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파고 예측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초

수중구조물의 파고전달계수 산정 실험 : II. 테트라포드 피복 경사형 수중구조물 (Experimental Study on Wave Transmission Coefficients of Submerged Structure : II. Rubble-Mound Type Structure armored by Tetrapods)

  • 이종인;김영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5호
    • /
    • pp.497-507
    • /
    • 2020
  • Tetrapod로 피복된 경사형 수중구조물을 대상으로 파랑의 전파현상을 검토하기 위해 2차원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수리실험은 수중구조물의 서로 다른 상대여유수심, 상대여유고, 상대상단폭 및 파형경사 등을 적용하여 수행되었다. 수리실험결과를 이용하여 경사형(부분투과형) 수중구조물에 대한 파고전달계수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경험식은 경사형 수중구조물의 파고전달계수를 충분한 정도로 예측함을 확인하였으며, 기존 경험식을 개선하였다.

수중구조물의 파고전달계수 산정 실험 : III. 불투과형 수중구조물 (Experimental Study on Wave Transmission Coefficients of Submerged Structures: III. Impermeable-Type Structure)

  • 이종인;조지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6호
    • /
    • pp.593-601
    • /
    • 2020
  • 콘크리트블록으로 피복된 불투과형 수중구조물을 대상으로 파랑의 전파현상을 검토하기 위해 2차원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수리실험은 수중구조물의 서로 다른 상대여유수심, 상대여유고, 상대상단폭 및 파형경사 등을 적용하여 수행되었다. 수리실험결과를 이용하여 불투과형 수중구조물에 대한 파고전달계수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경험식은 불투과형 수중구조물의 파고전달계수를 충분한 정도로 예측함을 확인하였으며, 기존 경험식을 개선하였다.

관측자료에 기반한 미래 해수위 예측 및 연안지역 침수위험면적 분석 - 부산시 해운대구 일대를 대상으로 - (Estimation of Peak Water Level Based on Observed Records and Assessment of Inundation in Coastal Area - A Case Study in Haeundae, Busan City -)

  • 안새결;이동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6호
    • /
    • pp.445-456
    • /
    • 2017
  • 해수면상승으로 인한 연안지역의 영향평가를 위해 부산시 해운대구 일대를 대상으로 해수위 예측모형과 미래 침수위험지역 분석을 수행하였다. 과거 평균해수위자료(1960-2016)를 활용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해수면상승 예측 모형과 불규칙 성분을 산정하고 파고자료(2012-2017)와 계산 조위값의 확률밀도함수와 종합하여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해수면상승, 불규칙 성분, 파고, 조위를 종합한 미래 최고해수위를 모의하였다. 이에 미래 1% 발생가능성 최고해수위는 2050, 2080, 2100년 2.3, 2.6, 2.8m로 나타났으며, 침수위험지역은 우동, 용호동, 송정동, 재송동이 가장 클 것으로 나타났다.

비선형 해양파의 통계적 특성에 대한 해석 (An Analysis of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Nonlinear Ocean Waves)

  • 김도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2-120
    • /
    • 2010
  • 이 논문에서는 Yura 해역에서 폭풍 중 24시간 연속으로 측정된 freak wave가 포함된 파랑자료를 분석하여 비선형 파도의 통계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파고의 초과확률분포는 Edgeworth-Rayleigh(ER) 분포와, Rayleigh 분포를 이용하여 계측된 자료와 비교하였다. 파형이 stationary 상태를 유지하는 10시간 동안 계측된 파랑자료(파랑의 개수가 4600 내외)에서는, 파형의 분포는 Gram-Chalier분포가 Gaussian분포보다 파랑자료와 일치를 한다. 전반적인 파고의 확률분포는 Rayleigh($H_{rms}$)분포를 잘 따르는 것을 볼 수 있다. Freak wave 발생확률은 Rayleigh($m_{o}{^{1/2}}$) 분포로 잘 표시가 되며, ER 분포는 과대하게 예측하는 것을 볼 수 있다. 30분간 계측된 파랑자료(파랑 개수가 250개 내외)에서 freak wave가 발생된 경우는 ER 분포가 freak wave 발생확률과 잘 일치한다. 그러나 전반적인 파고의 발생확률이 과대평가된다. Freak wave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는 거의 모든 파고에 걸쳐 Rayleigh($H_{rms}$)분포가 계측된 파고분포와 잘 일치를 한다. 파고가 10 m 이하의 freak wave의 파고확률분포는 10 m 이상의 파고를 가지는 freak wave와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H_{max}/H_{1/3}$은 파형의 kurtosis와 연관이 있는 것을 보여주었다. Freak wave의 발생은 높은 kurtosis 값과 관계가 있으며, freak wave가 발생하는 임계 kurtosis 값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바람에 의해 생성된 파도의 예측과 깊이변화의 영향 (A Wind Generated Wave Prediction System in a Finite Depth Sea)

  • 권순홍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7-25
    • /
    • 1989
  • 해양에서 바람에 의해 생성된 파도를 예측하는 모델을 제시하고 이 모델의 성질을 무한 해면에서 나타내 보이고 마지막으로 파의 이송과 깊이의 영향에 관한 결과를 유한폭의 해상에서 계산해서 비교 가능한 자료와 비교해 보았다.

