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파괴인성치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3초

구조용 세라믹스 강도의 신뢰성 평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liability of Engineering Ceramics)

  • 김부안;남기우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7-162
    • /
    • 1997
  • 소결온도 및 열처리에 의하여 미세조직을 변화시킨 질화규소의 파괴강도특성 및 그 신뢰성 평가를 하였다. 결정립이 클수록 파괴인성치는 증가하였지만 굽힘강도는 저하하였다. 균열재의 파괴응력 $\sigma$c와 등가균열길이 ae와의 관계는 프로세스 존 크기 파기기준에 의한 계산 결과와 매우 잘 일치하였다. 그리고 굽힘파괴응력 $\sigma$F와 파괴인성치 KIC의 통계적 특성을 고려한 파괴평가고건을 제안하였다.

  • PDF

SiCp/6061Al복합재료의 정적 및 동적파괴인성 평가 (Static and Dynamic Fracture Toughness Evaluation in SiCp/6061Al Composite)

  • 안행근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565-570
    • /
    • 1998
  • SiCp/6061AI 복합재료의 파괴인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정적파괴인성에 대해서는 복수시험편법을, 동적파괴인성시험에 대해서는 stop block법을 실시하였다. 주균열은 예비균열의 선단에서 시험편두께방향 전역에 걸쳐서 일시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고, 균열발생의 초기단계에서 국부적으로 형성된 균열이 시험편두께방향으로의 균열의 확장을 완료한 후 주균열로 이행해 간다. 정적 및 동적시험에서 컴플라이언스변화율법에 의해 검출된 균열발생점은 균열확장의 완료점과 거의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본 재료의 파괴인성 결정에 유효하다. 본 재료에서 동적파괴인성치는 정적파괴인성치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것은 동적충격시 입자파괴에 의한 에너지의 흡수.분산효과와 균열진전경로의 큰 편향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 PDF

하이브리드 복합재료의 모드 I 층간파괴인성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 I Interlaminar Fracture Toughness of Hybrid Composites)

  • 김형진;곽대원;김재동;고성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9권4호
    • /
    • pp.262-268
    • /
    • 2003
  • 하이브리드 복합재료(Hybrid composite)의 모드 I 층간파괴인성치에 영영향 주는 인자 중 적층순서, 하중점변위율, 초기크랙길이를 변화 시켰을 때의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F/CF, CF/GF, GF/GF로 적층하였을 경우 층간파괴인성치값은 서로 같은 계면을 성형한 것보다 서로 다른 계면을 적층한 CF/GF 의 경우가 강도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2) 하중점변위율을 0.2, 2, 20mm/min로 변화하였을 때, 미세한 변동은 있었으나, 허중점변위율의 영향은 거의 받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초기크랙을 25, 30, 35, 40, 50mm로 변화시켰을 때 초기크랙길이의 영향은 일정하지 않았다. CF/CF인 경우는 초기크랙이 짧은 경우, CF/GF, GF/GF인 경우는 초기크랙이 긴 경우에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이것은 GF 섬유가 직조형태의 프리프레그로 되어 있어 크랙의 진전에 따라 섬유부스러기 등의 생성에 따른 영향이라고 생각된다. (4) 적층순서에 따라 파면의 섬유 분포 형태가 달랐으며, CF/GF인 경우가 섬유의 파손형태가 가장 복잡하게 나타났으며, 이것이 높은 층간파괴인성치를 나타내는 원인이라고 판단된다.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항공기용 구조 재료의 응력확대계수 측정

