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파이브로넥틴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7초

섬유아세포 성장인자와 파이브로넥틴 복합 단백질로 처리한 타이태늄의 생물학적 효과;가토의 경골을 이용한 조직계측학적 분석 (In vivo assessment of Fibroblast growth factor(FGF)-Fibronectin fusion protein coating on titanium;Histomorphometric analysis in rabbit tibia)

  • 나호균;김태일;임상훈;조기영;정종평;한수부;구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1호
    • /
    • pp.153-161
    • /
    • 2005
  • 파이브로넥틴은 세포외기질에 존재하는 당단백질로 세포의 부착, 이동, 성장 및 분화에 관여하며, 섬유아세포 성장인자는 세포의 증식 이동 및 분화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성장인자로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파이브로넥틴은 조골세포의 타이태늄 임플란트 표면으로 이주와 증식 및 골생성을 촉진하며,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는 파이브로넥틴에 상승작용을 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 실험의 목적은 파이브로넥틴 및 섬유아세포 성장인자의 복합 단백질을 이용하여 타이태늄 임플란트의 골 반응을 알아보는 것이다. 체중 2.5 kg 내외의 건강한 18 마리의 웅성가토를 준비하여 무균 사육하였고, 순수 타이태늄을 절삭가공하여 직경 3.5mm, 길이 6mm 의 machined surface를 지니는 screw type 의 임플란트를 준비하였다. 사람의 유전자를 기초로, 유전자 재조합법을 통해, 적절한 primer를 이용하여 얻은 섬유아세포 성장인자를 파이브로넥틴 III 형 분절의 9-10 번 도메인에 결합시켜 얻은 복합 단백질을 준비된 임플란트에 표면처리하여 실험군으로 하였고, 표면처리하지 않은 임플란트를 대조군으로 하여, 가토의 좌우 경골에 각각 2 개씩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4주 후, 가토를 희생시켜 각 경골 당 한 개의 임플란트에서 뒤틀림 제거력을 측정하였고 나머지 임플란트 식립 부위 에서는 경골을 포함하는 조직표본을 제작하였다. 조직표본상에서 골접촉이 가장 좋은 3 개의 나사산의 길이를 측정하고, 나사와 접촉하는 골의 길이를 측정하여 골-임플란트 접촉도를 구하고, 같은 부위에서 나사산 사이의 면적과 골이 차지하는 면적을 비교하여 골생성률을 얻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결과는 Student t-test 를 이용하여 신뢰도 95% 수준에서 통계학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파이브로넥틴과 섬유아세포 성장인자의 복합 단백질로 표면처리된 임플란트와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임플란트는 뒤틀림 제거력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골-임플란트 접촉도와 골생성률에서 복합 단백질로 처리된 임플란트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섬유아세포 성장인자와 파이브로넥틴 복합 단백질로 처리한 타이태늄 임플란트가 주변 골 형성을 촉진시켜, 골유합을 증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복합 단백질이 타이태늄 임플란트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표면개질 물질로 이용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파이브로넥틴 조각(70, 45 kDa)에 의한 MMP-1 발현 증가와 MMP-2 활성 증가 연구 (The Fragments of Fibronectin (Fn-fr's 70, 45 kDa) Increase MMP-1 Expression and MMP-2 Activity in Normal Human Fibroblasts)

  • 황재성;김혜경;손의동;이진영;강학희;장이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45-249
    • /
    • 2007
  • 노화 과정 중에 일어나는 extracellular matrix (ECM)의 변성은 피부의 주름과 탄력 감소를 유발한다. 현재까지 항노화의 주요 타겟은 metalloproteases 혹은 콜라겐이나 엘라스틴 같은 구조 단백질에 집중되어 있지만, 최근 세포와 ECM 단백질(콜라겐, 피브릴린, 파이브로넥틴) 간의 상호작용이 세포의 생존과 증식, 조직의 재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졌다. 파이브로넥틴은 다른 ECM 단백질이나 인테그린 같은 세포 표면 수용체와 결합할 수 있는 부위를 가진 부착 단백질이다. 최근 보고에 따르면 세린 프로티아제들에 의해 분해된 파이프로넥틴 조각이 골아세포에서 MMPs 발현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파이브로넥틴 조각의 사람 피부에서의 역할은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피부에서 파이브로넥틴 조각이 현저히 증가되어 있으며, 섬유아세포에 파이브로넥틴 조각을 처리하였을 시, MMP-1의 발현과 MMP-2의 활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 결과는 파이브로넥틴 조각이 피부 노화를 유발하는 새로운 인자일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인간치은섬유아세포의 다양한 세포행동 관련 유전자발현에 마이크로그루브-파이브로넥틴 복합 티타늄표면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microgroove-fibronectin complex titanium plate on the expression of various cell behavior-related genes in human gingival fibroblasts)

