 발생이 심함 남부지방에서 호밀 - 옥수수 작부체계와 옥수수 - 귀리 혹은 옥수수 - 유채 작부체계의 사료생산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1986-1987년에 시험을 하였다. 호밀(팔당호밀)은 1986년 가을에 파종하여 1987년 4월 5일부터 5월 10일까지 5일간격으로 8회 수확하엿고, 옥수수(수원 19호, 진주옥)는 4월 5일부터 10일 간격으로 5회 파종하여 황연기에 수확하였으며, 귀리(메귀리)와 유채(Velox)는 9월 4일부터 7일간격으로 4회 파종하고 11월 10일부터 12월 1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4회 수확하여 파종기와 수확기별로 담근먹이와 청예수량, 및 사료가치을 분석하여 옥수수를 중심으로 한 작부체계 사료생산성을 비교하였다. 1. 호밀은 수확기가 늦을수록 초장, 건물수량, 건물비율, 조섬유, 가소화 건물수량은 증가하였으나 조단백질, 조지방, 건물소화률은 감소하였고, 가용성 무질소물은 수확기간에 차이가 없었다. 2. 옥수수는 파종기가 늦을수록 흑조위축병 이병률이 높았고 담근먹이의 수량은 감소하였다. 품종간에는 어느 파종기에서나 진주옥이 수원 19보다 흑조위축병 이병률은 낮고 수량은 높았다. 3. 귀리와 유채는 파종기가 늦을수록 수량이 감소하였다. 9월 4일과 11일 파종의 11월 10일 수확에서는 귀리가 유채보다 수량이 낮았으나 수확기가 늦을수록 차이가 적어져 12월 10일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9월 18일과 25일 파종에서는 어느 수확기에서나 귀리가 유채보다 수량이 낮다. 4. 사료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고려하면 호밀 - 옥수수 작부체계는 4월 20일경에 호밀을 수확하고, 4월에 가능한 한 빨리 파종하여 8월 중순에 수확하고 곧 귀리나 유채를 파종하여야 하며 수량성은 호밀 - 옥수수 작부체계와 비슷하였다.>30cm의 재식밀도하에서 유효경 비율이 90% 이상되었다.^{\circ}C$처리기간중에는 근의 부위에 관계없이 Rf치가 낮은 쪽에서는 증가하였으나 높은 쪽에서는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인삼근에 있어서 신아의 휴면타파 및 맹아는 ABA와는 별로 관계가 없고 온도숙건에 지배되어 나타나는 GA의 생합성 능력과 그 생합성에 의한 활성증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0.2045, 0.1208, 0.2248로 추정되었다. 산란율과 난중과의 관계는 0.6233, -0.2259, 0.2973, 500일영 체중과는 0.2417, 0.0774, - 0.4787로 추정되었다. 산란지수와 난중과의 관계는 0.6171, -0.2706, 0.4579, 500일영 체중과의 관계 0.3082, -0.0792, -0.3368로 추정하였다. 난중과 500일영 체중과의 관계는 0.2742, 0.2205, 0.1354로 추정되었다.)에서 47.4%의 가장 높은 검색률을 나타내었고 다음 성계(150일영이상)에서 35.3% 및 유추(30 일영미만)에서 17.3%의 순이었다. 이중 세균성 및 기생충성 질병은 육성계에서의 검색률이 가장 높았으나, 바이러스성 질병은 육성계 및 성계에서 거의 같은 비율로 높았으며 곰팡이성 질병은 유추에서 가장 높은 검색률을 나타내었다.17) 사료비절감은 생산비의 60∼70%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공동구인 자가배합을 하여 자기실정에 맞는 경영체질로 운영하고 있었다. (18) 인건비가 생산비의 15∼20%의 비율이며 또한 사람 구득난이라 가족노동을 최대한 활용, 관리를 하고 있으며 생력화를 위해 기계화, 자동화되어 가고 있었다. 애정과 정성심있는 관리로 닭을 스트레스를 주지 않게 하기 위해 가족관이, 기계자동화가

  • PDF

파종기와 Polyethylene 필름 피복방법이 단옥수수 생산에 미치는 영향 (Temperature and Sweet Corn Production at Different Planting Dates under Polyethylene Tunnel and Mulch)