  • 김재훈;이현철;김덕회;문순일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9년도 제13회 학술강연논문집
    • /
    • pp.21-21
    • /
    • 1999
  • 파괴인성의 정량적 평가는 균열이 내재할 수 있는 구조물의 설계 및 사용중 건전성 확보를 위하여 필요하다. 파괴인성의 측정은 광탄성법, 코스틱법 및 모아레법 등에 의하여 주로 평가되고 있으나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고 실험으로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실험이 비교적 간단하고 신뢰성이 있는 스트레인 게이지법에 관한 연구가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항공기나 로켓의 추진기용 구조재로 사용되는 마레이징강과 티타늄 합금을 이용하여 파괴인성시험을 수행하였다. 균열선단의 변형률장은 Westergaard 응력 함수를 사용한 다중변수해로 표현하였고, 스트레인게이지에서 얻은 변형률을 대입하여 파괴인성치를 산출하였다. 스트레인게이지법에 의한 파괴인성치는 ASTM E399의 규정에 의한 실험결과들과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제시하였다.

  • PDF

파괴인성시험의 유한요소 시뮬레이션 (Finite Element Simulation of Fracture Toughness Test)

  • 주석재;류총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7권4호
    • /
    • pp.491-496
    • /
    • 2013
  • 인장시험을 유한요소 시뮬레이션하여 등가응력-등가소성변형률 곡선, 임계 등가응력과 임계 등가소성변형률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이 곡선을 입력하여 파괴시험을 유한요소 시뮬레이션하여 평면변형률 파괴인성치를 결정하여 보려고 하였다. 균열선단절점에서 등가소성변형률이 임계 등가소성변형률에 도달할 때 균열개구변위를 임계 균열개구변위로 취하여 균열성장조건으로 사용되었다. 임계 등가소성변형률이나 단면감소율과 파괴시험 임계 균열개구변위와 관련성을 찾아보고, 임계 등가응력과 임계 등가소성변형률을 동시에 적용하여 파괴시험 파괴인성치와의 관련성도 찾아보았다.

파괴인성치 Jic 결정에 대한 시험편 두께의 영향에 관한 연구 (The Thickness Effect on the Determination of Fracture Toughness Jic)

  • 고성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4권2호
    • /
    • pp.83-93
    • /
    • 1988
  • 본 연구에서는 J 적분을 이용하여 두께의 변화에 따른 파괴인성치의 거동을 검토하기 위하여 두께 25mm의 일반구조용 압연강판을 평면가공하여 두께 5, 10, 15, 20, 25mm의 CT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이때 크랙비는 z=0.60인 상태에서 두께를 변화시켜가면서 파괴인성수 J 하(C)와 열단계수 T의 거동을 고찰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면응력 파괴인성치 J 하(C)는 각각의 두께에 대하여 Merkle식에 의한 결과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Rice식, Simpson식, Yoon식의 순서로 나타난다. 2) 평면응력 파괴인성치 J 하(C)는 동일한 J 적분식을 적용하였을 때 두께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다가 두께 15mm를 기준으로 다시 감소한다. 3) Yoon식을 사용할 경우 평면응력 파괴인성치 J 하(C)와 시험편 두께 B의 상관관계를 무차원화시켜 다음과 같은 실험식을 얻었다. J 하(C)/J 하(IC)=1.7-15.1(B/W)+112.9(B/W) 상(2) -301.3(B/W) 상(3) +260.6(B/W) 상(4) R=0.999 4) 열단계수 T는 각각의 두께에 대하여 Merkle식에 의한 결과가 가장 높게 나타나며, Rice식, Simpson식, Yoon식에 의한 결과의 순으로 나타난다. 5) 열단계수 T는 각각의 단면의 두께에 대하여 동일한 J 적분식을 적용하였을 때 두께의 변화에 따라 거의 일정한 값을 나타내며, 이에 많은 대한 연구 검토가 요망된다

  • PDF

나노 입자가 시멘트 모르타르의 파괴인성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anoparticles on the Fracture Toughness of Cement Mortar)

