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파리류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산 파리의 연구 한국미기록 파리류에 관하여 (제 5보) (Studies on Flies in korea 5. On the Hitherto Unreported Fly Species in Korea)

  • 박성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14
    • /
    • 1967
  • 1966년 4월부터 8월가지 대구 팔공산 등지의 파리류를 채집 정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미기록사종이 밝혀졌기에 발표한다. Hydrophoria rualis MEIGEN, 1826 Sepedon sphegeus FABRICUS, 1781 Anisia towadensis MATSUMURA , 1916 Crossocosmia zebina WALKER, 1849

  • PDF

한국산 꽃파리류 6 미기록종에 관하여 (파리목: 유변류) (Taxonomic Notes on 6 Unrecorded Anthomyiid Flies from Korea (Diptera: Calyptratae))

  • 서상재;권용정;박성호;조태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01-211
    • /
    • 1991
  • 저자 중 박성호에 의해 주로 채집된 700여점의 꽃파리류를 동정한 결과, 1 한국미기록속 및 6 한국미기록종을 포함 총 19속 38종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한국산 꽃파리과는 총 26속 112종이 된다.

  • PDF

단백질 기반 Terpinyl Acetate를 이용한 호박과실파리류 암컷 유살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Female Annihilation Technique Against Pumpkin Fruit Flies Using Protein-based Terpinyl Acetate)

  • 김용균;권기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69-75
    • /
    • 2018
  • 국내 호박에 피해를 주는 두 과실파리 해충은 호박과실파리(Bactrocera depressa)와 호박꽃과실파리(B. scutellata)이다. 두 해충의 미성숙 시기는 기주 그리고 땅 속에 존재하여 대기에 노출된 성충 시기가 방제의 대상이 된다. 이들 과실파리 성충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암컷유살제를 개발하는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현재 다른 과실파리에 대해서 사용되고 있는 상용 유살제는 이들 호박과실파리류에 대해서 유인력이 낮았다. 본 연구는 단백질 기반에 terpinyl acetate (TA)를 가미하여 유인력을 증가시킨 유살제를 개발하였다. 이 TA-단백질 유살제는 두 종의 호박과실파리류 모두를 유인하였다. 또한 암수 모두를 유인하지만, 암컷이 수컷에 비해 더 많이(60~70%) 유인되었다. TA-단백질 유살제는 이들 호박과실파리류의 방제는 물론이고 특이한 유인제가 없는 호박과실파리에 대해서 모니터링 소재로 응용될 수 있다.

금당천에 서식하는 얼록동사리(Odontobutis interrupta)의 식성 (Feeding Habits of Korean Dark Sleeper, Odontobutis interrupta in the Keumdang Cheon (Stream), Korea)

  • 변화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98-208
    • /
    • 2023
  • 얼록동사리의 식성 분석을 위해 금당천에서 2021년 3월부터 11월까지 채집을 하였고 크기는 연령별로(1년생, 2년생, 3년생 이상)로 구분하였다. 먹이생물은 절지동물(Arthropoda, 개체수 86.6%) 갑각강(Malacostraca, 연갑강)의 등각목(Isopoda), 단각목(Amphipoda), 십각목(Decapoda), 수서곤충(Aquatic insect)에 속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잠자리목(Odonata), 노린재목(Hemiptera), 강도래목(Plecoptera), 딱정벌레목(Coleoptera), 파리목(Diptera), 날도래목(Trichoptera), 환형동물(Annelida, 개체수 7.3%) 환대강(Clitellata)의 실지렁이목(Tubificida), 가시지렁이목(Haplotaxida), 부리거머리목(Rhynchobdellida), 연체동물(Mollusca, 개체수 2.8%)에 속하는 복족강(Gastropoda)의 수병안목(Systellommatophora)과 중복족목(Mesogastropoda), 척추동물에 속하는 어류(3.3%) 그리고 어란 등 다양하였다. 수서곤충, 어류, 갑각류, 환형동물 등을 주로 서식하였으며 수서곤충이 개체수에 있어 70.0%, 생체량은 31.7%, 상대중요성지수는 72.7%로 가장 중요한 먹이원이었다. 식성은 육식성 이었으며 먹이 섭취 특성과 형태는 육식포식자(stalker)에 속하였다. 전장이 증가함에 따라 섭식한 먹이의 개체량과 생체량에 있어 파리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고 어류, 새우류, 날도래류, 잠자리류 등이 증가하는 먹이 전환이 발생하였다. 봄에는 먹이생물 중 파리류(65.3%), 지렁이류(14.5%), 하루살이류(7.0%) 등을 주로 섭식하였고 여름에는 파리류(58.6%), 하루살이류(24.5%), 어류(4.8%) 등이 풍부하였고 가을에는 파리류(30.1%), 하루살이류(20.4%), 등각류(13.3%) 등을 많이 섭식하였다.

