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특징점 검출

Search Result 527,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Deep Learning-based Keypoint Filtering for Remote Sensing Image Registration (원격 탐사 영상 정합을 위한 딥러닝 기반 특징점 필터링)

  • Sung, Jun-Young;Lee, Woo-Ju;Oh, Seoung-Ju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6 no.1
    • /
    • pp.26-38
    • /
    • 2021
  • In this paper, DLKF (Deep Learning Keypoint Filtering), the deep learning-based keypoint filtering method for the rapidization of the image registration method for remote sensing images is proposed. The complexity of the conventional feature-based image registration method arises during the feature matching step. To reduce this complexity, this paper proposes to filter only the keypoints detected in the artificial structure among the keypoints detected in the keypoint detector by ensuring that the feature matching is matched with the keypoints detected in the artificial structure of the image. For reducing the number of keypoints points as preserving essential keypoints, we preserve keypoints adjacent to the boundaries of the artificial structure, and use reduced images, and crop image patches overlapping to eliminate noise from the patch boundary as a result of the image segmentation method.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speed and accuracy of registration.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DLKF, the speed and accuracy of the conventional keypoints extraction method were compared using the remote sensing image of KOMPSAT-3 satellite. Based on the SIFT-based registration method, which is commonly used in households, the SURF-based registration method, which improved the speed of the SIFT method, improved the speed by 2.6 times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keypoints by about 18%, but the accuracy decreased from 3.42 to 5.43. Became. However, when the proposed method, DLKF, was used, the number of keypoints was reduced by about 82%, improving the speed by about 20.5 times, while reducing the accuracy to 4.51.

Robust Lane Detection Algorithm in Shadow Area by using Local Feature Point (그림자 영역에서 강인한 지역 특징점 기반의 차선인식 기법)

  • Kim, Tae-Dong;Yi, Kang;Jung, Kye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6.06a
    • /
    • pp.194-197
    • /
    • 2016
  • 자동차 산업이 발전하면서 안정적인 주행과 운전자의 편의성을 위한 지능형운전자보조시스템인 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가 이슈가 되고 있다. 차선인식의 결과에 따라 차선이탈 경고시스템의 성능이 달라지기 때문에 차선인식은 ADAS에서 매우 중요한 핵심적인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그림자 영역과 같이 밝기의 분포가 균일하지 않는 환경에서 강인하게 동작하는 차선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지역적인 밝기 특징을 고려하여 차선에 해당하는 특징점을 추출하며, 추출된 특징점 가운데 이상치(outlier)를 제거하기 위해 RANSAC (RANdom SAmple Consensu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차선을 검출한다. 또한 RANSAC 알고리즘에서 신뢰도가 높은 차선이 검출되면 그 주위에 특징점을 추출하기 위한 관심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안정적인 차선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Pothole Detection Method in Asphalt Pavement (아스팔트 도로의 포트홀 검출 방법)

  • Kim, Young-Ro;Kim, Taehyeong;Ryu, Seungki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1 no.10
    • /
    • pp.248-255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pothole detection method in asphalt pavement using various features. Segmentation, candidate, and decision steps of pothole detection are processed according to the values which are derived from feature characteristics. Segmentation step, we use histogram and closing operation of morphology filter which extracts dark regions for pothole detection. Candidate step, we extract candidate regions of pothole using various features such as size, compactness, etc. Finally, decision step, candidate regions are decided whether pothole or not using comparison of pothole and background's featur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pothole detection method has better results than existing methods and good performance in discrimination of pothole and similar patterns.

Facial-feature Detection in Color Images using Chrominance Components and Mean-Gray Morphology Operation (색도정보와 Mean-Gray 모폴로지 연산을 이용한 컬러영상에서의 얼굴특징점 검출)

  • 강영도;양창우;김장형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8 no.3
    • /
    • pp.714-720
    • /
    • 2004
  • In detecting human faces in color images, additional geometric computation is often necessary for validating the face-candidate regions having various form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hat detects the facial features using chrominance components of color which do not affected by face occlusion and orientation. The proposed algorithm uses the property that the Cb and Cr components have consistent differences around the facial features, especially eye-area. We designed the Mean-Gray Morphology operator to emphasize the feature areas in the eye-map image which generated by basic chrominance differenc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is method can detect the facial features under various face candidate regions effectively.

