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특허출원동향

Search Result 27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줄기세포분야 특허동향

  • Kim, Sun-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9.02a
    • /
    • pp.3-12
    • /
    • 2009
  • 특허맵 (Patent Map, 특허동향조사)이란 특정 기술분야에 대한 국내외 특허출원 및 등록현황에 대한 자료를 여러 기준으로 상세하게 분석한 후, 이를 사용목적에 맞게 가공하여 이해하기 쉽게 작성한 자료로 기술의 추이와 특허동향이나 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표, 기호, 그림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한 것이다. 연구자나 기업들의 R&D와 사업은 연구나 사업의 실패 확률을 줄이기 위해 특허맵, 특허동향조사를 필수적으로 활용한다. 특허동향조사를 활용함으로써 다음의 이점을 제공받을 수 있는데, 즉 연구개발방향의 설정에 활용할 수 있고, 중복연구 및 특허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쟁자의 동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기술개발 추이를 파악하여 미래예측이 가능하다. 이러한 활용을 통해 연구개발 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특허맵이나 특허동향조사가 활용되는 시점은 연구기획단계에서부터, 연구개발단계, 비즈니스단계 및 특허소송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 즉 R&D부터 그 활용단계에까지 필수적으로 필요한 도구(tool)라 할 것이다. 본 발표에서는 줄기세포분야에 대한 국내외 특허동향을 조사해 보았다. 국내에서는 2000년 이후부터 관련 기술의 급격한 출원을 보이고 있으며, 서울대, 고려대, 제론, 위스콘신 등 국내외 대학이 주요 출원이었다. 또한, 출원현황을 통한 국내 연구 분야의 활성도는 성체줄기세포가 배아줄기세포에 비하여 월등히 앞서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역분화와 관련된 기술도 국내에 약 10건 정도가 검색되었으며 주로 해외 출원인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해외의 경우, 약 6,800여 건을 검색하였으며 미국에서의 출원이 가장 두드러지고 있다. 특허출원의 추이는 국내와 유사하게 2000년 이후에 급격히 증가되었으며 국내보다 2년 앞선 2004년에 최고의 출원량을 보이고 있다. 주요 출원인으로는 OLYMPUS, GENRO, OSIRIS, JAPAN SCIENCE & TECHNOLOGY, ACT, SYSTEMIX 등의 순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해외리포트-일본의 줌렌즈계 기술동향

  • Korea Optical Industry Association
    • The Optical Journal
    • /
    • s.118
    • /
    • pp.28-33
    • /
    • 2008
  • 특허출원 기술동향 조사는 특정 기술분야에 대해 특허출원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정책.시장.연구개발 등 동향의 보충 정보를 더하여 일본의 기술경쟁력, 산업경쟁력을 정리한 것이다. 또한 경쟁우위성 확대를 위해 일본이 몰두해야하는 과제를 정리하고 일본이 지향해야 할 연구, 기술개발의 방향성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본 특허청에서 1999년 이후 매년 실시하여 2007년도까지 115개 테마의 조사결과 요약판을 특허청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2006년도 특허출원 기술동향 조사 "줌렌즈계 기술"의 일부를 소개하겠다.

  • PDF

Accessibility of Electronic Publishing Technology Trends (전자출판의 접근성 관련 기술 동향 분석 - 특허정보분석을 중심으로-)

  • Jang, Bo-Seong;Nam,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4.08a
    • /
    • pp.115-118
    • /
    • 2014
  • 본 연구는 특허정보의 제목 및 초록에 나타난 장애인을 위한 전자출판의 접근성 기술 동향을 분석하고자 관련 유효특허를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내용은 특허 출원 빈도, IPC 주제분류, 전자출판 접근성 기술 분류 기준에 의한 세부 기술별 출원 동향, 주제어 출현 빈도 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의 전자출판 접근성 분야는 출원 건수가 증가하는 전형적인 성장기 단계이며, IPC 주제분류는 섹션G(물리학), 섹션H(전기)영역에서 주로 특허가 출원되고 있으며 세부 기술별 출원 동향은 문자를 점자로 변환 압축 및 관련 보조공학기기 개발 특허 등이 중심적으로 나타났다. 출현 빈도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주제어는 braille, display, device, tactile, character, control 순으로 나타났다.

