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특허문서

Search Result 11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Patent Document Categorization based on Semantic Structural Information (문서의 의미적 구조정보를 이용한 특허 문서 분류)

  • Kim, Jae-Ho;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5.10a
    • /
    • pp.28-34
    • /
    • 2005
  • 특허 검색은 수많은 특허 문서 중에서 특정 해당분야의 문서 집합 내에서 검색을 수행하기 때문에 정확한 특허 분류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 이러한 특허 분류의 중요성에 덧붙여, 특허 문서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게 되면서 특허를 자동으로 분류하려는 요구가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특허문서는 일반문서와는 달리 구조화되어 있기 때문에 특허분류를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k-NN 방법을 이용하여 일본어 특허 문서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훈련집합으로부터 유사문서를 검색할 때, 구조화되어 있는 특허 문서의 특징을 이용한다. 문서 전체가 아닌 (기존 기술), (응용 분야),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문제를 해결하려는 방법) 등의 세분화된 요소끼리 비교하여 유사성을 계산한다. 특허 문서에는 사용자가 정의한 많은 의미 요소가 있기 때문에 먼저 이들을 군집화한 후에 이용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이 특허문서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보다는 74%, 특허문서에 나타난 <요약>, <청구항>, <상세한 설명>의 큰 구조 정보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4%의 성능 향상을 가져왔다.

  • PDF

Automatic Classification of Patent Documents Using Doc2Vec (Doc2Vec을 이용한 특허 문서 자동 분류)

  • Song, Jinjoo;Kang, Seung-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239-241
    • /
    • 2019
  • 지식과 정보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지식재산권의 대표적인 유형인 특허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고, 그 수 또한 급증하고 있다. 특허 문서의 효과적 검색과 이용을 위해서는 새롭게 출원되는 특허 문서의 체계적인 분류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고, 따라서 방대한 양의 특허 문서를 자동으로 분류해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Doc2Vec 모델을 이용하여 국내 특허 문서의 특징(feature)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을 바탕으로 한 특허 문서의 자동 분류 모형을 제안한다. 먼저 국내에 등록된 31,495 건의 특허 문서의 IPC(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와 요약정보를 바탕으로 Doc2Vec 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Doc2Vec 모델을 통하여 훈련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한 후, 이 특징 벡터를 이용하여 분류기를 학습하였다. 마지막으로 Doc2Vec 모델을 이용하여 실험데이터의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분류기의 성능을 실험한 결과, 43%의 분류 정확도를 얻었다. 이를 통해, 특허 문서 분류 문제에 Doc2Vec 모델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Study on a Related IR Method in Patent & Technical Documents (특허 및 기술정보의 연계 검색에 관한 연구)

  • 강윤희;궁상환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1.05a
    • /
    • pp.180-183
    • /
    • 2001
  • 최근 정보통신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를 이용한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창의적 연구결과에 따른 특허 출원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특허검색 과정에서 특허와 관련된 기술문서를 동시에 검색이 용이하도록 지원하는 방식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허 및 기술점보 연계 시스템은 신규 특허 문서에 대한 분류를 위해 주제별 주요용어를 추출하고 특허 문서와 유사한 기술 문서를 코사인 유사도 기법을 사용하여 유사도에 따라 기술 문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Unsupervised learning-based automated patent document classification system (비지도학습 기반 자동 특허문서 분류 시스템)

  • Kim, Sang-Baek;Kim, Ji-Ho;Lee, Ho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421-422
    • /
    • 2021
  • 국내·외 기업들의 기술을 보호하고자 매년 100만개의 특허가 출원되고 있다. 등록된 특허 수가 증가될수록 전문가의 판단만으로 원하는 기술 분야의 유효한 특허문서를 선별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으며 객관적인 결과를 기대하기 어려워진다. 본 연구에서는 유효 특허문서 분류 정확성과 전문가의 업무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비지도학습 모델인 잠재 디리클레 할당 알고리즘(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과 딥러닝을 활용하여 자동 특허문서 분류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Research for Interlink Retrieval of Patent and Technical Information (특허 및 기술정보의 연계 검색에 관한 연구)

  • Song, J.C.;Hong, G.C.;Lee, S.Y.;Kang, Y.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6 no.5 s.71
    • /
    • pp.143-150
    • /
    • 2001
  • 정보통신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를 이용한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 짐에 따라 창의적 연구결과에 따른 특허 출원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사용자의 특허검색 과정에서 특허와 관련된 기술 문서를 동시에 검색이 용이하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의 개발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특허 및 기술정보 연계 시스템은 신규 특허 문서에 대한 분류를 위해 주제별 주요용어를 추출하고 특허 문서와 유사한 기술 문서를 코사인 유사도 기법을 사용하여 유사도에 따라 기술 문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Vector Space Model for Patent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특허정보 검색을 위한 벡터스페이스 검색모텔의 적용)