Planar-Object Position Estimation by using Scale & Affine Invariant Features (불변하는 스케일-아핀 특징 점을 이용한 평면객체의 위치 추정)

  • Lee, Seok-Jun;Jung, Soon-Ki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795-800
    • /
    • 2008
  • 카메라로 입력되는 영상에서 객체를 인식하기 위한 노력은, 기존의 컴퓨터 비전분야에서 좋은 이슈로 연구되고 있다. 영상 내부에 등장하는 객체를 인식하고 해당 객체를 포함하고 있는 전체 이미지에서 현재 영상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영상 내에 등장할 객체에 대한 트레이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에 등장할 객체에 대해서, 특징 점을 검출(feature detection)하고 각 점들이 가지는 픽셀 그라디언트 방향의 벡터 값들을 그 이웃하는 벡터 값들과 함께 DoG(difference-of-Gaussian)함수를 이용하여 정형화 한다. 이는 추후에 입력되는 영상에서 검출되는 특징 점들과 그 이웃들 간의 거리나 스케일의 비율 등의 파리미터를 이용하여 비교함으로써, 현재 특징 점들의 위치를 추정하는 정보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광역의 시설 단지를 촬영한 인공위성 영상을 활용하여 시설물 내부에 존재는 건물들에 대한 초기 특징 점들을 검출하고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한다. 트레이닝이 마친 후에는, 프린트된 인공위성 영상내부의 특정 건물을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고, 이 때 입력된 영상의 특징 점을 해석하여 기존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내의 특징 점과 비교하는 과정을 거친다. 매칭되는 특징 점들은 DoG로 정형화된 벡터 값들을 이용하여 해당 건물에 대한 위치를 추정하고, 3차원으로 기 모델링 된 건물을 증강현실 기법을 이용하여 영상에 정합한 후 가시화 한다.

  • PDF

Compression and Acceleration of Face Detector using L1 Loss and Channel Pruning (L1 목적 함수와 채널 프루닝을 이용한 얼굴 검출기 경량화)

  • Lee, Seok Hee;Jang, Young Kyun;Cho, Nam 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40-4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합성곱 기반의 얼굴 검출기 Dual Shot Face Detector (DSFD)에 대하여, 특징점 맵의 희소화와 채널 프루닝 목적 함수를 사용하여 네트웍 경량화를 수행하였다. 특징점 맵을 희소화하기 위해 L1 목적 함수를 사용했고, 특징점 맵의 채널 프루닝을 하기 위해 채널 최대값이 가장 낮은 채널들의 합을 최소화 시키는 목적함수를 적용했다. 기존의 신경망은 특징점 맵 희소화 비율이 45%였고 두 목적 함수를 적용했을 때 69.67% 로 희소화 비율이 높아진 것을 확인했다. 얼굴 검출 성능을 다양한 조명, 크기, 환경, 각도, 표정의 얼굴들을 포함하는 영상들로 이뤄진 Wider Face 데이터 셋으로 실험한 결과, average precision은 하락 했고 easy validation set에서 0.9257, hard validation set에서 0.8363 였다.

  • PDF

Study on the panorama image processing using the SURF feature detector and technicians. (SURF 특징 검출기와 기술자를 이용한 파노라마 이미지 처리에 관한 연구)