  • 황유정;이원중;이성복;이석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8권3호
    • /
    • pp.150-161
    • /
    • 2022
  • 목적:인간 치은섬유아세포의 세포활동에 관련된 다양한 유전자들의 발현에 마이크로그루브-파이브로넥틴 복합 표면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평활한 티타늄시편(NE0), 산처리만 시행한 티타늄시편(E0), 마이크로그루브 및 산처리된 티타늄시편(E60/10), 파이브로넥틴을 고정시킨 평활한 티타늄시편(NE0FN), 산처리 및 파이브로넥틴을 고정시킨 티타늄시편(E0FN), 그리고 마이크로그루브 및 산처리 후 파이브로넥틴을 고정시킨 티타늄시편(E60/10FN) 실험군 제작 후 인간 치은섬유아세포의 세포행동 관련 44개 유전자에 대한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실험을 진행하였다. 결과: 인간치은섬유아세포 부착과 증식 등에 관여하는 4종류 신호전달 경로가 활성화되었다. Focal adhesion 경로에 속하는 Integrin α5, Integrin β1, Integrin β3, Talin-2 유전자들, PI3K-AKT 신호 전달 경로에 속하는 AKT1, AKT2, NF-κB 유전자들, MAPK 신호전달 경로에 속하는 MEK2, ERK1, ERK2 유전자들, 세포주기 신호 전달 경로에 속하는 cyclin D1, CDK4, CDK6 유전자들이 마이크로그루브-파이브로넥틴 복합 티타늄표면(E60/10FN)에서 상향조절되었다. 결론: 마이크로그루브-파이브로넥틴 복합 티타늄표면이 세포행동에 관여하는 다양한 유전자들을 상향조절할 수 있다.

쥐 간세포 일차배양 세포의 생존능과 대사능에 단층과 복층 콜라젠 젤이 미치는 영향의 비교 (Comparison of Single and Sandwich Collagen Gel on the Survival and Metabolism of Rat Hepatocytes Primary Cell Culture)

  • 정미경;이혜경
    • KSBB Journal
    • /
    • 제11권4호
    • /
    • pp.453-461
    • /
    • 1996
  • 간세포를 in vitro에서 효율적으로 장기간 배양 및 증식을 유도하여 이용하는 기술을 수립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일차배양한 쥐 간세포에 중요한 세포외 기질(ECM)인 collagen이 간세포의 장기배양시 생존능과 기능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간세포를 in vitrovo에서 40여일 간의 장기간 배양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단층 배양(single gel)법과 in vivo 상태의 세포 극성에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는 복층 배양(sandwich gel)법으로 배양한 경우에 미치는 영향을 서로 비교하여 보았다. 이를 위해서 간세포의 생존 상태를 비교하였요며 나아가 간세포의 특성인 알부민, 파이브로넥틴, 피브리노겐 등의 단백질 생산 빛 분비기능 측정 그리고 요소 생산능과 암모니아 제거능 등을 비교하였다. 복층 배양법이 단층 배양법보다 알부민, 파이브로넥틴, 피브 리노겐 등의 분비기능을 훨씬 효율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또한 요소 생산능과 암모니아 제거능도 훨씬 더 효율적으로 장기간 유지시 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in vitro에서 간세포의 기능을 효율척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 간세포 배양시 3차원적 공간을 유지시키는 것이 중 요한 요인 중의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N-hydroxysuccinimidyl phenyl azide와 광반응을 이용한 펩타이드의 마이크로형태 고정화 (Micropatterning of Peptides to Solid Surface by Deep-UV Lithography using N-hydroxysuccinimidyl phenol azide)