  • 원상훈;노태길;손기준;박정희;이상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516-518
    • /
    • 2003
  • 본 논문은 특허 문서에 맞게 벡터스페이스 모델을 적용하여 특허정보 검색기를 구현한다. 기존의 상용 특허 검색 시스템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특허 문헌의 특징을 분석하여, 이를 반영한 특허 문헌 검색등의 벡터 스페이스 모델을 제시한다. 하나의 특허 문서는 서로 상이한 특성을 지닌 텍스트와 데이터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를 하나의 벡터로 표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내용 필드들을 특성에 따라 둘 이상의 벡터로 표현하고, 수치 및 고유명 필드는 불린검색형태로 처리되는 혼합형 벡터 모델을 제안한다. 각 필드의 특징에 맞게 색인어를 추출하며, 텍스트 필드의 색인어률 벡터로 표현하는 과정에서는 잘 알려진 TF-IDF 가중치를 사용하되, 특허 문서가 IPC 특허 분류 기준에 따라 완전 분류되어 있는 문서라는 특징을 이용, 보다 정확한 가중치를 부여한다. 실험과 성능평가를 통하여 제안한 특허 모델의 유용성을 보인다.

  • PDF

Pre-processing for IPC Classification of Patent Documents (특허문서의 IPC 분류를 위한 데이터 변환 및 통합)

  • Su-Hyun Park;Ji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367-368
    • /
    • 2023
  • 4차 산업혁명으로 다양한 기술과 아이디어가 생겨나고 있고, 이를 보호하기 위한 특허는 그 등록 건수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 특허문서를 분류하는 과정을 수동으로 진행하고 있기에 이를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는 분류기를 생성할 필요를 느꼈고, 본 논문에서는 특허문서를 분류기에 적용할 데이터의 전처리 과정 중 데이터 변환과 통합 과정을 다루었다.

LDA Topic Modeling and Recommendation of Similar Patent Document Using Word2vec (LDA 토픽 모델링과 Word2vec을 활용한 유사 특허문서 추천연구)

  • Apgil Lee;Keunho Choi;Gunwoo Kim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22 no.1
    • /
    • pp.17-31
    • /
    • 2020
  • With the star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echnologies of various fields are merged and new types of technologies and products are being developed.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the registr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patent registration to gain market dominance of them is increasing in oversea as well as in domestic. Accordingly, the number of patents to be processed per examiner is increasing every year, so time and cost for prior art research are increasing. Therefore, a number of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to reduce examination time and cost for patent-pending technology.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calculate the degree of similarity among patent documents of the same priority claim when a plurality of patent rights priority claims are filed and to provide them to the examiner and the patent applicant. To this end, we preprocessed the data of the existing irregular patent documents, used Word2vec to obtain similarity between patent documents, and then proposed recommendation model that recommends a similar patent document in descending order of score. This makes it possible to promptly refer to the examination history of patent documents judged to be similar at the time of examination by the examiner,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f work and enabling efficient search in the applicant's prior art research. We expect it will contribute greatly.

A Study on the Automatic Extraction of Fomulation and Properties in Chemical Field Patent Document by Using Machine Learning Technology (기계학습 기술을 활용한 화학분야 특허문서의 조성/물성 정보 자동추출 방법 연구)

  • Kim, Hongki;Lee, Hayoung;Park, Ji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277-280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화학분야 특허 문서에 존재하는 도표(TABLE) 데이터를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추출하고 정형화된 형태로 가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특허 문서에서 도표 데이터는 실시예에서 실험결과나 비교결과를 간결하고 가시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나, 셀의 속성을 정의하는 헤더부분과 수치가 표현되는 값 부분의 경계가 모호하여 구조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소량의 학습데이터를 구축하고 기계학습을 통해 도표에 존재하는 셀의 속성을 예측하고, 예측된 속성을 토대로 조성과 물성 정보를 자동으로 구분하여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방법을 활용하여 화학 분야 조성물 특허의 도표데이터에 시뮬레이션 결과 각 항목별 98.17%의 속성 예측 정확도를 나타내었으며 기존 규칙기반 연구보다 작업난이도, 예측정확도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인다.

  • PDF

IPC Multi-label Classification based on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Fields in Patent Documents (특허문서 필드의 기능적 특성을 활용한 IPC 다중 레이블 분류)

  • Lim, Sora;Kwon, YongJi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8 no.1
    • /
    • pp.77-88
    • /
    • 2017
  • Recently, with the advent of knowledge based society where information and knowledge make values, patents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form of intellectual property have become important, and the number of the patents follows growing trends. Thus, it needs to classify the patents depending on the technological topic of the invention appropriately in order to use a vast amount of the patent information effectively. IPC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is widely used for this situation. Researches about IPC automatic classification have been studied using data mining an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improve current IPC classification task which categorizes patent documents by hand.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have focused on applying various existing machine learning methods to the patent documents rather than consider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or the structure of patent documents. In this paper, therefore, we propose to use two structural fields, technical field and background, considered as having impacts on the patent classification, where the two field are selected by apply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patent documents and the role of the structural fields. We also construct multi-label classification model to reflect what a patent document could have multiple IPCs. Furthermore, we propose a method to classify patent documents at the IPC subclass level comprised of 630 categories so that we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IPC multi-label classification model into the real field. The effect of structural fields of patent documents are examined using 564,793 registered patents in Korea, and 87.2% precision is obtained in the case of using title, abstract, claims, technical field and background. From this sequence, we verify that the technical field and background have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precision of IPC multi-label classification in IPC subclass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