  • Kim, Nam-woo;Hur, Chang-W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10a
    • /
    • pp.699-702
    • /
    • 2015
  • 다중의 영상을 이용하여 하나의 파노라마 영상을 제작하는 기법은 컴퓨터 비전, 컴퓨터 그래픽스 등과 같은 여러 분야에서 널리 연구되고 있다. 파노라마 영상은 하나의 카메라에서 얻을 수 있는 영상의 한계, 즉 예를 들어 화각, 화질, 정보량 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좋은 방법으로서 가상현실, 로봇비전 등과 같이 광각의 영상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다. 파노라마 영상은 단일 영상과 비교하여 보다 큰 몰입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현재 다양한 파노라마 영상 제작 기법들이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기법들이 공통적으로 파노라마 영상을 구성할 때 각 영상에 존재하는 특징점 및 대응점을 검출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s) 알고리즘은 영상의 특징점을 검출할 때 영상의 흑백정보와 지역 공간 정보를 활용하는데, 영상의 크기 변화와 시점 검출에 강하며 SIFT(Scale Invariant Features Transform) 알고리즘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두 영상 사이 또는 하나의 영상과 여러 영상 사이에 대응되는 매칭을 계산하여 파노라마영상을 생성하는 처리 방법을 구현하고 기술하였다.

  • PDF

The Improvement of Operating time for Object Recognition using Block Segmentation (블록분할을 이용한 물체인식 속도개선)

  • Ko, Jong-Hwan;Cho, Nae-Soo;Choi, Youn-Ho;Koo, Bon-Ho;Kwon, Woo-Hye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4a
    • /
    • pp.105-106
    • /
    • 2008
  • 영상을 이용한 물체인식은 컴퓨터 비젼분야의 주요한 관심분야중 하나이다. 이중 특정기반 물체인식은 영상이 가지고 있는 특징점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입력영상과 물체에 대한 질의 영상의 특징점을 검출하고 매칭을 수행하여 물체를 인식하게 된다. 특징점은 스케일, 회전, 어파인 변화 등에 변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점을 말한다. 이러한 특징점을 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범으로는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가 있다. SIFT는 스케일, 회선, 어파인 변화에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기는 하나 많은 연산으로 인하여 처리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SIFT를 사용한 특징기반 물체인식에서 속도 개선 방법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였을 경우 물체인식을 위한 특징점을 검출하고 매칭을 수행하는데 소모된 시간이 줄어드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 하였다.

  • PDF

Thermal Imagery-based Object Detection Algorithm for Low-Light Level Nighttime Surveillance System (저조도 야간 감시 시스템을 위한 열영상 기반 객체 검출 알고리즘)

  • Chang, Jeong-Uk;Lin, Chi-H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9 no.3
    • /
    • pp.129-136
    • /
    • 202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thermal imagery-based object detection algorithm for low-light level nighttime surveillance system. Many features selected by Haar-like feature selection algorithm and existing Adaboost algorithm are often vulnerable to noise and problems with similar or overlapping feature set for learning samples. It also removes noise from the feature set from the surveillance image of the low-light night environment, and implements it using the lightweight extended Haar feature and adaboost learning algorithm to enable fast and efficient real-time feature selection. Experiments use extended Haar feature points to recognize non-predictive objects with motion in nighttime low-light environments. The Adaboost learning algorithm with video frame 800*600 thermal image as input is implemented with CUDA 9.0 platform for simulation. As a result, the results of object detection confirmed that the success rate was about 90% or more, and the processing speed was about 30% faster than the computational results obtained through histogram equalization operations in general images.

A Study on the Hair Line detection Using Feature Points Matching in Hair Beauty Fashion Design (헤어 뷰티 패션 디자인 선별을 위한 특징 점 정합을 이용한 헤어 라인 검출)

  • 송선희;나상동;배용근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7 no.5
    • /
    • pp.934-940
    • /
    • 2003
  • In this paper, hair beauty fashion design feature points detection system is proposed. A hair models and hair face is represented as a graph where the nodes are placed at facial feature points labeled by their Gabor features and the edges are describes their spatial relations. An innovative flexible feature matching is proposed to perform features correspondence between hair models and the input image. This matching hair model works like random diffusion process in the image space by employing the locally competitive and globally corporative mechanism. The system works nicely on the face images under complicated background. pose variations and distorted by accessories. We demonstrate the benefits of our approach by its implementation on the face identification system.