  • 김진희;김현정;김종원;장준근;민병구;최태부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41-448
    • /
    • 1998
  • 폴리머 표면에 생체물질의 고정화 방법은 생체적합성을 자닌 재료의 개발에있어서 중요한 방법중의 하나이다. 광반응을 이용한 photolithography방법을 사용하여 재료 표면의 원하는 부위에 단백질을 고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이브로넥틴의 세포부탁 리간드, GRGDS펩타이드를 N-hydroxysuccinimidyl phenol azide를 이용하여 미세한 선의 형태로 표면에 광반응으로써 고정하였다. 광반응 유도체가 고정된 표면은 형광물질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혈관내피 세포는 GRGDS펩타이드가 고정화된 표면에서만 부탁됨을 관찰하였다.

  • PDF

한국 여성의 피부 부위 및 연령에 따른 피부 측정 인자와 생물 인자 연구 (A Study of Skin Biophysical Parameters and Biomarkers related to the Anatomical Site and Age in Korean Women)

  • 조석철;남개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13-420
    • /
    • 2015
  • 피부는 신체에서 가장 크고 육중한 기관 중 하나로 인간의 생리 및 병리 과정에 참여한다. 피부는 자기 유지 및 치유, 기계적 및 화학적 손상 방어, 자외선 과 외부 병원성 미생물로부터의 방어, 비타민 D 합성 그리고 사회 심리적 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여성의 부위와 연령에 따라 피부 생물학 인자와 연관된 생물리학 인자의 변화를 평가하는 데 있다. 20 ~ 49세의 약 70명의 건강한 성인 여성이 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측정부위는 하박 내측과 뺨으로 진행하였다. 인체 피부의 생물리학 인자를 측정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피부의 생물학 인자를 분석하기 위하여 코티졸, 파이브로넥틴, 케라틴-1, 10, 11, 인보루크린, 케라틴 6를 인체의 얼굴과 하박내측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비침습적 방법으로 피부 생물리학 인자는 피부 부위와 연령에 따른 차이를 측정하였다. 측정 부위에 따른 결과, 각질층 수분량, 경피수분손실량과 피부색(L과 a값)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결과, 오직 피부색에서만 연령에 따른 차이가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코티졸, 케라틴-6, 파이브로넥틴, 케라틴-1, 10, 11 은 연령과 부위간 유의적 차이가 없지만 인볼루크린은 30 ~ 39세 연령대에서 다른 연령대보다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의 피부 환경에 대한 상세한 피부 상태 변화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참굴큰입흡충 (Gymnophalloides seoi) 성충에서 정제한 40 kDa 시스테인계열 단백분해효소의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40 kDa cysteine protease from Grymnopholloides seoi adult worms)

  • 최민호;박원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2호
    • /
    • pp.133-142
    • /
    • 1998
  • 참굴큰입흡충 (Gymnophalloides seoi)의 병원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성충의 조효 소에서 단백분해효소를 분리 정제한 후 생화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조효소를 0.1 M sodium acetate (pH 4.5)로 투석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Sephacris S-200 HR column chromatography로 부분 정제한 후 DEAE-Sephacelcolumn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순수 정 제하였다. SDS-PAGE를 실시하여 각 정제 단계별 시료의 정제도를 확인한 결과 분자량이 40 kDa 인 단일 분획이 관찰되었다. 정제된 효소는 시스테인 단백분해효소의 특이억제제인 L-lorans- epoxysuccinylleucylamido (4-guanidino) butane (E-64)와 iodoacetic acid, 세린 및 시스테인 단백분해효소의 일반 억제제인 leupeptin에 의해 활성이 억제되어 시스테인 단백분해효소임을 확 인하였다. 정제된 효소는 콜라겐, 파이브로넥틴과 같은 세포외 기질을 분해하였으나 헤모글로빈은 분해정도가 낮아 반응 12시간 후에도 단량체 (monomer)와 이합체 (dimer)의 양이 대조군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IgGEa와 slgAE 거의 분해하지 믓하였다. 따라서, 참굴큰입흡충 성충의 40 kDa 시스테인 단백분해효소는 충체가 숙주 체내에서 기생생환을 하는데 필요한 영양분 섭취에 주로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