Bactrocera 속 과실파리 종합관리기술 (Integrated Pest Management Against Bactrocera Fruit Flies)

  • 김용균;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59-376
    • /
    • 2016
  • 국제 무역량 증가와 기후변화에 따라 아열대성 해충이 온대지역으로 침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과실파리과는 초파리과와 더불어 두 과실파리 분류군 가운 데 하나로 약 5,000 종 이상이 포함되어 있다. Anastrepha, Rhagoletis, Ceratitis 및 Bactrocera 속에 속한 일부 과실파리류가 높은 침입력으로 여러 온대 지역의 과실과 채소류에 막대한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본 종설은 이들 과실파리류들의 침입과 정착을 억제하는 기술이 비교적 잘 개발되어 적용된 Bactrocera 속에 속한 해충류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들 과실파리류에 대해 많은 방제 기술이 개발되었지만, 효율적인 종합해충관리 프로그램 개발이 아직 널리 정착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종설은 과실파리를 방제하는 여러 기술을 설명하고, 이 가운데 아열대 군도에서 실시된 종합해충관리의 성공사례를 소개한다. 아울러 국내에 큰 피해를 주는 주요 과실파리의 발생생태와 방제기술도 정리하였다.

한국산 관해파리류 2미기록종(히드라충강: 관해파리목) (Two New Records of Shiphonophores (Hydrozoa: Siphonophora) in Korea)

  • 박정희;원정혜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1권2호
    • /
    • pp.201-205
    • /
    • 2005
  • 대한해협 $(33^{\circ}59'N-129^{\circ}17'E)$과 여수에서 2002년 9월에 Issacs-Kidd Midwater 저인망으로 채집된 관해파리류를 동정 분류한 결과 관해파리목의 두컵관해파리아목에 속하는 카미소두겹관해파리 (Diphyes chamissonis)와 에시솔츠심해컵해파리 (Abylopsis schscholtzi)가 각각 한국 미기록종으로 밝혀져 재기재하여 보고한다. 본 연구의 결과 한국산 관해파리류는 4과 6종이 된다.

한국 느타리버섯 재배지에 발생하는 주요 파리류 해충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f the Major Dipteran Pests on the Oyster Mushroom(Pleurotus ostreatus) in Korea)

  • 김성렬;최광호;조은숙;양원진;진병래;손흥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1-46
    • /
    • 1999
  • 본 연구는 국내 느타리버섯 재배지에 발생하는 주요 버섯파리류를 조사하고, 이의 지역별.시기별 발생양상을 조사하였다. 버섯파리류 조사는 1997년 여름버섯재배기인 7~8월과 가을 버섯재배기인 10~11월의 2회에 걸쳐 전국 16곳의 주요 느타리버섯 재배지에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내 느타리버섯 재배지에 발생하여 버섯에 피해를 가하는 버섯파리류로서 주용 3종인 Sciaridae, Cecidomyiidae 및 Scatopsidae 파리류를 포함하여 6종이 조사되었으며, 지역 및 시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그중 Lycoriella mali(Diptera:Sciaridae)는 전국적으로 연중 발생하여 가장 문제시 되는 해충으로 조사되었다. 또 Coboldia fuscipes(Diptera:Scatopsidae)는 유충이 버섯균사를 가해하였으며, 주로 7~8월에 대량 발생한 후 가을에는 그 발생량이 감소하였다. 또한 유생생식을 하는 Mycophila sp. (Diptera:Cecidomyiidae)에 의한 균상 및 느타리버섯의 오염이 전국적으로 관찰되었는데, 특히 10~11월에 대량발생과 함께 그 피해가 극심하였다.

  • PDF

금강에 서식하는 꺽지(Coreoperca herzi)의 식성 (Studies on the Feeding Habits of Korean aucha perch, Coreoperca herzi in the Geum River, Korea)

  • 변화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72-478
    • /
    • 2017
  • 꺽지의 식성 분석을 위해 금강에서 2016년 3월부터 12월까지 채집을 하였고 크기는 전장이 38~70 mm, 71~109 mm, 110 mm 이상 등 3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먹이생물은 수서곤충에 속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잠자리목(Odonata), 강도래목(Plecoptera), 딱정벌레목(Coleoptera), 파리목(Diptera), 날도래목(Trichoptera) 등과 어류 이었다. 꺽지는 수서곤충을 주로 섭식하였고 개체수에 있어 98.8%, 생체량은 55.8%, 상대중요성 지수는 97.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식성은 육식성이었으며 먹이 섭취 특성과 형태는 Keenleyside의 분류를 적용하면 육식포식자(stalker)에 속하였다. 꺽지의 주요 먹이원은 하루살이류, 파리류, 날도래류 등이었고 잠자리류, 강도래류, 딱정벌레류, 어류 등은 희소하게 섭식하고 있었다. 꺽지는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섭식한 먹이의 생체량에 있어 하루살이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고 날도래류와 어류가 증가하는 먹이 전환이 발생 하였다. 딱정벌레류와 파리류는 큰 변동이 없이 일정하였다. 전반적으로 꺽지는 먹이생물의 구성이 계절에 따라 큰 변화는 없었다. 하천에 있어 꺽지의 자연증식과 서식지를 복원할 경우 주요 먹이원인 하루살이류, 파리류, 날도래류 등이 다량 서식할 수 있도록 조성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