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파면수차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4초

광학계의 파면수차 재구성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Wavefront Aberration Reconstruction for Optical System)

  • 박성중;주석희;김성균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57-36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안광학계의 성능평가 장비 개발을 위한 눈과 같은 광학계의 파면수차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광학계의 파면수차를 재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matlab을 사용하였으며, 파면수차 합수는 modal 방법에 의한 저니케 다항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파면수차 재구성 프로그램을 검증하기 위해 cooke triplet 광학계의 저니케 계수(n=7)를 code V를 사용하여 계산하였으며, 이 결과를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에 의해 계산된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 때 사용한 저니케 계수는 n=2, 3, 4, 5, 6, 7, 8, 9, 그리고 10인 경우이며, sub-aperture 수는 1,253개이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검증결과 n=4 이상인 경우에는 본래의 파면수차와 거의 일치하였으며, n=7인 경우의 저니케 계수는 code V에서 계산된 저니케 계수와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적응광학을 사용한 안광학계의 성능평가 장비 개발을 위한 핵심 기술로 사용될 것이다.

  • PDF

시력 정밀 측정용 파면분석기 (A wavefront analyzer for precise measurement of the visual acuity)

  • 고동섭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발표회
    • /
    • pp.72-73
    • /
    • 2003
  • 시력 진단장비로는 자각식 측정법인 시력표, 타각식 계측기로는 검영기와 자동굴절력측정기 등이 있으나 눈도 일반 광학계와 같이 공간적으로 불균일한 광학적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눈의 광학적 기능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광학수차의 공간 분포를 정밀하게 측정할 필요가 있다. 광학수차는 시력의 한계를 규정하고 안광학 기기의 설계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눈의 광학수차를 측정하기 위한 파면분석기에는 공간분해굴절계, Tscherning 파면분석기, 광선추적파면분석기, 주사실틈굴절계, 그리고 Shack-Hartmann 파면분석기(SH 파면분석기) 등이 있으며, SH 파면분석기는 적응광학계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중략)

  • PDF

파면보정을 위한 적응광학계의 Modal 제어 (Modal Control of Adaptive Optical System for Wavefront Correction)

  • 서영석;백성훈;박승규;김철중;양준묵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발표회
    • /
    • pp.32-33
    • /
    • 2002
  • 적응광학계(adaptive optics system ; AO)는 파면을 파면측정장치로 측정하고 제어용 컴퓨터를 사용하여 파면보정장치를 구동함으로써 파면의 왜곡 및 수차를 보정하는 장치로, 최근 천문학 및 의료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적응광학계의 제어는 파면을 영역별로 나누어 제어하는 zonal 방법과 모드로부터 제어하는 modal 방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면 측정 장치(wavefront sensor ; WFS)인 Shack-Hartmann sensor로 측정된 파면의 기울기 정보로부터 Zernike 다항식의 계수를 계산하여 수차의 정보를 구현하고, 왜곡된 파면을 실시간으로 보정하기 위하여 Zernike 계수로부터 위상을 재구성한 후 보정장치인 변형거울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파면을 보정하였다. (중략)

  • PDF

인체안 단색수차의 타각식 계측을 위한 파면분석기 연구 (Study on the wavefront analyzer for objective measuring the monochromatic aberrations of human eye)

  • 강돈희;고동섭;손진욱;권혁제;김현수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3년도 제14회 정기총회 및 03년 동계학술발표회
    • /
    • pp.134-135
    • /
    • 2003
  • 인체안의 단색수차는 시력의 한계를 규정하고 또한 안광학 기기의 설계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오래 전부터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또한 단색수차를 정밀하게 측정함으로써 가장 이상적인 시력 교정 방법을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그림 1과 같은 Shack-Hartmann (SH) 파면분석기를 구성하였다. 이 파면분석기는 대물렌즈, 결상렌즈, 미소렌즈배열(microlens array, MLA), 그리고 이미지 센서(CCD)로 구성되어 있다. (중략)

  • PDF

파면 유도 맞춤 굴절교정각막수술의 임상 결과 (Clinical results of wavefront guide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 이경섭;최철명;유용성;김진국;고동섭;권혁제;김현수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3년도 제14회 정기총회 및 03년 동계학술발표회
    • /
    • pp.126-127
    • /
    • 2003
  • 눈의 시력을 진단하는 도구로는 시력표, 검영기, 빔프로젝터, 자동굴절력측정기 등이 있다. 파면분석기(wavefront aberrometer)를 이용하면 눈의 굴절력 및 난시도수 외에도 광학적 고위수차(higher order aberration)를 표현하는 파면수차함수를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눈의 결상 능력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파면분석기는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던 시력 또는 굴절력 계측기들의 다음 세대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략)