  • PDF

Patent Trend Report for Field Emission Display (FE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의 특허 동향 분석)

  • Jeong, I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6a
    • /
    • pp.467-467
    • /
    • 2008
  •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는 CRT와 FPD(평판디스플레이)의 장점을 모두 갖춘 디스플레이로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여러 국가와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개발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의 특허 동항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분야의 특허는 1994년과 1995년을 전후하여 출원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고, 최근에도 출원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분포에서는 한국이 3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미국이 32%, 일본이 27%, 유럽이 4%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은 최근에도 다른 나라에 비해 특허 출원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최근 한국이 디스플레이 전체에 대해 세계적으로 주도하고 있는 경향을 반영하고 있다. 각 기술별 출원 동향을 보면, 캐소드가 주요 출원국가 전체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진공실장, 구동회로, 애노드의 순서로 분석되었다.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분야의 주요 출원인을 살펴보면 삼성SDI가 압도적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뒤를 LG전자 및 Canon, 오리온전자, 마이크론 등이 주요 출원인으로 분석되었다. 국가별 분석 결과에서와 같이, 주요 출원인에서도 디스플레이 시장을 선도하는 삼성SDI, LG전자, Canon 등이 가장 많은 출원 비율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가별 주요 출원인으로, 한국에서는 삼성SDI, LG전자, 오리온전자, 일본에서는 Canon, Sony, Toshiba였고, 미국에서는 마이크론과 ITRI, 유럽에서는 삼성SDI와 Sony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를 연구 하고자 하는 연구소나 기업에는 삼성SDI, LG전자, Canon, Sony 등의 연구 개발 상황 또는 특허 출원 상태를 면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캐소드의 전자방출원의 형성 형태로는 팁형이 가장 많고, CNT형, 평면형의 순서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전자방출원으로 CNT헝이 가장 많게 나타나므로서 다른 나라들과는 연구 개발 형태가 조금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의 특허 동향을 분석한 결과, 한국이 일본, 미국, 유럽보다 더 활발하게 특허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최근에도 다른 나라에 비해 활발하게 특허를 출원하고 있어 향후에도 디스플레이 시장은 한국에서 주도해 나갈 것으로 판단되었다. 주요 출원인으로는 삼성SDI, LG전자, Canon, Sony로 분석되었으며, 위와 같은 선진 기업 및 주요 출원인은 연구개발 및 특허 출원 상황을 면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 PDF

A Study on the Extracting ICT Development Trend and Promising Technologies by Utilizing Patent Information in Gyeongbuk Province (특허정보를 활용한 경북지역 ICT 개발동향 분석 및 유망기술 도출에 관한 연구)

  • Han, Jang-Hyup;Kim, Chae-Bogk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21 no.1
    • /
    • pp.236-264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end of the patent application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ICT in Gyeongbuk Province by employing patent portfolio analysis, one of the methodology of map analyses for industry-related ICT issues.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CT development trend based on ICT patent information in Gyeongbuk Province. The promising technologies in ICT industry are extracted by applying patent portfolio analysis, one of the patent map analyses. The analysis results can be applied to the establishmen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strategies. This study extracts ICT trend by applying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to the patents registered in Gyeongbuk. For promising technologies, this study analyzed the patents based on the ICT Classification Cod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esents the trend of patent application, technology share, patent activity status, the trend of patent application by each technology according to ICT classification, the growth stages of ICT market, registration parties for patents, joint researches of research parties, and primary parties of patent applications. After drawing promising technologies, this study provides the future progress direction of ICT industry in Gyeongbuk Province. The research results also can be applied to securing technology competence and developing strategy of technology policy.

기획특집 (1)_최신 광학기술 동향 - 자동초점 폰 카메라의 시장 및 특허 동향

  • Kim, Yeong-Jun
    • The Optical Journal
    • /
    • s.125
    • /
    • pp.18-21
    • /
    • 2010
  • 소형 VCM 기술분야에서는 대부분의 특허를 일본이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 특이점으로서 대체적으로 한국의 삼성전기와 일본의 Shicoh, Sankyo, Mitsumi Electric, Konica Minolta등이 본 기술분야를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는 주요 출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2003년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출원이 증가하였고, 2006년부터 일본 등에서 공격적으로 Hybrid type을 비롯하여 VCM 특허 출원을 진행 중이다. 공개가 2~3년 임을 감안할 때 계속해서 관련 특허 출원이 증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Big Data Technology R&D Trend through Patent Analysis (특허분석을 통한 빅데이터 기술개발 동향)