  • 이석순;김태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4-90
    • /
    • 1986
  • 단옥수수 품종 Great Bell을 3월 5일, 15일, 25일과 4월 4일에 파종하고, 파종기마다 투명 P.E. 필름의 Tunnel, Tunnel slit 및 Mulch가 기온, 지온 및 단옥수수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1. 최고최저기온과 최고최저지온 모두 Tunnel>Tunnel slit> Mulch의 순으로 높았으며 P.E. 필름 처리간 온도차이는 최고기온 및 지온은 컸으나 최저기온 및 지온은 적었다. 2. 4월 하경에 Tunnel내 기온이 4$0^{\circ}C$가 넘어 필름을 열면 Tunnel구의 기온은 Mulch에서와 같으나 지온은 낮았다. Tunnel slit는 필름을 열지 않고 slit수를 증가시켜 고온장해를 피할 수 있었다. 3. 옥수수 유묘기의 저온피해는 Mulch에서는 지상부가 고사하였으나 재생되었고, Tunnel slit에서는 잎의 일부가 피해를 입었으나 Tunnel에서는 피해가없었다. 4. 3월 5일 및 15일 파종에서 Tunnel은 Tunnel slit나 Mulch보다 초기생육과 출사를 촉진시켰으나 고온으로 낮에 필름을 열었던 3월 25일 및 4월 4일 파종에서는 오히 려 지연시켰다. 5. 파종이 늦을수록 파종에서 출사까지 일수가 단축되어 3월 25일 파종에 비하여 3월 5일 및 15일 파종은 출사가 2~3일 빨랐으며 4월 4일 파종은 6~9일 늦었다. 6. 적조위축병은 한기파종에서 이병율이 높았으며, 3월 25 일 및 4월 4 일 파종의 Tunnel slit에서는 생육초기에 필름을 열지 않아 적조위축병 이병율이 Tunnel 이나 Mulch보다 낮았다. 7. 상품성 있는 웅수수는 적조위축병이 심했던 3월 5일 파종의 Mulch를 제외하면 모든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조수입은 상품가치가 큰 웅수가 많았던 3월 25일 파종의 Tunnel 및 Tunnel slit와 가격이 높고 웅수가 많았던 3월 5 일 파종의 Tunnel과 Tunnel slit에서 높았다.

  • PDF

벼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 재배환경(栽培環境)에 따른 제초제(除草劑) 반응(反應) (Herbicide Response to Cultural Environment in Flooded Direct-seeded Rice)

  • 허상만;김병호;임일빈;권오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82-291
    • /
    • 1996
  • 벼 담수 표면 산파 재배시 파종시기 및 제초제 처리시기에 따른 잡초 발생 양상과 몇 가지 제초제에 대한 약효 및 약해 반응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해는 두 파종 시기별 모두 파종후 7일>파종후 12일>파종후 17일 처리순으로 나타났고, 특히 bensulfuron methyl+mefenacet+dymron 처리에서 심하였다. 2. 벼의 초기 생육은 파종 시기와 제초제 처리 시기가 빠를수록 억제가 컸다. 3. 잡초 발생 양상은 5월(月) 1일(日) 파종에서는 총 10종으로 화본과 1종, 광엽잡초 6종, 사초과 3종이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이 화본과였고 특히 피가 우점(優点)하였다. 5월 22일 파종에서는 총 7종이 발생하였고 화본과 1종, 광엽잡초 3종, 사초과 3종이었으며 피가 가장 많았다. 4. 공시 제초제의 파종 60일에 잡초 방제 효과는 5 월 1일 파종 구는 파종후 7일에서 17일까지 제초제 처리 시기가 빠를수록 피, 사마귀풀 등 일년생 잡초와 올챙고랭이 및 너도방동사니에 대해서는 높고, 올방개에 대해서는 공시 제초제를 파종후 7, 12일 처리보다 처리 시기가 늦은 17일 처리에서 높았다. 5. 수량(收量)은 파종후 7일 처리에서 약해가 심한 제초제의 처리 구와 파종후 17일 처리에서 방제 효과가 낮은 처리 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 PDF

벼 무논골뿌림재배시 파종량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wing Rates on Growth and Yield t Furrow Sowing of Rice in Paddy Field)

  • 송영주;고복래;황창주;박건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86-91
    • /
    • 1995
  • 벼 생력 직파재배양식으로 최근에 개발 보급된 무논골뿌림재배의 파종 피술체계확립의 일환으로 파종량에 따른 생육 및 수량반응을 검토하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m^2$당 입모수는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개체당 수수는 입모수 증가에 따라 완만하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2. 유효경 비율 및 출수기 경당엽면적은 파종량이 증가함에따라 감소하였으며 출수기는 큰차이가 없었다. 3. 도복관련 형질중 간장, 수장, 좌절량, 줄기굵기 등이 파종량 증가와 함께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10a당 7kg이상에서는 포장도복이 심하게 발생되었다. 4. $m^2$당의 수수증가에 따라 수당립수와 등숙비율이 감소하였으며, 수량은 10a당 5kg을 기점으로하여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5. 수량에 대한 수량구성요소의 경로계수 분석결과에 의하면 등숙비율의 직접효리가 가장컸으며, 최대수량을 얻기위한 $m^2$당 입모수는 105개 정도, 이때의 10a당 파종량은 4.5kg 수준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