  • PDF

CNC 가공된 급속한 비구면의 간섭계 검사 (Interferometric Testing of Fast CNC machined Aspheric Surface)

  • 김광중;백성훈;김철중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0년도 제11회 정기총회 및 00년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6-217
    • /
    • 2000
  • 영상매체의 발달은 고성능의 정밀한 광학소자의 발전을 요구하게 된다. 이러한 광학소자는 제작의 용이함 때문에 주로 구면소자가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구면소자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구면수차, 왜곡수차, 비점수차 등의 요인을 극소화하고 광학소자의 소형, 경량화를 위하여 비구면 광학소자의 사용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비구면 가공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비구면광학소자는 제작과정의 어려움과 더불어 품질평가의 어려움이 있다. 특히 급속한 기울기를 가진 면의 측정은 3차원측정기에 의한 방법이나 간섭계를 사용한 단순한 null optics 검사로는 정확도와 실험의 한계가 있다. 비구면 광학소자의 평가방법으로는 간섭계를 사용하여 기준파면과 대상파면을 비교하는 일반적인 null testing과 최근에는 CGH(computer generated hologram)로 재생된 비구면파면과 대상파면을 비교하는 방법도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검사방법으로는 검사가 어려운 급속한 기울기를 가진 포물면(parabolic surface)에 대한 하나의 검사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략)

  • PDF

3. 광학설계의 평가(마지막 회)

  • 이종웅
    • 광학세계
    • /
    • 제12권6호통권70호
    • /
    • pp.39-48
    • /
    • 2000
  • 광학설계 시리즈 마지막회로 3. 광학설계의 평가를 게재한다. (7월호-1. 광학계의 형상설계, 9월호-2. 광학설계의 최적화 기법) 광학계의 수차 평가(Spot Diagram Analysis, 파면수차) 및 광학계의 결상특성 평가(Point Spread Function, Optical Transfer Function)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지금까지 소개했던 시리즈가 광학실무 종사자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PDF

광섬유 탐침의 반사를 이용한 파면 분석 근접장 주사 광간섭계 (Near field scanning optical interferometer using facet reflection of a tapered optical fiber)

  • 유장훈;임상엽;이현호;박승한
    • 한국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48-253
    • /
    • 2004
  • 광섬유 탐침의 끝 단에서 반사하는 광을 이용하는 근접장 주사 광간섭계를 제안하고 제안한 근접장 주사 광간섭계를 이용하여 초점의 위치와 집광 초점면에서의 파면을 분석하였다. 파면의 분석은 광섬유 탐침의 끝 단에서 반사된 빛과 시료표면에서 반사된 빛을 간섭시키고, 탐침의 끝 단을 λ/4씩 위상천이 시키면서 4장의 간섭무늬를 얻은 후, 위상천이 알고리즘을 통하여 광학 수차를 구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근접 주사시의 초점의 위치를 파장의 3분의 1 이하로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제안한 근접장 주사 광간섭계를 이용하여 구한 집광 초점면에서의 파면 수차 값이 트와이만-그린 간섭계를 이용하여 구한 파면 수차값과 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막지형검사기의 각막형상을 이용한 각막수차 구현 (Determination of Corneal Aberrations Using Corneal Shape of Topographer)

  • 박성종;김선영;한경수;주석희;전영윤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5-39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각막지형검사기의 각막형상을 이용하여 각막수차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며,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저니케 다항식(Zernike Polynomial)으로 파면과 각막수차를 구현하고자 한다. 방법: 각막지형검사기인 ORBSCAN의 각막형상 데이터로부터 각막의 형상을 재구성하기 위해 저니케 다항식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동공의 유효구경은 6 mm를 고려하였다. 구현된 각막형상으로부터 광선추적을 사용하여 동일한 광학적 거리의 파면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파면으로부터 6차 28항의 저니케 계수로 각막수차를 구현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각막지형검사기의 각막형상으로부터 각막의 수차와 파면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각막지형검사기 개발과 콘택트렌즈 및 OK렌즈 처방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