  • Kim, P.R.;Hong, J.P.;Koh, S.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9 no.2
    • /
    • pp.33-41
    • /
    • 2014
  • 본고에서는 한국을 비롯하여 미국, 일본, 유럽의 최근 빅데이터 특허시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빅데이터 특허시장은 미국이 세계시장을 독과점하는 구조로 나타났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활발한 특허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미국 특허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연구개발 트렌드를 조망해 보면 과거에는 다수 기업들에 의하여 많은 특허출원이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최근 들어 기존 기업들 간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대기업 위주로 특허출원시장이 재편되어 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편 과거에는 데이터 분석 및 처리기술에 많은 특허출원이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데이터 운영 및 관리기술로 옮겨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허출원 건수도 과거에 비하여 대폭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실시간 처리기술, 저장기술, 표현기술은 상대적으로 높은 출원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나, 데이터 수집 및 분석기술은 상대적으로 점유율이 낮게 나타나 관련 기술 강화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부는 이를 위하여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양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 PDF

Technology Trend of Forward Looking Millimeterwave Radar (전방감지용 밀리미터파 레이더 기술 동향)

  • Hong, J.Y.;Kang, D.M.;Yoon, H.S.;Shim, J.Y.;Lee, K.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2 no.5
    • /
    • pp.35-45
    • /
    • 2007
  • 전방감지용 밀리미터파 레이더는 밀리미터파를 이용하여 자동차 등에 부착하여 송신파와 수신파 사이의 도플러 주파수 편이를 이용하여 선행차량 또는 전방의 장애물과의 거리와 상대속도를 판별하는 장치로서 적응형 순항제어 시스템(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등에 이용되는 핵심 기술이다. 적응형 순항제어 시스템이란 레이더 센서를 통하여 전방 선행 차량, 장애물의 속도 및 거리를 측정하여 차량의 충돌 경고, 주행 상황에 따른 자동적인 감속 및 가속, 정속 등 안전주행을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기술 동향 분석보고서는 전방감지용 레이더 센서에 관한 기술 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미국, EU, 일본, 한국의 전방감지용 레이더 센서에 관한 특허를 1991년부터 2005년까지의 특허출원을 중심으로 연도별 추이와 국가별 특허출원 동향, 출원인별 특허출원 동향 등을 분석하여 전방감지용 레이더의 세계 기술 추이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Trends in Smartcar Technology by Patent Analysis (특허분석을 통한 스마트카 기술 동향)

  • Park, Ki-Yun;Bae, Ji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239-242
    • /
    • 2015
  • 본 논문은 스마트카 기술의 동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013년 7월까지 한국, 미국, 유럽, 일본 등의 스마트카 분야에서 출원된 특허 9306건을 분석하였다. 특허 출원이 많은 국가별 순위는 미국, 일본, 한국, 유럽 순이며 2000년 초반에 들어서 미국,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 출원이 증가하였다. 주요 기업의 특허 출원을 살펴보면 국내 기업의 경우 현대 자동차를 제외 하고는 대부분 국외 기업들이 특허를 출원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외 기업들의 피인용지수가 높은 것으로 보아 원천 특허를 보유 하고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국내 기업들이 스마트카 분야에 진출 하기 위해서는 국외 기업에 많은 라이센싱 비용 소요 될 것으로 보이며, 특허분쟁 또한 빈번히 이루어 질 것으로 판단되어, 국가적인 관심과 국내 기업들의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rends in truffle mushroom utilization technology: A patent database survey through the first half of 2023 (트러플 활용기술 동향: 2023년 상반기까지의 특허를 중심으로)

  • Hyun-Suk Kim;Moon-Hee Choi;Deuk-Sil Oh;Hyun-Jae Shin
    • Journal of Mushroom
    • /
    • v.21 no.3
    • /
    • pp.88-92
    • /
    • 2023
  • In this review, we examine the latest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the utilization of truffles, a gourmet ingredient reputed to be one of the "world's three greatest delicacies," considering changing global consumption trends. Global demand for truffles is expected to increase steadily, with an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8.9% from 2023 to 2030. As truffles are expensive, the demand for truffles is expected to be concentrated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European countries, and Japan. In Korea, truffles are utilized in various industries, including food, functional foods, and cosmetics. Korean consumer demand for truffles has consistently remained high since 2019, and truffle products have been performing well in the market. Consequently, there exists substantial potential demand for newly developed truffle-related products and technologies. This review aims to provide objective research information through the systematic analysis of patent applications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focusing on technologies involving truffles, and can aid in setting directions for research and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