  • 최승원;백초원;이선열;뉘엔 반 통;김동주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332-340
    • /
    • 2023
  • 이 연구는 나노 입자의 혼입이 시멘트 모르타르의 파괴인성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탄소나노튜브 (carbon nanotube, CNT), 나노실리카 (nanosilica. NS), 그리고 나노 탄산칼슘 (nano calcium carbonate, NC)가 각각 혼입된 시멘트 모르타르의 3점 재하 휨강도, 압축강도, 슬럼프 실험을 수행하였다. 물시멘트비, 잔골재시멘트비가 각각 0.45, 1.5인 모르타르에 19.5 mm 강섬유가 0, 2 vol.% 혼입된 시멘트 모르타르를 사용하였다. 나노 입자 혼입은 시멘트 모르타르의 파괴인성치와 압축강도를 일부 향상시켰다. 그러나 강섬유가 보강된 시멘트 모르타르의 경우 나노 입자 혼입은 모르타르 유동성을 저하하여 강섬유의 분산도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하여 오히려 파괴인성치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나노 입자의 혼입으로 인한 모르타르의 유동성 저하를 개선할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열에너지를 고려한 파괴인성치 고찰 (Evaluation for Fracture Toughness with Considering the Thermal Energy)

  • 박재실;김정표;석창성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A
    • /
    • pp.9-15
    • /
    • 2001
  • In the case of a crack propagation, a portion of the work of inelastic deformation near the crack tip is dissipated as heat. In order to understand the thermal effect on fracture toughness, tensile test was carried out using thermocouples to monitor the variation of temperature with SA516 Gr70.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temperature of specimen was increased $3.6^{\circ}C$ at static load condition. And the thermal effect was investigated connected with the steady-state stress in the vicinity of a crack propagation in the elastic-plastic C-T specimen theoretically. And fracture toughness, the energy to make crack surfaces, presented correctively. The fracture toughness with considering heat at the blunting of the crack tip ws lower about 19.3% than that of ignoring heat. So, it is resonable to apply the fracture toughness with considering thermal energy and it would be good explanation for constraint effect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in the presence of excessive plasticity.

  • PDF

매우 취성인 재료의 동적 파괴인성치 결정법 (Determination of Dynamic Fractrue Toughness for very Brittle Materials)

  • 이억섭;한유상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24-728
    • /
    • 1996
  • The instrumented Charpy impact test is generally used to evaluate the dynamic fracture toughness for varying engineering materials. However, the test is known to be difficult to evaluate the dynamic fracture toughness for very brittle materials because of the small crack initiation load. To evaluate the dynamic fracture toughness of verybrittle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load sensitive instrumented tup. In this study, a polymer tup, which has small Young's modulus, is used for the instrumented Charpyimpact test and a proper testing method is developed. The results show that the developed method can measure rapidly changing loads from the moment of contact between the tup and the specimen to dynamic crack initation of the very brittle materials.

  • PDF

반경방향의 모서리 균열을 갖고 내면이 경사기능재료(FGM)로 코팅된 두꺼운 실린더의 겉보기 파괴인성해석 (Analysis of Apparent Fracture Toughness of a Thick-Walled Cylinder with an FGM Coating at the Inner Surface Containing a Radial Edge Crack)

  • 알리 모하마드 압사;라셀;송정일
    • Composites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1-9
    • /
    • 2010
  • 본 연구는 실린더 내부가 경사가능재료로 코팅된 두꺼운 벽을 가진 실린더의 겉보기 파괴인성치를 해석한 것이다. 실린더는 내부로부터 반경방향의 단일 모서리 균열이 내재되어 있으며, 균열면과 내면에는 내압을 받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소결온도로부터 냉각 결과 균일한 열팽창계수로 인해 실린더에는 비적합 고유스트레인이 생성되었다. 기존의 연구에서 소개된 응력확대계수 평가법에 기초해 겉보기 파괴인성치를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TiC/$Al_{2}O_{3}$ FGM 코팅된 실린더를 사용하였고 겉보기 파괴인성치의 수치적인 결과를 도식화하였다. 재료분포프로파일, 실린더 벽 두께, 적용온도와 코팅두께등이 겉보기 파괴인치에 미치는 영향이 상세히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모든 인자는 실린더의 겉보기 파괴인성치를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