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파빌리온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8초

파빌리온 건축을 통해 본 지역성 표현특성에 대한 연구 -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파빌리온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gional expression through pavilion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YAP pavilion)

  • 서규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2-4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동시대 건축의 여러 형식의 건축물들 중에서도 형태적, 재료적, 구조적 실험의 장이 되고 있는 건축형식인 파빌리온 건축 중 한 가지 주제 아래 북미, 남미, 유럽, 아시아의 5개 다른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는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파빌리온 건축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문화적 환경적 토양에서 다른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는 지역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근대건축 이후 현대건축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주제로 분석 및 연구되어지고 있는 지역성 분석 기준의 척도를 설정하기 위해 지역성 표현유형의 개념과 분류에 대한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상징적, 구축적, 맥락적, 감촉적, 환경적, 이상 5가지 표현방식의 키워드를 도출하였으며 이 5가지 분석의 틀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나라에서 2010년 이후 현재까지 완공된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파빌리온 건축에 있어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표현 양상을 입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하나의 프로그램 안에서 같은 주제로 계획되고 지어지고 있는 파빌리온이라는 좁은 범위의 건축형식을 통해서도 각기 다른 나라의 문화가 표현되어 지는 특징적인 지역성의 표현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러시아 구성주의 조각의 텍토닉(Tectonic)적 공간 특성 - 밀라노 엑스포(Milan Expo, 2015) 파빌리온 중심으로 - (A Study on Spatial Construction of Tectonic in Russia Constructivism's Sculpture - Focused on the Milan Expo, 2015 Pavilion -)

  • 김민아;이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107-118
    • /
    • 2015
  • Today, The representation of the modern space is experimented with shape and surface of the de-structural point of view to make architecture and space, in terms of not being able to make defined by single regulation. However, it can cor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modern, but it is easy to fade of architecture fundamental meaning. Along with the need for the rise of the construction of fundamental space, should be built a 'tectonic' spatial, which is said to be building of logos. Tectonic, as norms for expressing the fundamental meaning of architecture, as to expression of construction, be unfolded with dualism such as science and art, technology and express, structure and formation, and it was introduced into the architecture through the construction expression of space that was a tectonic discussion of 19c german architects. On the other hand Constructivism which is avant-garde formative movement with Russia revolution, constructed 'sculpture' with the formative principles as tectonic. Tectonic's Formative characteristics can draw a conclusion with of tectonic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vism sculpture, space of logos will be realized through its study. Other hand, The pavilion, as symbol space, can be analyzed by tectonic properties, Pavilion, meaning the space is expressed in a variety of tectonic expression. As tectonic construction, fundamental ideology and symbolization of space is revealed metaphorically and visually.

가변형 아트 파빌리온 공간 표현특성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Deformable Art Pavilion Spat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 두보위;홍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23-34
    • /
    • 2019
  • 근대 이전의 공간이 고정적이고 폐쇄적이었다면, 근대 이후에 지어진 공간의 특성은 융통성과 개방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공간 컨셉을 기반으로 현대 예술 전시관 또한 점차 건축물 내부 공간에서 실외 공간으로의 변화를 추구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외부 아트 파빌리온이라는 개념이 탄생하게 되었다. 전통예술 전시관과 비교했을 때, 파빌리온은 현재 건축공간의 질서에서 벗어났을 뿐 아니라 창의적인 공간형태를 실현하였다. 따라서 많은 전문가디자이너들은 이를 통해 인간과 자연 사이의 장벽을 깨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최근의 가변형 아트 파빌리온을 분석하고자한다. 가변형 아트 파빌리온의 표현특성을 고찰하고 사례를 분석하여 가변형 아트 파빌리온의 디자인 원칙과 원리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될 기본적인 설계의 방향과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가변형 공간의 이론을 고찰하여 가변형 공간의 특성과 개념 범주를 파악한다. 둘째, 아트 파빌리온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그 표현특성을 정리한다. 또 문헌연구를 통해 아트 파빌리온을 표현특성별로 구분하였다. 셋째, 가변형 공간 형태와 가변형 공간의 특성이 반영된 사례를 통해 연구를 진행한다. 사례분석에서 도출된 결과를 통해 각 아트 파빌리온의 변형방식과 공간특성의 표현방식 상의 차이와 그 나타나는 원인을 파악한다. 본 연구는 가변형 공간의 변형방식을 선별하기 위한 기준 근거를 제시하고, 또 미래 건축공간 디자인측면에서 공간개념의 변화와 공간 의의의 범주를 확장시킬 수 있다.

엑스포 파빌리온 공간개념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상하이 엑스포 전시테마와 공간적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Spatial Concept in Expo Pavilions - Focus on the Space Communication with Shanghai Expo Exhibition Theme -)

  • 김경진;이경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33-40
    • /
    • 2011
  • The World exposition is considered as a great event to promote the cultural exchanges of their own urbanism and share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s among the various countries across the all over the world. So many countries in the world desired to host and take part in the EXPO, so far only few countries have had the chance to hold the event and show their uniqueness of urban culture, but we might say the past exhibition as those for display and publication of matters of science, technology and trade, now we must say expositions of the 21th century has come under variations on cultural and informational interchange and humanism from the global issue and problem. What make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ort of reciprocal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the public can be the EXPO event as a means of the public information of the theme and this kind of event should suggest the public a message of the topic, message, image and even more the EXPO spirits and theme as an international event gives as much considerably spreading effect as its big scale. In that aspect, the pavilion for the exhibition of EXPO and public information should be recognized as a place for smoothly forming the activities of reciprocal communication between the society and the public, with such a aspect this study, as its purpose of improving as well as communication, concerns the process in projecting the space paradigm of pavilion in the EXPO and public message and information as a means of the communication of the global theme.