  • PDF

Boussinesq 방정식을 이용한 불규칙파의 비선형 파랑전파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of nonlinear wave propagation of irregular waves with Boussinesq equation)

  • 한정용;권세영;심재설;전인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3년도 한국해안해양공학발표논문집
    • /
    • pp.240-244
    • /
    • 2003
  • 파랑의 변형 가운데 천수, 굴절, 회절, 반사를 예측하는 수학적 모형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로 파형경사인 ha(k:파수. $\alpha$:진폭)를 비선형의 매개변수로 하는 Stokes 파랑식이 있고, 두 번째로 상대파고인 $\alpha$/h를 비선형의 매개변수로 하고 상대수심인 kh를 분산성의 매개변수로 하는 천수방정식(Shallow water equation)이 있다. 파랑의 변형 가운데 천수, 굴절만을 예측하고 회절, 반사를 예측하지 못하는 수학적 모형으로는 에너지 이송방정식이 있다. (중략)

  • PDF

범용 파랑.흐름 공존시의 비점착성 퇴적물이동 예측식 (A General Formula of Total Sediment Transport Rate for Waves and Currents)

  • 김효섭;장창환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462-469
    • /
    • 2009
  • 파랑과 흐름이 공존하는 해안에서의 비점착성 퇴적물이동에 대하여 육지-외해방향 총 퇴적물 이동률을 산정할 수 있는 경험식을 제안한다. 본 경험식은 파랑만 존재하는 경우와 흐름만 존재하는 경우에도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해수면 기준 비대칭인 파랑을 이용하여 퇴적물의 부상률과 이동거리의 곱으로 단위면적당 총 퇴적물 이동률을 계산할 수 있다. 대체로 파고가 큰 파랑이 입사하는 경우 퇴적물은 외해방향으로 이동하는 반면 파고가 작은 파랑의 경우 육지방향으로 퇴적물을 이동시키는 경향을 본 예측식이 잘 재현하고 있다. 또한 장주기 파랑의 경우 퇴적물을 육지방향으로 이동시키려는 경향을 본 예측식이 잘 보여준다.

파고계산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방파제 기대피해도 산정 (Calculating Expected Damage of Breakwater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Wave Height Calculation)

  • 김동현;김영진;허동수;전호성;이창훈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26-132
    • /
    • 2010
  • 천해파 예측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방파제 기대피해도 산정방법을 개발하였다. 극치분포를 따르는 심해파고를 이용하여 방파제 위치에서의 유의파고를 얻기 위해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였다. 조위와 심해파를 입력받은 인공신경망이 천해유의파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학습시켰으며 파랑변형 해석에 사용되는 수치모델(SWAN)의 예측결과와 대등한 성능을 보였다. 천해파 예측 인공신경망을 이용함으로써 다수의 천해파를 매우 손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기대피해도 해석에 사용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또한, 파고예측 시 방파제 위치에서의 조위 변동성에 따른 기대피해도를 상호비교함으로써 조위변동성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기대피해도를 과다 또는 과소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동해안 너울성 고파의 발생역 추정법 개발 (Development of Method to Predict Source Region of Swell-Like High Waves in the East Sea)

  • 안석진;이창훈;김신웅;정원무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212-22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에 고파가 내습한 시점을 대상으로 관측 파랑자료와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에서 추산한 기상 예측자료를 통합 분석하였으며, 기상예측자료를 이용한 동해안 파랑예측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파랑 예측결과를 관측자료와 비교하여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동해안 연안에는 2회 파고가 증가하고 2차 파고 증가 시 연안 기상조건은 양호한 경우도 있어 피해가 우려된다. 2008년 2월에 관측된 파랑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고파의 전파방향을 추정하였으며, 기상자료와 비교를 통해 2번째 증가시기 파랑의 발생역이 동해 연안에서 멀리 떨어진 러시아와 일본 사이 해역임을 확인하였다.

인공해빈 및 자연해빈상에서의 불규칙파의 변형에 관한 현지관측

  • 권정곤;양윤모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3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42-44
    • /
    • 1993
  • 최근, 불규칙파를 조파시킴으로서 발생하는 실험실 스케일의 해빈변형에 대해서 그 정선변화 뿐만아니라 수심변화까지 포함한 수치 simulation모델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현지파랑은 파고, 주기가 불규칙하고, 또한 입사파향도 일정하지 않기때문에, 앞서 논한 예측법에 의해 현지연안에서 발생하는 지형변동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현지파랑중 어떠한 방법으로 대표파고를 선정할 것인가가 큰 문제가 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