글라스하우스의 파빌리온, 폴리, 인스톨레이션의 특성 (The Features of the Pavilions, Follies, and Installations of the Glass House)

  • 김란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26권1호
    • /
    • pp.71-82
    • /
    • 2017
  • Pavilions, follies, and installations provide a place with a new experience beyond that of simple garden architectur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constructs in the Glass House site, which Philip Johnson has built for 50 years. After Chapter 1 Introduction, which summarized the background of the study, Chapter 2 investigated the design background of the landscape and the types of the constructs there. It also, studying literature on pavilions, follies, and installations, defined the basic meanings of them. Chapter 3 identified the features of each construct through the case studies of it, analyzing Johnson's intentions on it. These features are such as the applications of classical follies, the quotations of architectural history, fusion with art, architectural experiments, and the monuments of personal history. In conclusion, this study, finding the site specificity as a common feature of pavilions, follies, and installations, referred to two aspects of this, which are not only physical placeness but also cultural media.

인터뷰 - 안양예술공원으로 보는 지역건축에 대해서 최승원 건축사 _ 앙가주망 건축사사무소 (Interview - About the local architecture seen from Anyang Art Park _ Architect Choi, Seungwon)

  • 장영호
    • 건축사
    • /
    • 통권589호
    • /
    • pp.126-141
    • /
    • 2018
  •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APAP)는 한국에서 가장 성공적인 공공예술사업으로 손꼽힌다. 낙후된 유원지와 중소 도시 도심에 예술조형물로 활력을 불어넣고, 우수한 국내외 작가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도시의 격을 높여 시민의 자산으로 정착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서울시의 도시 게릴라 프로젝트나 광주 비엔날레의 도심 조형물 설치 작업인 '폴리 프로젝트'가 벤츠마킹한 대상이 되기도 했다. APAP는 2005년 만안구 안양유원지를 정비해 예술공원으로 조성하는 것으로 시작돼 2007년에는 이를 도시공원화 작업으로 확대하며 평촌 일대에 공공조형물이 조성됐다. 2010년에는 골목 안으로 들어가 주민들과 함께 공동체 복원을 위한 프로젝트로 진행됐다. 특히 안양예술공원 안에 있는 안양 파빌리온(구 알바로 시자 홀)은 포르투갈 출신의 세계적인 건축사 알바로 시자(1992년 프리츠커상 수상)가 설계한 작품이다.(그는 이 작품에 이어 파주출판단지에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을 만든다.) 당연히 안양시 차원에서 추진된 공공예술사업에는 건축사 등 많은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최승원 건축사는 "지방건축발전에 기회가 오면 건축사가 적극 자문하여야 지방다운 건축이 살아나고 꽃피울 수 있다"고 강조한다. APAP 초창기부터 참여해 역할을 해온 최승원 건축사에게 안양예술공원으로 보는 지역건축에 대해 들어봤다.

  • PDF

파빌리온의 경량화 구축 특성에 관한 연구 - MoMa P.S.1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YAP)의 우승작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nstruction trend of Pavilion with Viewpoint of the 'Lightness' - In Case Studies on the winner project of Young Architecture Program(YAP) in MoMA PS1 -)

  • 김진재;전유창;김성욱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51-58
    • /
    • 2019
  • This study embody the investigation of the winner projects of Young Architecture Program(YAP) taken place annually at front yard of MoMA PS1 since 1998. Every installation of project is experimental exhibition that have ambiguous border in the area between lightness and architecture. Thus the design have less limits as architectural space and talents can express the innovative idea strong. This paper aims to probe annual significant key words by analyzing the contemporary representative space types, materials, fabrication methods and innovative ideas, and to identify the changes of important concept of lightness and recent trend in architect design concept.

디지털파빌리온 전시공간계획 (A Exhibition Design of Digital Pavilion in DMC)

  • 권순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10-213
    • /
    • 2007
  • The direction of this project is creates a future and it experiences ubiquitous world. The subject of the space is 'Ubiquitous Creative World' which Imagining the past becomes actuality and imagining in future become actuality and future when it will approach at once. The storyline of this space is as belows; 1 Zone - Ubiquitous life Gallery : it will be able to experience the future world ; home, office, street, school and the others. 2 Zone - Interactive Play Gallery : it will be able to explore the interactive media with information technology ; digital cafe, imagining jump, digital art and the others. 3 Zone - New product and Business Gallery : it composed with business, new product, and demonstration gallery such as public information space. The space concept makes connection and concentration which uses unit and line for world which becomes accomplished by the network. Connection of digital and the human being to make the center of new digital life.

  • PDF

바로셀로나 파빌리온의 구축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in the Tectonic of the Barcelona Pavilion)

  • 양재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3호
    • /
    • pp.19-26
    • /
    • 2002
  •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expression in the Barcelona Pavilion to be based on tectonics. Mies pointed out the image of materiality about the material rather than the process of tectonics using the material, and he also expressed demateriality in the image of each material through the reflection. To be liberated from structural matters, the wall has been introduced. He intended to show the design plan as the independent structural system, however, the wall actually seems to be supporting the roof that shows rather clearly self-contradictory because of the expression of materiality in the material. In terms of architectural elements; wall, roof, column, floor, and so forth, tectonic expression and abstract aesthetics stands face to face, because of hiding the productional process and transforming to line and surface in the image of materiality. The interior of the glass wall seems fairly closed space from the exterior, because materiality and reflection of materials of columns and podium. The character of experiential space is inconsistent and fragmentary because of the splendid images from maternality and reflection on the wall, and collision with the reality and the image the wall reflects, even though the geometrical space of the Pavilion's plan has the mutual penetrability and organic charac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